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 시대를 살아가면서 꼭 알아야 할 유용하고 세상에서 가르쳐 주지 않는 차원 높은 정보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본 블로그에서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핵심을 잘 간파하셔서 끊임없이

한민족 역사문화2174

천부경 갑골문자 ‘천부경(天符經)’발견, 단군.환웅 실재성 높아 일요시사 2002년 9월 29일자 천부경(天符經) 고려시대 포은 정몽주, 목은 이색, 야은 길재와 더불어 오은(五隱)중에 한 사람인 농은(農隱)의 유집에서 발견된 천부경문 < 특종 “갑골문자 ‘천부경(天符經)’발견, 단군.환웅 실재성 높아 > 민.. 2006. 11. 14.
은문(갑골문)의 뿌리는 어디까지 올라가는가? 은문(갑골문)의 뿌리는 어디까지 올라가는가? 천부경(天符經) 고려시대 포은 정몽주, 목은 이색, 야은 길재와 더불어 오은(五隱)중에 한 사람인 농은(農隱)의 유집에서 발견된 천부경문 < 특종 “갑골문자 ‘천부경(天符經)’발견, 단군.환웅 실재성 높아 > 민족이나 개인에게 있어서 역사(歷史)는 .. 2006. 11. 14.
동양사상의 주인공, 한민족! 흔히 동양사상하면 중국이나 일본의 사상을 생각합니다. 그러나 동양사상은 한민족의 위대한 인물들에 의해 발전되어 온 한민족의 사상이며, 일정 기간 중국과 일본 등지로 전파되었다가 한 단계 발전되어 역수입되었을 뿐입니다. 왜 그러한지 동양사상의 역사를 통해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동양.. 2006. 11. 14.
한민족의 국통맥-전 인류의 시원문명국가 환국(桓國)! 한민족의 국통 환인의 나라 환국 환국 시대 BCE 2500년 전 수메르의 씨름모양의 향로고구려 각저총 그림을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우리 환족의 나라 세움이 가장 오래되었다' - 환단고기 첫말 - 2006. 11. 14.
안중근의 이등박문 암살의 미스테리 & 로스트메모리즈 영상 하얼빈 역. 1909년 10월 26일 오전 9시 즈음의 일. 상제님의 천지공사가 아니었다면 우리 한민족은 어떻게 되었을까요.. 아래의 천지공사로 인하여 이등박문은 안씨성을 가진 안중근에 의해 사살되었고 앞으로 이등박문이 아닌 인류를 구할 일등방문이 안씨성으로 나온다는 공사입니다. 천지의 일등일꾼.. 2006. 11. 14.
대진국! 발해 멸망의 미스테리 역사는 절대 훔쳐져서 되는 것이 아니다 993년, 요나라 80만 대군이 고려를 침범하자 문신 서희는 적장 소손녕을 찾아가 담판을 지었다. '고구려를 계승한 거란에게 옛 고구려 땅을 반환하라'는 소손녕의 요구에 서희는 "고구려 옛 땅에 나라를 세워 고려라 했는데 어찌 그대들이 고구려의 후손이라 하.. 2006. 11. 14.
투탕카맨은 한민족? 피라미드에 대한 생각 Q. 중국 장안유역의 피라미드는 누가 건설한 것인가 ? 단군조선(BC2333)보다 128년 늦게 출발한 중국최초의 나라 ‘하나라’ 이전 중국역사는 없습니다 오직 동이(이족/한국/한웅)의 역사가 있을 뿐입니다 → 그렇다면 그 피라미드의 주인공은 누구인가 ? 만년전 그땅에 누가 살았는.. 2006. 11. 14.
한민족 얼굴을 한 이집트 파라오 상..이들은 누구일까요? 이들은 누구일까요? 지금부터 1만2천년~8천년전 인류4대문명의 씨앗을 가지고 동북아시아에서 개와 함께 세계로 이동한 사람들에 대한 힌트입니다. 이집트의 파라오 아케나톤입니다.(BC 1,800년) 전형적인 북방계 몽골로이드형이지요. 이집트의 다신교를 거부하고 오로지 태양신만을 유일한 신으로 여.. 2006. 11. 14.
고주몽의 죽음에 관한 미스테리 <고주몽의 죽음에 관한미스테리><주몽의 의미> 글쓴이 : 이문규 / 2006-06-12 오전 06:54:04 고구려 시조 주몽, 그 죽음의 미스테리 우리에게 자랑스런 역사를 안겨준 고구려. 그 고구려를 건국한 이는 바로 고주몽이라는 인물이다. 그는 고구려인들에게 추모성왕이라는 시호로, 후대인의 기록에는 .. 2006. 11. 14.
한민족을 지켜 온 정신, 낭가郎家 얼마 전 신문에 충격적인 기사가 실렸다. 한·중·일 청소년 의식조사 결과, 우리나라에서 전쟁이 나면 앞장서서 싸우겠다는 청소년이 10명당 1명밖에 안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일본의 4분의 1에 불과한 것이었다. 나라야 어떻게 되든 내 살길을 먼저 찾겠다는 것이 오늘날 대한민국 청소년.. 2006. 11.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