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 "신종플루 확산 대비책 마련해야"
머니투데이 | 신수영 기자 | 입력 2009.05.26 11:34
[머니투데이 신수영기자] 정부가 지역사회에서 신종플루 유행이 확산될 가능성에 대비해 긴급 대책 마련에 나섰다. 이에 따라 격리병상을 추가로 확보하고 민간의료기관에서도 신종플루 확진 검사를 할 수 있게 하는 방안 등이 추진된다.
보건복지가족부 중앙인플루엔자 대책본부는 25일 오후 전재희 복지부 장관 주재로 전문가 자문회의를 개최하고 이 같은 대책을 논의했다.
이는 최근 외국인 어학원 강사 사이에 신종플루가 집단발병하고 여름방학을 맞아 해외 유학생 귀국이 늘어나는 등 지역사회 확산 위험이 커진데 따른 것이다.
이번 회의에서 전문가들은 이번 신종플루가 계절인플루엔자보다 중증도는 높지 않다며 과도하게 불안할 필요는 없다고 지적했다. 다만 전염력이 높아 단기간에 대량으로 환자가 발생할 수 있는 만큼 지역사회에서 유행이 시작되면 환자규모를 줄이고 유행속도를 늦추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의료기관과 학교를 중심으로 일일감시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또 인터넷 동영상 강의, 홍보자료 등을 만들어 국민과 보건의료인에 배포, 정보제공과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들은 전염병의 특성상 신종플루 감염이 확산될 수 있고 만성질환자 등 건강이 좋지 않은 사람들 가운데 사망자도 나올 수 있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현재 보건소 등 정부기관에서만 가능한 신종플루 확진검사를 민간의료기관에서도 할 수 있도록 해 조기 환자 발견에 힘써야 한다는 의견을 내놨다.
이와 관련, 복지부는 3주간의 감시 기간을 거쳐 신종플루 감염이 확산되면 예방 중심에서 환자 관리 중심으로 대응체계를 전환할 방침이다.
이렇게 되면 위험지역 입국자에 대한 전화 추적 모니터링이 문자전송(SMS)으로 대체되고 이로 인해 남는 인력은 환자 치료 등에 투입된다.
전문가들은 특히 지역사회 유행이 확산되면 현재 확보된 격리병상 197병상 외에 전염병치료병상 약 1만개를 환자 치료를 위해 운영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환자가 늘어나게 되면 격리병상에 수용하는 데 한계가 있으므로 경증 환자는 자택 격리치료를 받도록 하고 중증 환자를 우선적으로 입원시키는 방안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했다.
아울러 임산부, 만성질환자 등 고위험군을 우선적으로 보호하고 필요할 경우 학교 휴교, 집회 제한 등 조치를 적절히 취해 전염을 차단하는 대책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한편, 이날 회의에는 경만호 대한의사협회장, 지훈상대한병원협회장, 박승철 신종플루 전문가위원회 위원장 등 전문가 16명이 참여했다.
모바일로 보는 머니투데이 "5200 누르고 NATE/magicⓝ/ez-i"
신수영기자 imlac@
<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보건복지가족부 중앙인플루엔자 대책본부는 25일 오후 전재희 복지부 장관 주재로 전문가 자문회의를 개최하고 이 같은 대책을 논의했다.
이는 최근 외국인 어학원 강사 사이에 신종플루가 집단발병하고 여름방학을 맞아 해외 유학생 귀국이 늘어나는 등 지역사회 확산 위험이 커진데 따른 것이다.
이번 회의에서 전문가들은 이번 신종플루가 계절인플루엔자보다 중증도는 높지 않다며 과도하게 불안할 필요는 없다고 지적했다. 다만 전염력이 높아 단기간에 대량으로 환자가 발생할 수 있는 만큼 지역사회에서 유행이 시작되면 환자규모를 줄이고 유행속도를 늦추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의료기관과 학교를 중심으로 일일감시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또 인터넷 동영상 강의, 홍보자료 등을 만들어 국민과 보건의료인에 배포, 정보제공과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들은 전염병의 특성상 신종플루 감염이 확산될 수 있고 만성질환자 등 건강이 좋지 않은 사람들 가운데 사망자도 나올 수 있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현재 보건소 등 정부기관에서만 가능한 신종플루 확진검사를 민간의료기관에서도 할 수 있도록 해 조기 환자 발견에 힘써야 한다는 의견을 내놨다.
이와 관련, 복지부는 3주간의 감시 기간을 거쳐 신종플루 감염이 확산되면 예방 중심에서 환자 관리 중심으로 대응체계를 전환할 방침이다.
이렇게 되면 위험지역 입국자에 대한 전화 추적 모니터링이 문자전송(SMS)으로 대체되고 이로 인해 남는 인력은 환자 치료 등에 투입된다.
전문가들은 특히 지역사회 유행이 확산되면 현재 확보된 격리병상 197병상 외에 전염병치료병상 약 1만개를 환자 치료를 위해 운영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환자가 늘어나게 되면 격리병상에 수용하는 데 한계가 있으므로 경증 환자는 자택 격리치료를 받도록 하고 중증 환자를 우선적으로 입원시키는 방안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했다.
아울러 임산부, 만성질환자 등 고위험군을 우선적으로 보호하고 필요할 경우 학교 휴교, 집회 제한 등 조치를 적절히 취해 전염을 차단하는 대책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한편, 이날 회의에는 경만호 대한의사협회장, 지훈상대한병원협회장, 박승철 신종플루 전문가위원회 위원장 등 전문가 16명이 참여했다.
모바일로 보는 머니투데이 "5200 누르고 NATE/magicⓝ/ez-i"
신수영기자 imlac@
<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실시간 지구촌 개벽소식 > 전염병 관련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종플루, 확산에 따른 변종이 관건 (0) | 2009.05.27 |
---|---|
국내 신종플루 감염자 29명으로 확산-5월 27일 (0) | 2009.05.27 |
일본, 신종 인플루엔자 감염자 350명으로 증가 (0) | 2009.05.26 |
신종플루 감염자 세계 1만2515명 (5월26일 현재) (0) | 2009.05.26 |
국내 신종플루 감염자, 23명으로 늘어 (0) | 2009.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