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 시대를 살아가면서 꼭 알아야 할 유용하고 세상에서 가르쳐 주지 않는 차원 높은 정보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본 블로그에서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핵심을 잘 간파하셔서 끊임없이
한민족 역사문화/한민족사 바로알기

독도는 한국땅, 증거 자료들...315년전 일본 지도 外

by 바로요거 2008. 7. 15.

315년전 日지도 “독도는 한국땅”… 당시 조선지칭 ‘韓唐’ 으로 표기

국민일보 | 기사입력 2006.06.18 18:25

독도가 우리나라 영토임을 입증하는 일본의 고지도가 일본 문부과학성 산하 한 연구소에서 발견됐다.

부산외국어대 김문길 교수는 1691년 일본의 유명한 지도제작자인 이시가와 유센이 제작한 '해산조륙도(海山潮陸圖)'를 일본 문부과학성 산하 국제일본문화연구소 문서실에서 최근 발견했다며 18일 사본을 공개했다.

길이 170.8㎝,폭 81.3㎝인 이 지도에는 일본 시마네 반도 북쪽에 위치한 오키섬 오른쪽에 울릉도와 독도를 합친 섬이 그려져 있고 이 섬에는 '한당(韓唐)'이라고 표기돼 있다.

한당은 일본인들이 1592년 임진왜란 이후 조선과 함께 우리나라를 지칭하는 국가명이었으며 임진왜란 당시 납치해간 조선 도공들을 '당인(唐人)'이라고 부르기도 했다고 김 교수는 설명했다.

특히 이번에 발견된 고지도는 당시 유럽에까지 소개됐고 1715년 네덜란드 지도학자 레란도가 비슷한 모양의 '일본제국도'를 컬러판으로 제작했다. 일본제국도의 복사판도 같은 장소에서 발견됐다고 김교수는 전했다.

김 교수는 "일본의 역사와 교육을 책임지는 문부과학성의 직속기관에서 독도가 우리나라 땅임을 입증하는 고지도가 발견된 것은 의미가 크다"며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이 얼마나 터무니없는 것인가를 다시 한번 확인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
< GoodNews paper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독도는 우리 땅입니다.

독도는 울릉도에서 동남쪽으로 87.43km 떨어져 있습니다. 맑은 날에는 울릉도 산 위에서 독도를 볼 수 있습니다. 독도는 동도와 서도, 그리고 89개의 부속도서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독도의 주소는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 1~96번지입니다.

독도는 약450만년 전에 용암의 분출로 만들어졌습니다. 독도에는 갱이밥, 붉은 가시딸기, 구절초, 민들레 등 50여종의 식물이 살고, 딱정벌레, 나비 등 37가지의 곤충이 있습니다. 또한 바다제비, 괭이갈매기, 흑비둘기, 까마귀 등 22가지의 새들의 집단 서식지로 지질상의 특수성과 함께 학술적, 유산적 가치가 큼에 따라 문화재보호법에 의하여 1982년 천연기념물 제336(해조류보호구역)로 지정되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199 12 10천연보호구역으로 명칭이 바뀌었습니다. 그리고 독도 주변의 바다에는 오징어, 꽁치, 파랑돔 등 생선과 전복, 미역, 산호초 등 많은 해산물이 있습니다. 또한 독도에는 등대, 접안시설, 어업인 숙소 등의 시설이 있습니다.

신라 지증왕 13(서기512) 신라장군 이사부가 우산국을 정복하였습니다. 이때부터 우산국 영토의 일부인 독도는 우리 땅이 됩니다. 1531년 신중동국여지승람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습니다.

우산도(독도)와 울릉도 두 섬은 울진현의 동쪽에 있다. 우산도(독도)세 봉우리가 하늘로 곧게 솟았으며, 남쪽 봉우리가 약간 낮다. 날씨가 맑으면(울릉도에서도) 세 봉우리 위의 나무와 산 밑의 모래톱이 역력히 보인다.”

