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 시대를 살아가면서 꼭 알아야 할 유용하고 세상에서 가르쳐 주지 않는 차원 높은 정보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본 블로그에서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핵심을 잘 간파하셔서 끊임없이

한민족 역사문화2174

독립운동가 3人의 어록 단재 신채호 선생 인류로써 인류를 압박치 못하며 사회로써 사회를 박삭(剝削)치 못하는 이상적 조선을 건설할지니라. **박삭(剝削): 상처입히고 해치다 -조선혁명선언-중에서 민족을 버리면 역사가 없을 것이며, 역사를 버리면 민족이 자기 나라에 대한 관념이 없어질 것이니. 아, 역사가의 책임이 또.. 2007. 10. 13.
삼국은 중국 대륙에 존재했다!? TV 책을 말하다 - 삼국시대 천문기록을 통한 고구려,백제,신라의 영역 중국대륙의 삼국(인용글- 편집) 박창범은 1994년에 한(韓)민족의 사서에서 '삼국시대 천문현상 기록'을 이용해서 삼국의 위치를 연구한 내용입니다.   고려시대의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는 삼국시대에 일어난 일식(日蝕.. 2007. 10. 13.
[환단고기]의 기록과 일치하는 고고학적 물증 20가지 [환단고기]의 사료적 가치를 증명하는 물증 20제 환국 배달국 단군조선의 역사성에 관하여 그 실체를 의심하는 사람들에게 다음의 몇 가지를 통해 그 진실성을 말해 보고자 합니다. 환국 배달국 단군조선에 관한 기록이 풍부히 남아 있는 곳은 환단고기입니다. 여기서는 환단고기의 기록과 고고학적 .. 2007. 10. 13.
역사의식을 일깨워주는 명언-단군세기(檀君世紀) 서(序) [환단고기(桓檀古記)] 중 [단군세기(檀君世紀) 서(序)] 앞부분. 고려 공민왕 12년(1363년) 10월 3일에, 행촌(杏村) 이암(李嵒) 지음. 爲國之道(위국지도)가 莫先於士氣(막선어사기)하고 莫急於史學(막급어사학)은 何也(하야)오. 나라를 위하는 길은 사기(士氣)보다 우선하는 것이 없고, 사학(史學)보다 .. 2007. 10. 13.
[환단고기(桓檀古記)]<삼성기(三聖記)> '삼성기(三聖記)'란 세 성인들에 대한 기록이라 할 수 있겠는데, 그 세 성인이란 환인 환웅 단군을 말하지요. 그런데, 꼭 환인이 한 분, 환웅이 한 분, 단군이 한 분이 아니고, 여러 분들이 있었지요. 환인은 7분, 환웅은 18분, 단군은 47분. 왼쪽 메뉴줄에서 &lt;한민족사의 국통맥&gt;을 참조하시기 바랍니.. 2007. 10. 13.
식민사학 거두, 이병도의 뒤늦은 참회의 글 친일명단 이병도 교수의 뒤늦은 참회 오늘 발표된 1차명단에는 국내 역사학계의 거목인 이병도 교수 등이 포함돼 파문이 일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사학계의 태두인 이병도 교수는 ‘정체성론’, ‘타율성론’ 등을 토대로 한국 역사를 체계적으로 왜곡한 조선사편수회에서 오랫동안 일한 인물입니다.. 2007. 10. 12.
일제하 최대의 독립운동 자금원이었던 보천교 *보천교*는 다름아닌 바로 "증산 상제님"을 신앙한 종교단체임. 일제시대 보천교의 독립운동과 물산장려운동 친일 인물 3000여명 발표 종교분야도 모르고 있던 인물들이 발표가 되었고 종교별 친일들이 속속 드러나고 있습니다 광복 60주년을 기념해서 60년동안 드러나지 않은 독립운동및 운동가들도 .. 2007. 10. 12.
계림유사「鷄林類事」 어느 정도 대륙에 존재하였던 고려이전의 우리역사에 수긍하는 사람이라도 제기하는 또하나의 의문점이 있다. 그것은 우리말과 중국말(편의상 지금의 중화인민공화국의 말로 지칭하기로 한다)이 엄연히 다른데 그런 다른 언어를 가진 사람들이 어떻게 모두 없어질 수가 있느냐는 것이다. 만일 대륙.. 2007. 10. 12.
고려도 중국 대륙에 있었다? - 고려의 강역[고려도경] 고려도경으로 본 고려의 강역 일단 처음으로 주장해야 할 것은 대륙고려론이 아닌가 생각되어 집니다. 역사스페셜 홈페이지를 비롯하여, 기타 다른 역사학회, 역사관련 사이트에서 신진 역사학도들에 의해 주장되어지는것이 중국 송(宋)나라의 "고려도경"이라는 사서를 의거한 대륙고려론 입니다. 물.. 2007. 10. 12.
독도와 간도에 대해서 독도 "울릉도 동남쪽 뱃길따라 이 백리 외로운 섬하나 새들의 고향"이라는 것은 다 압니다. 작은 섬하나를 두고 일본과 기분이 안 좋습니다. 그런데, 우리의 역사에서 애매하다고 하는 곳이 바로 간도입니다.. 하지만, 간도가 어디라고 가르치지는 않습니다. 西爲鴨綠, 東爲土門, 故於分水嶺上 "조선 숙.. 2007. 10.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