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민족 역사문화2174 뿌리역사를 알고 멋지게 외쳐보자! "대~한민국" [집중조명] 깨어나라 대한의 혼이여(2) 역사 도난, 이제 고구려 사람마저? “고구려 사람은 결코 조선인이 아니다”(高句麗人 幷非朝鮮人) 중국 지린성 지린시에 위치한 고구려 용담산성 안내간판에 최근 쓰여진 문구다. 고구려를 중국변방의 소수민족사라 하더니 이제는 아예 고구려.. 2006. 11. 15. [해외통신원 리포트] 해외 한류 생생 체험기 [특집] [해외통신원 리포트] 한류 생생 체험기 일본 오사카 한류상품 날개돋힌 듯 이창진 (오사카 ) 일본에서의 한류는 동경이 주도해 왔고, 오사카는 후발도시에 속한다. 주로 80년대에 일본으로 건너와 정착한 재일교포(뉴커머)들이 이곳의 한류산업을 주도해 가고 있다. 동경의 한류산.. 2006. 11. 15. 대~한민국 세계로 미래로! 화이팅! [특집] 기획특집_ 대~한민국, 세계로 미래로! 한·류·열·풍·과·한·국·문·화·의·매·력 최근 중국, 동남아 등에서 불기 시작한 한류 열풍이 세계각국으로 확산되고 있다. 지난 100여 년 동안 주로 서양문화를 수입하던 우리 대한민국이 바야흐로 문화수출국으로 발돋움하고 있는 것.. 2006. 11. 15. 장차 조선이 세계 일등국이 된다! [특집] 장차 조선이 세계의 일등국이 된다 100년 역사의 놀라운 성취, 대~한민국 소중화(小中華)가 장차 대중화(大中華)로 바뀌어 대국의 칭호가 조선으로 옮겨오게 되리라. (道典 5:118:4) 장차 신문명이 나타나리라. 우리나라 문명을 세계에서 배워 가리라. (道典 5:11:5∼6) 100.. 2006. 11. 15. 태극기 세대 하늘이의 하루! [특집] 태극기 세대 하늘이의 하루 한류 열풍의 기저에는 장구한 역사 속에서 축적된 한국문화가 자리하고 있다. 평범한 젊은 한국여성의 하루를 통해 생활 속에 배어 있는 우리 문화의 우수성과 과학성을 소개한다. 띠리리리리~ 문자 메시지가 왔다. ‘9시 30분 학교 정문 시계탑에서 봐.. 2006. 11. 15. 한류와 우리 문화 강철근_ 한류문화연구원장, 중앙대 교수 한국의 대중문화와 전통문화를 아우르는 새문화 나는 지금도 10여 년 전 어느 날의 ‘박수근 전’과 ‘이중섭 전’의 충격과 감동을 잊을 수가 없다. 치열하게 살다 간 한 인간의 모습이 가장 진솔하게 그리고 강렬하게 전달되었다. 더군다나 도록에 .. 2006. 11. 15. 한민족 문화의 본질과 특징 윤창열_ 대전대 한의학과 교수 얼마 전 한국 가수들의 노래가 중국과 동남아에서 크게 인기를 끌더니, 근자에는 한국 드라마와 영화가 일본과 중국 동남아를 넘어 중동과 아프리카, 더 나아가 핀라드 미국 등까지 거침없이 확산되고 있다. 이런 문화현상을 요즘 ‘한류(韓流)’라고 부른다. 문.. 2006. 11. 15. 진정한 충을 몸으로 실천한 대표적 인물인 고려 건국 충신, 신숭겸 장군 진정한 충을 몸으로 실천한 대표적 인물로는 고려를 건국한 충신, 신숭겸(申崇謙) 장군이 있다. 신숭겸은 태조 왕건(王建)을 도와 고려를 건국한 충신으로 왕건과는 의형제의 결의를 맺은 장군이다. 그는 광해주(光海州, 지금의 춘천) 출신으로 장대한 체격과 용맹을 겸비한 장수이며, 폭정을 일삼.. 2006. 11. 15. [동영상] 북한 아이들의 대단한 조직력 불쌍하다는 생각이....T.T 2006. 11. 15. 천부경(삼일신고, 참전계경)-최민자 천부경(삼일신고 참전계경)-최민자 1. 이 책은 한민족의 3대 경전이라고 할 수 있는 <천부경>, <삼일신고>, <참전계경>을 정치(精緻)한 학문적 기준과 영적 체험을 기반으로 주해한 책. 그동안 ‘국학(國學)’ 또는 ‘재야사학’의 대상으로만 다루어졌던 이들 경전이 강단학자의 주해를 통.. 2006. 11. 14. 이전 1 ··· 199 200 201 202 203 204 205 ··· 2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