1693년 조선 숙종시대에 안용복은 일본 에도막부로부터 울릉도, 독도가 조선의 영토임을 확인하는 서계를 받았습니다.(숙종실록)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1876년 일본 시네마현에서 울릉도(죽도)와 독도(송도)를 시네마현에 포함할까요?”라고 질문을 하였고, 일본 내무성에서 울릉도와 독도는 조선영토라고 확인, 1877년 일본 태정관이 울릉도(죽도)와 독도(송도)는 일본과 관계없는 곳이므로 일본 지적에 포함시키지 말라고 결정하였습니다.

        *** 오늘날 일본은 독도를 죽도라 부릅니다.

1900년 대한제국칙령 제41호로 울릉군의 관리구역은 울릉도, 죽도(울릉도 동쪽에 있는 작은 섬으로 당시는 죽서도로 칭함), 독도로 정한다고 관보에 게재하여 전 세계에 알렸으며, 서양국제법 체계에서도 독도가 대한제국 영토임을 또 한번 세계에 공표하게 된 것입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일본은 줄기차게 자기네 땅이라고 우기고 세계인을 속이고 있습니다. 지도에 다케시마라고 표현토록 설득하고 이것도 안되면 리앙쿠르라는 명칭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잘 모르는 세계인이 속을 수도 있습니다. 이것이 적극적으로 독도가 한국땅임을 알려야 하는 이유입니다. 그리고 현재는 우리나라 사람이 살고 있고, 우리나라의 경찰이 지키고 있습니다. 독도는 역사적으로나 국제법적으로나 실질적으로 지배를 하고 있는 명백한 우리나라의 영토입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독도는 한국땅” 16세기 지도 발견

[서울신문 2005-08-06]


 

 

독도가 역사적으로 우리 땅임을 입증하는 새로운 지도 4개가 국내 최초로 공개됐다.

재불(在弗) 독도 연구자인 파리7대학 이진명 교수는 5일 ‘독도, 지리상의 재발견’(도서출판 삼인) 개정판을 통해

16∼20세기에 걸쳐 제작된 독도 지도 4장을 공개했다.

1550∼1600년 제작한 것으로 추정되는 조선전도,

17세기 후반 제작한 것으로 추정되는 ‘여지도(輿地圖)’,

프랑스 라루스출판사가 발간한 1959년판 세계지도책,

내셔널지오그래픽 지도 중 최초로 독도 명칭을 표기한 1971년판 ‘아시아’지도 등이 그것이다.

이 교수가 프랑스국립도서관과 고문서 보관소 등을 뒤져 그 사본을 직접 수집했다.

조선전도는 초대 주한 프랑스 공사 콜랭 드 플랑시의 수집품으로,1911년 경매 때 프랑스국립도서관이 구입했다.

이 지도에는 당시 다른 조선 지도와 마찬가지로 독도가 울릉도의 동쪽에 있고 두 섬이 인접해 나타나 있다.

여지도 역시 울릉도와 독도의 위치를 바르게 표시한 가장 오래된 지도의 하나로 국내에 처음 공개됐다.

12장의 지도로 구성된 지도첩으로 그 중 팔도총도와 강원총도에 울릉도와 독도가 나타나 있으며,

경상총도의 오른쪽 바다에는 ‘동해(東海)’라 표시돼 있다.

김미경기자 3Dchaplin7@seoul.co.kr">chaplin7@seoul.co.kr">

                                    

[저작권자 (c) 서울신문사]

 

 

2006년 5월 19일 (금) 14:00  미디어다음

"日 독도도발, '일본해' 단독표기 위한 것"

[인터뷰] 이돈수 한국해연구소장, "내년 IHO에서 '일본해' 단독 표기 가능성 높아"
최초공개, 대한제국 당시 '대한해'로 표기된 대한지도 홍보엽서

미디어다음 / 김준진 기자

세계지도 상에서 우리나라의 동해 표기가 '동해(East Sea)'가 아닌 '한국해(Sea of Korea)'였더라면 최근 일본의 독도 도발이 가능했을까. 과연 일본 정부가 '독도는 17세기 중반부터 일본 땅, 한국이 불법 점거했다'고 외칠 수 있었을까.

