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 시대를 살아가면서 꼭 알아야 할 유용하고 세상에서 가르쳐 주지 않는 차원 높은 정보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본 블로그에서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핵심을 잘 간파하셔서 끊임없이
뾰족한수의 방/나의뿌리*조상님,족보

형제간의 서열, 백중숙계(伯仲叔季)

by 바로요거 2017. 2. 7.

형제간의 서열, 백중숙계(伯仲叔季)

 

쌍방의 실력이 엇비슷할 때 흔히 난형난제(難兄難弟)라고 말한다. 형이라고 하기도 어렵고 아우라고 하기도 어려울 만큼 비슷하다는 뜻이다. 백중지세(伯仲之勢)라고도 한다. 백중(伯仲)은 본래 형제간의 서열(序列)을 일컫는 말이다. 맏 백()은 사람 인()과 흰 백()을 합한 글자이다. 사람이 흰 것은 나이가 많다는 뜻이니, ()은 가장 나이가 많은 첫째라는 뜻이다. 버금 중()은 둘째를 가리킨다.

 

옛날에는 형제간의 서열을 백중숙계(伯仲叔季)로 나누었다. ()은 셋째, ()는 막내를 가리키는 말로 썼다. 남자의 나이가 스물이 되면 자()를 받는데, 백중숙계의 서열로 자()를 삼는 경우가 많았다. 그래서 자()만 보고도 집안에서의 서열을 쉽게 알 수 있다.

 

수양산에서 고사리를 캐먹다 죽은 백이(伯夷)와 숙제(叔齊)는 첫째와 셋째이다. 공자의 자는 중니(仲尼)이니, 그가 둘째 아들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넷째 아들이었던 송강 정철(鄭澈)의 자는 계함(季涵)이다. 뒤로 오면서 구분이 번거로워져서 그냥 큰아버지는 백부(伯父), 작은아버지는 숙부(叔父)라고 부르게 되었다.

 

 

옛날에는 형제간의 서열을 백중숙계(伯仲叔季)로 나누었다. 남자들의 자()만 보고도 집안에서의 서열을 알 수 있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살아있는 한자 교과서 

 

 

이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이라면 꼭 알아야만 되는 고급정보-서적, 자료 무료 증정무료 대여합니다. 아래 링크를 클릭하셔서 내용을 잘 살펴보신 후에,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http://blog.daum.net/ilsimsycheonzoo/15978349

 

'뾰족한수의 방 > 나의뿌리*조상님,족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집과 뚱딴지  (0) 2017.02.07
어처구니가 없으면?  (0) 2017.02.07
항렬법(行列法)  (0) 2017.02.07
세대(世代)와 항렬(行列)과 촌수(寸數)  (0) 2017.02.07
촌수와 친족 호칭표  (0) 2017.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