본문 바로가기
  • 이 시대를 살아가면서 꼭 알아야 할 유용하고 세상에서 가르쳐 주지 않는 차원 높은 정보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본 블로그에서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핵심을 잘 간파하셔서 끊임없이

증산도JeungSanDo1219

증산도란 무엇입니까? 증산도(甑山道)는, 우주의 이법이 큰 변혁을 맞이하는 가을개벽의 때에 직접 인간으로 오셔서 모든 생명에게 새 삶의 길을 열어주신, 이 우주를 다스리시는 참 하나님이신 증산 상제님의 가르침을 말합니다. 또한 증산 상제님과 어머니 하느님이신 태모님의 가르침을 받들고 실천하는 신앙단체를 뜻.. 2007. 9. 23.
증산 상제님과 태모 고수부님은 누구이신가요? 증산 상제님은 증산도의 도조(道祖)이십니다. ‘증산(甑山)’은 인간으로 강세하신 참하나님의 존호(尊號)이며, ‘상제(上帝)님’은 우주 삼라만상을 주재하시는 참하나님의 공식호칭입니다. 상제님은 천상 옥경(玉京)에 머무시다가, 가을개벽기에 처한 온 인간과 신명을 널리 건져 후천의 새 세상으.. 2007. 9. 23.
증산도는 기성 종교와 무엇이 다릅니까? 한마디로 증산도는 <가을의 종교>입니다. 다시 말하면 지금까지의 종교는 하늘에서 부름 받아 내려온 성자(聖子)의 종교인 반면에, 증산도는 우주의 주재자 자신이 직접 인간의 몸을 쓰고 오시어 인간의 영원한 구원의 길을 열어주신 성부(聖父) 하나님의 종교인 것입니다. 흔히, 기독교에서는 6천 .. 2007. 9. 23.
증산도의 경전은 무엇입니까? 기독교에 성경이 있고 불교에 불경이 있는 것처럼, 증산도의 경전은『도전(道典)』이라 부릅니다. 증산도 『도전(道典)』에는 증산 상제님과 태모 고수부님의 생애와 천지공사의 모든 내용, 가을개벽과 후천 선경 세계에 대한 소식, 인간 삶에 대한 참된 가르침이 담겨 있습니다. 『도전(道典)』은 1992(.. 2007. 9. 23.
증산도의 정기모임은 언제 있나요? 증산도 도생(道生;신도를 말함)들은 전국과 해외에 있는 `증산도 도장(道長)`을 중심으로 진리공부 및 태을주 수행 등의 신앙생활을 합니다. 도장(道場)은 증산 상제님의 진리를 배우고 세상을 향한 상생을 실천하는 `증산도 신앙인의 보금자리`로서, 매주 수요일과 일요일에 도장에서 치성(致誠)을 봉.. 2007. 9. 23.
도장(道場)은 무엇을 하는 곳입니까? 증산도 도장(道場)은 문자 그대로 상제님의 진리를 공부하고 신앙하는 성소입니다. 국내에는 전국 각 시도에 200여 개의 도장이 있습니다. 해외에도 미국, 캐나다, 일본, 영국, 독일, 대만, 인도네시아, 필리핀, 뉴질랜드, 아랍에미레이트 등 여러 나라에 있습니다. 2007. 9. 23.
상제님은 기독교에서 말하는 하나님과 어떻게 다릅니까? 기독교의 총결론은 세가지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첫째는 앞으로 이 세상이 망한다, 종말이 찾아온다는 겁니다. 즉 개벽한다는 거죠. 둘째는 그 때 인류를 구원하는 메시아가 온다. 그리고 세번째 마지막으로는 개벽을 한 후에는 새하늘 새땅, 즉 새로운 세상이 열린다는 겁니다. 간단하게 이야기하면 .. 2007. 9. 23.
증산도에서는 하나님을 왜 '상제(上帝)님'이라고 부르나요? 상제님은 하나님 혹은 하느님과 같은 뜻입니다. ‘상제(上帝)’란 ‘윗 상(上)’ 자 ‘하나님 제(帝)’ 자로, 대우주 통치자이신 하나님을 부르는 공식 호칭입니다. 대부분 사람들이 '제'자가 ‘임금’을 뜻하는 것으로 알고 있으나, 본래는 온 우주를 통치하시는 ‘하나님’을 의미합니다. 심청전을 .. 2007. 9. 23.
'증산(甑山)'이란 말의 의미는 무엇입니까? '증산(甑山)'은 인간으로 오신 참하나님의 존호입니다. 상제님은 청년시절 고향마을의 주산인 시루봉의 시루 증(甑) 자, 뫼 산(山) 자를 취해 ‘증산’을 자호(自號)로 쓰셨습니다. 이 시루 증(甑) 자에는 ‘성숙, 완성, 결실, 가을’ 이라는 의미가 함축되어 있는데, 이는 상제님의 진리가 가을의 새 문.. 2007. 9. 23.
증산도의 핵심 가르침(종지)는 무엇입니까? 증산도 진리의 핵심은 '후천개벽(後天開闢)'입니다. '후천개벽'은 '우주의 가을이 열린다'고 해서 '가을개벽'이라고도 합니다. '후천개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원시반본(原始返本), 보은(報恩), 해원(解寃), 상생(相生), 정음정양(正陰正陽), 인존(人尊), 일심(一心)’ 등의 이념을 알아야 합니다. 상생 .. 2007. 9.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