최근 일본의 독도 도발이 내년 국제수로기구(IHO)에서 '일본해' 단독 표기를 굳히기 위한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최초공개] 대한제국 시대에 만들어진 대한지도 홍보엽서. 한국에서 처음 공개되는 지도로서 대한제국 시대의 바다의 표기가 ‘대한해’라고 분명히 나타나고 있다. 이 지도는 대한제국시기의 우리의 동해 표기의 인식을 잘 보여준다.
이돈수 한국해연구소장(www.seaofkorea.org)은 최근 미디어다음과의 전화 인터뷰에서 "근래 일본은 포스트모던적 신제국주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며 "일본의 독도도발은 궁극적으로 동해의 '일본해' 단독표기를 노린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소장은 "최근 한일 양국간 타협은 한국식 해저지명 상정이 늦춰지는 결과를 낳은 우리 정부의 실패작이다"고 단언했다.

그는 "이대로 간다면 내년 국제수로기구(IHO) 회의에서 우리나라 동해의 국제 표기는 '일본해'로 굳혀질 가능성이 크다"며 "이 같은 지도표기를 통해 일본이 독도 영유권 문제에서 우위를 점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또 "한일 신어업협정이 일본의 독도도발에 빌미를 제공했다는 분석이 많지만 그렇지 않다"며 "어업협정은 일종의 전세계약일 뿐, 일본이 아무리 돈을 많이 들고 와도 우리 집, 우리 땅을 팔 수 있는 매매계약의 성격이 아니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이 소장은 " '한국해' 표기는 대한제국 시절 '대한해'를 계승하자는 것이다"며 "지식 사대주의와 식민지 교육의 영향으로 '쓰시마해협' 표기를 당연시하고 '황해' 표현을 써온 우리의 반성과 성찰도 시급하다"고 충고했다.

다음은 그와의 일문일답.

일본의 독도도발, '일본해' 단독 표기 위한 것
'일본해' 표기 굳어지면 독도 영유권도 日 유리



‘일한합병기념’ 엽서. 한일합방을 기념으로 일본인이 만든 지도에 나타난 동해의 일본해 홍보엽서. 이 엽서를 통해 보듯이 일본해가 우리에게 빼앗아간 이름은 동해가 아닌 대한해(Sea of Korea)의 표기. 비단 엽서뿐만 아니라 일본해가 빼앗아간 대한해의 표기는 여러 자료에서도 나타난다. [그림=한국해연구소]
최근 일본의 독도 도발이 계속되고 있다. 그 원인을 무엇이라고 보는가.
일본의 포스트모던적 신제국주의 때문이다. 이는 과거처럼 총칼로 드러나지는 않는다. 세계지도 상에서 독도를 다케시마로, 동해를 일본해로 바꾸는 것으로 나타난다. 지도 명칭 표기를 잠식해가면 결국 땅도 맞물리게 된다. 지도의 명칭은 공간적인 힘을 표출한다.

포스트모던적 신제국주의?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해달라.
일본이 갑작스레 독도주변 수로를 측량하겠다며 덤볐다. 이 과정에서 한일 양국은 '타협'을 했고 한국은 해저지명 상정을 무기한 미뤘다. 바꿔 말하면 1978년부터 일본이 사용해 온 쓰시마분지 표기를 당분간 그대로 인정한 셈이다. 일본은 이를 토대로 내년에 예정된 IHO 회의에서 '일본해' 단독표기를 확정 지으려 할 것이다. IHO의 3차 개정판은 1953년에 나왔고 54년이 지난 내년에 제4차 확정판이 발간될 예정이다. 여기서 일본해 단독표기가 확정된다면 한국은 앞으로 '동해' 표기 주장을 자제할 수밖에 없는 꼴이 된다.


인터넷에 나타난 베트남 벤동의 영문 표기인 East Sea. [그림=한국해연구소]
일본이 '독도'가 아닌 겨우 '일본해'라는 지도 표기를 노렸다는 말인가.
독도를 노린 것 같았지만 이건 당장 해결될 문제가 아니다. 독도를 건드리면 한국이 협상 테이블에 나올 것이고, 여기서 일본은 원하는 것을 얻었다. 그게 바로 '일본해' 단독표기로 가는 길목이었다.

'일본해' 단독표기가 굳혀지면 세계지도 상에서 그나마 병기됐던 '동해'표기가 사라진다. 독도와 다케시마만 분쟁지역이라는 꼬리표가 함께 남게 된다. 일본이 독도 영유권 주장에서도 한국보다 우위를 점할 수 있게 된다는 말이다.

