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 시대를 살아가면서 꼭 알아야 할 유용하고 세상에서 가르쳐 주지 않는 차원 높은 정보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본 블로그에서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핵심을 잘 간파하셔서 끊임없이

한민족 역사문화/한민족 神敎文化365

상제님께서 붉은색 곤룡포를 입고 계신 이유는? 상제님께서 붉은색 곤룡포를 입고 계신 이유는? 상제님께서 붉은 색 곤룡포를 입고 계신 이유는 무엇일까요? 먼저 증산도 도전 속에 있는 말씀을 통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상제님의 성령의(聖靈衣) 1 12월에 고부 운산리 신경수의 집에서 공사를 보실 때 하루는 신원일에게 이르시기를 2 “네가 일찍.. 2009. 7. 20.
하느님 신앙의 종주국, 대한민국 하느님 신앙의 종주국, 대한민국 인류의 역사시대가 열리다 10,800년 전에 소개벽이 있었다. 이 소개벽을 당한 조난민들은 고산지대로 피난을 갔는데 천산산맥 알타이산맥 일대로 그들은 몰려들었다. 天山(하늘산) 알타이산 일대에 살고있는 조난민들의 삶은 황폐하고 비참했다. 천상天上에 계신 하느.. 2009. 7. 20.
한민족의 하나님 신앙문화 역사기록 한민족의 하나님 신앙문화 역사기록 하나님(하느님)의 호칭은 만년이 넘는 한민족의 역사 속에서 한민족이 믿고 따르던 상제님의 호칭이다. 하나님(하느님)은 한국을 제외하고는 이 지구상 어느 곳에서도 결코 불려진 적이 없는 한민족 고유의 호칭이다. 한민족은 아득한 예로부터 하늘에 계신 상제.. 2009. 7. 20.
‘상제님’이라는 호칭을 쓰는 이유 ‘상제님’이라는 호칭을 쓰는 이유  <종정님 말씀> 상제란 호칭은 증산 상제님을 모시는 우리가 인위적으로 만든것이 아니다. 상제님 자신이 상제로 부르라고 명하셨기 때문에 그렇게 부르는것이다. 바로 이것이 중요하다.    상제란 말은 약 4천년 동안 장구한 동방문화의 민중신앙의 역사 .. 2009. 7. 16.
천상의 제(帝), 상제님 천상의 제(帝), 상제님  [참고] 서양의 신(神)이란 말에 대응하여 예로부터 동양에서 쓰여온 술어가 제(帝)입니다. 이 제(帝) 자는 본래 땅의 왕을 말하는 것이 아니었습니다. 하늘의 신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상(商) 문명 이전 고조선 초기에도 이미 우주의 통치자 우주의 최고신을 제(帝)라고 부른 기.. 2009. 7. 16.
서양 기독교에서의 God와 동양의 하나님 상제의 차이 서양 기독교에서의 God와 동양의 하나님 상제의 차이  <종정님 말씀> 동양문화에서는 창조를 묵시적으로 부정한다. 그것은 동양문화의 우주론이 서양기독교 문화의 본 무대였던 중동의 사막문화와는 전혀 다른 자연환경에서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동양문화는 지난 수천년 동안 농경생활을 .. 2009. 7. 16.
상제님을 가장 잘 모신 한민족 상제님을 가장 잘 모신 한민족 상제님을 가장 잘 모신 우리 민족  <종정님 말씀> 이 땅은 상제문화의 본적지요 고향이다. 그러나 지금 우리 민족은 상제문화를 뿌리째 상실해 버렸다. 상제님께서는 역사의 뿌리를 되찾아 동방문화 도통줄을 바로잡기 위해 상제문화의 종주국인 조선땅에 강세하.. 2009. 7. 16.
불교와 상제님 불교와 상제님  <종정님 말씀> 석가 가르침의 최종결론이 뭐냐?  석가불이 이루지 못한 중생 구제는 자신이 아닌 다음 대의 부처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다음대의 부처, 곧 미래불 미륵불에 의해 인류의 깨달음의 궁극, 깨달음의 보편성, 도통문제가 성취된다는 것이다. 모든 인간의 부처.. 2009. 7. 16.
기독교와 상제님 기독교와 상제님  <종정님 말씀> 예수는 자신이 아버지라는 말을 하지 않았다. 예수가 자신을 지칭하는 말로 가장 즐겨쓴 것은 인자(人子)다.    하늘에 계신 아버지여. (주기도문)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내 말을 듣고 또 나를 보내 신 이를 믿는 자는 영생을 얻었고…. (요한.. 2009. 7. 16.
유교와 상제님 유교와 상제님  <종정님 말씀> 유가의 경전을 전체적으로 보면 천(天)사상은 천의 주재자인 천제(天帝) 즉 상제님을 전제로 하고 있다. 상제님이 바로 천명을 내리는 주인공이시다. 때문에 시경 서경 등 유가의 경전이 전달하고 있는 메시지는 상제님으로 귀결되는데 이는 마치 기독교의 신구약.. 2009. 7.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