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 시대를 살아가면서 꼭 알아야 할 유용하고 세상에서 가르쳐 주지 않는 차원 높은 정보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본 블로그에서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핵심을 잘 간파하셔서 끊임없이

한민족 역사문화2174

신라를 계승한 금나라와 청나라 금(金)나라와 청(淸)나라의 조상은? 청나라의 전신인 후금(後金)을 세운 왕의 이름은 누르하치이다. 그런데, 만주족(여진족)을 이끌고 후금(後金)을 세운 여진족의 수장 누르하치는 그 성(姓)이 "애신각라(愛新覺羅)"이다. 누르하치가 자신의 본래 성을 버리고 애신각라를 새로운 성으로 삼으면서 모든 .. 2007. 10. 12.
우리역사 바로잡기 저도 학교 國史시간에서 여러분이 알고 있었던 역사와 똑같은 역사를 배워왔고, 그것이 진실인 것으로 알고 있었습니다. 우리의 역사는 완벽하고,틀린 것이 없는데, 중국과 일본의 역사는 우리의 역사를 축소시키려는 줄만 알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진실은 그것만이 아니었습니다. "환단고기"라는 책.. 2007. 10. 12.
왜곡된 백제의 역사 백제는 고구려 , 신라에 비해 영토도 작고, 왜소한 나라로 우리에게 알려져 있다. 적어도 우리나라 초, 중, 고 교과서에는 그렇게 되어있다. 그런데 중국의 역사책의 백제에 대한 기록은 두 가지 상반된 기록이 공존하고 있다. 하나는 "백제의 왕의 사신이 중국 왕에게 조공을 올렸다."는 식으로 백제의 .. 2007. 10. 12.
고구려, 백제, 부여의 국명에 대하여 <고구려(高句麗)는 음이 '고구리'이고 백제(百濟)는 음이 '맥제'이어야 한다 > - 국명을 바로 발음하자 - ㉮ 고구리의 이름을 사서에서는 고구려, 고구려, 구려, 구려, 고려, 고려, 고리, 고리, 하구려, 맥 이, 구여, 구루(高句麗, 高句驪, 句麗, 句驪,高麗, 高驪, 藁離,  離, 下句驪, 貊耳, 句餘 溝 )등으.. 2007. 10. 12.
우리의 잃어버린 영토 문제 우리의 잃어버린 영토 문제 최근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과 이에 맞선 ‘대마도의 날’ 조례 제정으로 독도와 대마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일본 문부과학상이 독도가 일본 영토라는 내용을 학습지도요령에 넣어야 한다고 다시 주장하는 등 일본인들의 망언은 그칠 줄을 모른다. 독.. 2007. 10. 12.
KOREA와 COREA의 진실 KOREA와 COREA의 진실 일제시대 알파벳 순서 상 Corea는 Japan보다 훨씬 앞에 오고 Korea는 뒤에 나옵니다. 이것 때문에 한국의 영어표기인 Korea와 Corea에 대해서 수많은 얘기들이 있습니다. [질문 1-1] 일제시대 이전까지는 한국을 영어로 표기할 때 원래는 Corea였었는데 올림픽에 출전할 때 한국이 일본보다 먼.. 2007. 10. 12.
8세기 세계 4대 도시였던 서라벌 조선 후기의 한양 인구가 20만인 것을 볼 때, 1000년 전의 도시 인구가 100만이란것은 정말 대단한 숫자이다. 하지만 신라는 단지 인구만 많은 도시는 아니었던 것 같다. 위의 [왕경도]에서 볼 수 있듯이 신라는 대단한 계획 도시였다. 천년 전 신라인이 걸었을 길은 집과 집 사이로 반듯하게 나 있었다. 또.. 2007. 10. 12.
신라 왕이 사는 도시 그림-왕경도 고려때의 개경도 추정인구 50만에 [외국인 타운]이 존재할 정도로 국제적인 무역도시였습니다만, 신라 서라벌도 그에 못지 않게 대단했습니다. 8세기 전세계 4대도시 는 콘스탄티노플, 장안, 바그다드, 그리고 신라 서라벌 이었습니다. '우리 고구려 바로알기, 해나라 ( http://haenara.net )' 에 올린 신라 인.. 2007. 10. 12.
8세기 세계 4대도시 신라 서라벌 어제 였죠.. 간간이 네이버 인죠이 재팬에 들어가는데.. 여기 많은 분류의 커뮤니티가 있고.. 많은 한국사람들과 일본사람들이 통역프로그램으로 서로 이야기 하는데.. 역시 역사이야기가 항상 화두에 오르곤 하죠. 조금 지난 이야기에서 8세기 일본 도시의 규모를 자랑하는 일본인의 글이 올라오고. .. 2007. 10. 12.
세계와 사통팔달한 대진국 발해 [한겨레] 어울림문화 꽃피운 다섯갈래 국제교류망 발해는 동방의 강대국답게 튼튼한 국가체제에 기반하여 5대 교통로를 통해 세계와 사통팔달함으로써 주권국가로서의 국제성을 확보하고 있었다. 따라서 장안에 버금가는 수도를 가진 대제국 발해를 누구에게 얽매인 변방의 한 소수민족 정권이라고 .. 2007. 10.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