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 시대를 살아가면서 꼭 알아야 할 유용하고 세상에서 가르쳐 주지 않는 차원 높은 정보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본 블로그에서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핵심을 잘 간파하셔서 끊임없이

천하대세 흐름 읽기/개벽조짐*예시현상155

우담바라...3천년만에 피다![법주사] 우담바라...법주사 석등에도 피었군요! 3천 년 만에 한 번 피는 우담바라가 여기 저기서 피어 나는군요. 우담바라는 거의 우리나라에만 핀다고 하던데... 그리고 우담바라가 피면, 전륜성왕께서 출현하신다고 하던데요? <포토>3천년만에 핀 법주사 우담바라 뉴스관리자 (csnews@csnews.co.kr) 2008-07-26 20:09.. 2008. 8. 4.
우담바라...울산 현대자동차 정문 우담바라! 우담바라! 우담바라가 또 피었군요!^^ 우담바라는 3천 년 만에 한 번 핀다는데... 우담바라는 거의 한국에서만 피다시피 한다고 합니다!^^ 현대車 정문에 우담바라(?) 연합뉴스 | 기사입력 2008.08.04 10:32 (울산=연합뉴스)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본관 정문에 3천년만에 한번 핀다는 전설속의 꽃으로.. 2008. 8. 4.
우리나라 곳곳에 핀 우담바라/화교TV에 소개 화교 TV에 방영된 『한국의 우담바라 개화소식』 중국국토가 남한보다 100배나 넓은 땅을 차지하고 한국의 사찰보다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많으며 또한 수많은 불상이 대륙 도처에 널려 있지만, 웬일인지 우담바라가 한국에서만 핀다. 이웃나라에서 볼 때 우담바라 개화소식은 매우 흥미롭고 신기할 .. 2008. 7. 28.
3천년에 한 번 핀다는 상상 속의 꽃인 '우담바라(優曇婆羅)' <한 벤처기업 사무실에 핀 '우담바라(?)'> 기사입력 2002-08-26 11:43 |최종수정2002-08-26 11:43 (대전=연합뉴스) 이은파기자 = 대덕밸리 한 벤처기업 사무실에 이름을 알 수 없은 희한한 꽃이 피자 직원들이 이를 3천년에 한 번 핀다는 상상 속의 꽃인 '우담바라(優曇婆羅)'로 부르며 신성시하고 있어 화제다... 2008. 7. 17.
흰 사슴 엘크 [동영상]....가을은 흰색 음양오행으로 가을은 금金이며, 색깔은 백색입니다! 곧, 천지계절의 질서가 한 번 크게 바뀝니다. 우주의 여름에서 우주의 가을로 말이죠! 지금은 선천 우주의 여름철말 끝자락에 서 있습니다. 이런 백색 동물의 출현은 곧 우주의 가을이 다 되었다는 천지의 상이며 조짐입니다! 이제 세상이 크게 한 .. 2008. 7. 17.
양주 야산서 흰 꿩 발견 *최근들어서 흰색 동물들이 자주 발견되고 있는데 이러한 현상들은 어떤 이유라도 있는걸까요? 아니면 그냥 희귀한 동물이라고 단순하게 보아 넘겨야 할까요? 흰색 동물들은 또 무엇이 있을까요? 많지요....흰색 쥐? , 흰색 고양이, 흰색 고라니, 희색 기린, 희색 캥거루, 흰색 까치 등 그리고 이번에 흰.. 2008. 7. 17.
흰색 동물이 출현하는 이유는 뭘까? 12년 추적 끝에 흰색 기린 촬영에 성공 팝뉴스 | 기사입력 2005-09-12 08:23 한 과학자가 희귀한 흰색 기린을 촬영하는 데 성공해 화제를 일으키고 있다. 야생동물 보호 협회(WCS)의 찰스 폴리가 흰색 기린에 대한 소문을 처음 들은 것은, 그가 탄자니아의 타랑기레 국립 공원에서 코끼리를 연구하던 때인 1993.. 2008. 7. 17.
흰색 메기 수염도 흰색, 희귀 ‘흰색 메기’ 낚은 미국 낚시꾼 팝뉴스 | 기사입력 2007-07-16 12:41 흰색 몸통과 수염, 분홍색 지느러미, 붉은색 눈동자를 가진 대형 메기가 잡혔다. 지난 11일 미국 콜롬비아미주리안의 보도에 따르면, 24kg이 넘는 이 메기는 이번 달 초순 미국 미주리강에서 한 낚시꾼에 의해 낚였다. .. 2008. 7. 17.
흰참새, 흰까치, 황금색 미꾸라지...길조인가? 생태계 문제인가? <충북 희귀동물 잇단 출현‥생태계 문제있나> 연합뉴스 | 기사입력 2008.07.05 08:01 | 최종수정 2008.07.05 08:58 (옥천.보은.영동=연합뉴스) 박병기 기자 = 최근 충북 남부지역서 황금색 미꾸라지, 흰 까치, 흰 참새 등이 잇따라 발견돼 생태계의 이상 여부 등 학계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5일 충북 보은.옥천.. 2008. 7. 7.
밀양 표충비가 또 땀을 흘렸다고 하는데....그 비밀은 결로현상??? 밀양 표충비가 또 땀을 흘렸다고 하는데.... 밀양 표충비에 대한 이야기들이 어느 것이 맞는 것일까? 과연 옛날부터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가 맞는지, 전문가의 분석이 맞는 것인지, 헷갈려서 알 수가 없다! 그렇지만 한 가지 분명한 사실은 우리는 예로 부터 나라에 어떤 큰 일이 생기기 전에 선각자들.. 2008. 7.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