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第十五篇 治家篇> 치가편
가정통솔에 대하여
一. 司馬溫公曰,凡諸卑幼事無大小,毋得專行,必咨稟於家長
사마온 공이 말하였다. 무릇 지위가 낮고 어린 모든 사람들은 일이 크건 작건
구별없이 제멋대로 행동할 수 없으며, 반드시 집안의 어른께 묻고 여쭈어야 할
것이다.
(字義) ○凡은 1)무릇 범. 2)모든 범. 3)범상할 범. ○諸는 주로 한정어로 "모든
제" ○卑는 낮을 비. ○毋(무)는 금지사. ○專은 오로지 전. 크게 두가지 뜻으로
쓰인다. 하나는 "오로지 ~만 한다"는 뜻이고, 또 하나는 "제 멋대로, 독단으로
~한다"는 뜻이다. (예)專攻, 專業. / 專制政治, 專斷. 위에서는 후자의 뜻으로
쓰였다. ○咨는 물을 자. 諮와 통한다. ○稟은 품할(묻는다는 뜻이다) 품.
二. 待客不得不豊,治家不得不儉
손님을 대접할 때는 풍성하게 하지 않을 수 없으며, 집안을 다스림에는
검소하지 않을 수 없느니라.
(字義) ○待는 1)기다릴 대. (예)期待, 待期. 2)대할 대. (예)接待, 歡待.
○得다음에 술어가 오면 "~할 수 있다"의 뜻이다. ○不得不+술어: ~하지 않을 수
없다. 부득불 ~해야 한다. 不可不과 비슷한 뜻이다.
三. 太公曰,痴人畏婦,賢女敬夫
태공이 말하였다. 어리석은 사람은 아내를 두려워하고, 어진 여자는 남편을
공경하느니라.
(字義) ○痴는 어리석을 치. ○敬은 1)공경할 경. 2)삼갈 경. 조심할 경.
여기서는 1)의 뜻.
四 凡使奴僕,先念飢寒
무릇 노복을 부릴 때는 먼저 그들의 춥고 배고픔을 생각할지니라.
(字義) ○使는 1)사역동사로서의 使. 2)부릴 사. ○僕은 종 복. (예)奴僕, 公僕
(公僕은 영어의 "public servant"란 단어를 그대로 한자의 뜻을 빌어 만든 단어인
듯하다. 공무원을 지칭한다)
五. 子孝雙親樂,家和萬事成
자식이 효도하면 양친(兩親)이 즐겁고, 집안이 화목하면 만사가
이루어지느니라.
(字義) ○2.3 2.3으로 끊는다. ○雙은 두 쌍. ○親은 1)어버이 친. 2)친할 친.
六. 時時防火發,夜夜備賊來
수시로 불이 날 것을 막고, 밤마다 도적이 들 것을 대비할지니라.
(字義) ○역시 2.3 2.3으로 끊는다. ○防은 막을 방. ○發은 일어날 발. ○備는
1)갖출 비. (예)備忘錄, 裝備. 2)방비·준비·대비할 비. (예)防備, 準備, 備考.
○賊은 1)도둑 적 2)해칠 적.
七 景行錄云,觀朝夕之早晏,可以卜人家之興替
경행록에 이르기를, 아침 저녁의 이르고 늦음을 관찰하면 그것으로써(以) 그
집안의 흥하고 쇠함을점칠 수 있느니라.
(字義) ○早는 이를 조. ○晏은 늦을 안. ○可以는 한 단어로 "~할 수 있다"로
봐도 되고, 위의 번역처럼 직역해도 된다. ○卜은 점 복. 점칠 복. ○替는
1)대신할 체. 2)폐(廢)할 체. 현대에는 주로 1)의 뜻으로만 쓰이나, 옛날엔 2)의
뜻으로도 잘 쓰였다. ○興替(흥체)는 한 단어로 흥하고 쇠함을 뜻하는 말이다.
八. 文仲子曰,婚娶而論財,夷虜之道也
문중자가 말하였다. 혼인하고 장가드는데 있어서 재물을 논하는 것은
오랑캐들의 도리이니라.
(字義) ○문중자는 수(隋)나라때의 학자. ○婚은 혼인 혼. ○娶는 장가들 취.
○而는 앞 글과 뒷글을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처럼 앞글이 반드시
절(絶)일 필요는 없다. 而의 앞 글이 명사구나 부사 등이 올 수도 있다. ○虜는
오랑캐 로.
治家篇終
'차 한잔 쉼터 > 좋은글*명언*사상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 입교편: 배움에 대하여 <第十三篇 入敎篇> (0) | 2008.10.10 |
---|---|
14. 치정편: 올바른 정치 <第十四篇 治政篇> (0) | 2008.10.10 |
16. 안의편: 편안하고 옳바름 <第十六篇 安義篇> (0) | 2008.10.10 |
17. 준례편: 예절에 대하여 <第十七篇 遵禮篇> (0) | 2008.10.10 |
18, 언어편: 말하는 것 .<第十八篇 言語篇> (0) | 2008.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