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법칙*생존법1571 르포르타주(reportage) 르포르타주 르포르타주(reportage)는 원래 탐방이라는 뜻이었는데, 요즘은 현지보고, 보고문학, 기록문학, 탐 방기 등을 가리키는 말로 자주 쓰인다. 즉 르포르타주는 기자 또는 문필가가 어떤 목적으로 탐방한 사실을 보고하는 기사 또는 보고식으로 쓴 소설을 일컫는 말이다. 프랑스어로 어원은 '보고(r.. 2008. 4. 2. 딜레마 딜레마 '딜레마(dilemma)'는 흔히 선택해야 하는 길은 두 가지 중 하나인데, 어느 쪽도 바람직하지 못한 결 과를 초래하는 상황을 일컫는 말이다. 딜레마는 그리스에서 발달한 삼단논법에서 자주 사용되던 말로, '이중명제(dilemma proposition)'라는 뜻이다. dilemma의 'di'는 '둘'이라는 뜻이고 'lemma'는 '당연하게 .. 2008. 4. 2. 디데이 / 개봉박두 디데이 / 개봉박두 '디데이'의 'D'는 바로 독일의 드레스덴(Dresden)을 뜻한다. 제2차 세계대전 때 전세가 연합군 쪽으로 기울자, 미국의 아이젠하워 장군은 육ㆍ해ㆍ공군 합동으로 프랑스 북부해안 상륙작전을 감행하고자 사상 최대의 진격함대를 조직했다. 연합군 공격은 그 유명한 '디데이(D-Day)' 1944년 .. 2008. 4. 2. 돌아가시다 / 숨지다 / 북망산 가다 / 골로 가다 돌아가시다 / 숨지다 / 북망산 가다 / 골로 가다 '세상을 떠나다'는 우리가 살고 있는 이승을 떠나 다시는 오지 못할 저승으로 갔다는 뜻이다. 여기서 이승은 이쪽을 뜻하는 우리말 '이'와 삶을 나타내는 생(生)이 '승'으로 귀화해 합친 말이다. 즉 현세에 사는 '이쪽 세상의 생애'를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2008. 4. 2. 부질없다 부질없다 소용없게 된 상황을 가리키는 말로 '부질없다'가 있다. '부질없다'의 어원에 대해서는 두 가지 설이 있다. 첫 번째는 옛날 대장간에서 철을 녹여 농기구나 무기를 만들 때 하던 '불질'과 '담금짐'에서 나왔다는 설이다. 불질이란 불로 쇠를 달구는 일을 뜻하고, 담금질은 불에 달구어진 쇠를 찬.. 2008. 4. 2. 도로 아미타불 도로 아미타불 옛날 어떤 마을로 동냥을 갔던 젊은 스님이 아리따운 처녀를 보고 그만 상사병에 걸렸다. 스님은 오랜 시간을 고민하다가 마침내 용기를 내어 그 처녀에게 청혼했다. 처녀는 스님을 보더니 이렇게 말했다. "10년 동안 한방에서 같이 지내되, 손목도 잡지 말고 바라만 보고 친구처럼 지내.. 2008. 4. 2. 싸가지 없다 싸가지 없다 '싸가지'는 국어사전에 나오는 표준말은 아니다. 하지만 전라도, 강원도 지방에서는 많이 쓰이는 말이며, 표준어로는 '싹수'라고 한다. 싸가지는 '싹'과 '아지'가 합쳐져 생긴 말이다. 여기서 '싹'은 '식물의 어린 싹'을 뜻하고, '아지'는 접미사로서 송아지나 강아지처럼 흔히 동물의 새 끼.. 2008. 4. 2. 다모클레스의 칼 다모클레스의 칼 기원전 4세기경 시칠리아 시라쿠사 시에 참주(僭主) 디오니시오스를 섬기는 다모클레스라는 부하가 있었다. 로마 역사가인 키케로가 남긴 문헌에 따르면, 어느 날 다모클레스는 디오니시오스에게 아부하면서 이 렇게 말했다. "왕의 행복이 몹시 부럽습니다." 이 말을 들은 디오니시오.. 2008. 4. 2. '누란지위(累卵之危) 누란지위 해로움이나 손실이 생길 우려가 있는 상태를 위험하다고 생각하다고 하는데, 매우 위험한 상태를 표현 하는 말로 '누란지위'와 '그로기'가 있다. '누란지위(累卵之危)'의 유래는 다음과 같다. 약육강식 법칙이 지배한 전국시대에 조나라는 강대국인 진나라와 초나라 사이에 끼인 약소국이었.. 2008. 4. 2. 하소연 하소연 '넋두리'가 '불만이나 불평을 혼잣말처럼 하소연하는 것'이라면, '하소연'은 '억울하거나 딱한 사정 을 노골적으로 드러낼 때' 사용하는 말이다. 그는 나를 만나자마자 눈물부터 흘리며 억울하다고 하소연했다. 그는 친구에게 자기의 따한 사정을 하소연했다. 정리하면 '넋두리'는 누군가에게 말.. 2008. 4. 2. 이전 1 ··· 100 101 102 103 104 105 106 ··· 1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