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 <第十六篇 安義篇> 안의편
편안하고 옳바름.
一. 顔氏家訓曰,夫有人民而後有夫婦,有夫婦而後有父子,有父子而後有兄弟,
一家之親,此三者而已矣,自玆以往,至于九族,皆本於三親焉,
故,於人倫,爲重也,不可無篤
안씨 가훈에 이르기를, 대저 백성이 있은 뒤에 부부가 있고, 부부가 있은
뒤에 부자가 있고, 부자가 있은 뒤에 형제가 있나니, 일가의 친함은 이 세
가지일 뿐이니라. 이로부터 구족(九族)에 이르기까지 모두 이 삼친(三親)에
근본을 두느니라. 그러므로 인륜에 있어서 중요한 것이 되니 돈독함이 없어서는
안되느니라.
(字義) ○夫는 대저 부. 대개 말을 시작할 때 발어사(發語詞)로 쓰인다.
○~而後+술어~: "~하고 난 뒤에 ~한다"는 뜻으로 잘 쓰이는 구문이다.
○~而已矣에서 而는 앞 글과 이어주는 역할을 하고, 已는 그칠 이. 의역하면,
"뿐 이, 따름 이"의 뜻이고, 矣는 단정적으로 말을 마칠 때 쓰는 어조사이다.
"~而已矣"는 자주 쓰이는 표현으로 "~일 뿐이다. ~일 따름이다"의 뜻이다.
○自玆以往에서 自는 "~로 부터"의 뜻이고, 玆는 이 자. 以往은 以來와 같다.
○本은 여기서는 술어로 쓰였다. ○焉(언)은 술어와 붙어서(타동사+焉) 그
대상을(목적어를) 내포하기도 하고, 또는 단순히 처소격의 의미를 갖는 종결형
어조사로 쓰인다. 특히 문장 가운데에 처소격 어조사인 於가 있을 때는 이
焉으로 말을 끝맺기 마련이다. 말하자면 焉은 "於三親"을 한번 더 받아서 말을
끝맺는 것이다. ○不可+술어: 1)~할 수 없다. 2)~해서는 않된다. 여기서는 2)의
뜻이다.
二. 莊子曰,兄弟爲手足,夫婦爲衣服,衣服破時更得新,手足斷處難可續
장자가 말하였다. 형제는 수족이 되는 것이요, 부부는 의복이 되는 것이다.
의복이 떨어졌을 시에는 다시 새 것을 얻을 수 있으나, 수족이 짤라진 곳은
잇기가 어려우니라.
(字義) ○爲는 될 위. ○破는 깨뜨릴 파. ○술어+時: ~할 때. (when) ○更은
부사로 다시 갱. ○難+술어:~하기 어렵다·○續은 이을 속. (예)繼續, 續篇,
三. 蘇東坡云,富不親兮貧不疎,此是人間大丈夫,富則進兮貧則退,此是人間眞小輩
소동파가 말하였다. 상대가 부유하다고 해서 친한척 하지 않고, 상대가
가난하다고 해서 소원하게 하지 않는 것! 이는 바로인간세상의 대장부라 할
것이요, 상대가 부유하면 나아가고, 상대가 가난하면 물러나는 것! 이는
인간세상의 진짜 소인배라 할 것이다.
(字義) ○兮는 주로 두 글귀가 댓구를 이룰 때 쓰이는 어조사이다.
○"此是~"에서 此는 지시대명사로서 주어로 쓰였고, 是는 "~이다"의 뜻으로
술어이다. ○人間은 세상(世上)의 뜻이다. ○輩는 무리 배. (예)不良輩, 輩出
安義篇終
'차 한잔 쉼터 > 좋은글*명언*사상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 치정편: 올바른 정치 <第十四篇 治政篇> (0) | 2008.10.10 |
---|---|
15. 치가편:가정 통솔 <第十五篇 治家篇> (0) | 2008.10.10 |
17. 준례편: 예절에 대하여 <第十七篇 遵禮篇> (0) | 2008.10.10 |
18, 언어편: 말하는 것 .<第十八篇 言語篇> (0) | 2008.10.10 |
19. 교우편: 친구사귐에 관한 것 <第十九篇 交友篇> (0) | 2008.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