실제로 110년 전 세키자와 아키기요 대일본수산회 간사는 1893년 '일본수산잡지'에서 "일본해란 공칭을 가진 이상 그 해상주권은 우리가 점유한 게 아니겠는가" 라는 말을 남기기도 했다.

한일 양국간 타협은 실패작..신어업협정은 전세 계약에 불과, 언제든 폐기 가능


1911년 조선총독부가 발행한 ‘시정(始政) 1주년 기념엽서’로 조선총독부가 1911년 독도를 한국의 영토로 간주했음을 입증하는 엽서(사진 왼쪽). 사진으로 독도등대(표기는 일본식 호칭인 죽도등대)가 등장한다. ‘시정 1주년 기념엽서’는 일본이 조선 통치 후 조선의 발전상을 홍보하기 위한 것이었다. 고로 여기에 독도가 나온 것은 당시 일본, 조선총독부가 독도를 한국 영토로 인정하고 있었던 것을 드러낸 것. 오른쪽은 엽서의 ‘죽도등대’ 부분을 확대한 것. [그림=한국해연구소]
그럼 이번 사태에 대한 한일 양국의 타협은 어떻게 평가하는가.
한국식 해저지명 등재를 무기한 연장했다는 점에서 실패작이라고 본다. 가만히 있는 우리를 건드린 것이 일본이고, 실속을 차린 것도 일본이다. 더구나 일본은 한국 내 국민감정을 악화시켜 자연스레 국제사회 공론화로 이끌어 내기도 했다.

1998년 한일 신어업협정이 일본의 독도 도발에 빌미를 줬다는 시각도 많이 있다. 이는 어떻게 보는가.
한일 신어업협정은 아파트 전세 계약 같은 것이다. 언제든 폐기할 수 있는 것이다. 일본의 독도 도발을 우리나라가 마치 매매계약처럼 대응한 셈이다. 적어도 우리는 독도 문제에 대해 강자적 입장인 것을 망각한 듯하다. 일본이 돈을 많이 가져온다고 내 집, 내 땅을 위협할 수는 없다.

현재 세계지도에서 '동해' 표기가 차지하는 비율은 어느 정도인가.
1990년대 이후 10여 년 동안 우리는 '동해' 표기 주장을 해왔고 그 결과 세계지도 가운데 3% 정도에서 성과가 나타났다. 하지만 일본은 지난해 다케시마의 날을 제정한 이후 1년 만에 다케시마 표기 웹사이트가 10배 이상 늘어났다고 한다.


동해는 국내용 한국해는 국제용 명칭


1880-1890 사이에 프랑스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데리우스와 르로이의 ‘아시아정치지도’에 나타난 서해의 한국해 표기. 동해에 나타난 한국해가 마지막으로 나타나는 지도의 부류로 한국해의 표기의 방랑이 극적으로 나타나는 지도이자 한국해의 표기가 서양고지도상에서 마지막 운명을 맞이하는 지도. [그림=한국해연구소]
'동해' 표기에 문제가 있다는 것인가.
'동해'는 국내표준명칭으로만 사용해야 한다. 중국도 국내 표준명칭으로 동해와 남해가 있다. 하지만 이들 바다의 국제표준명칭은 각각 동중국해와 남중국해이다. 19세기 이전 세계고지도 대부분에서도 이미 국제적 명칭으로 동해를 '한국해'라고 표기해 왔다.

그렇다면 지금까지 10년 이상 '동해'표기가 주장돼 왔던 이유는 무엇인가.
당시 정부의 행정편의주의적 발상이 아니었나 싶다. 학계에서는 '한국해'가 외래지명이기 때문에 안 된다는 견해가 주류였다. 유엔에서는 '외래지명보다 당사자 사용명칭을 존중'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럼 일본이 외래지명인 '일본해'를 위해 목숨을 거는 이유는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일각에서는 '한국만'(Korea Bay)'을 말하기도 한다. 이에 대한 견해는?
'한국만'의 재발견에 대해 일각에서 호들갑을 떨기도 했다. 국내 지도에서는 사용하지 않았지만 세계 유명 지도제작사들이 사용하고 있는, 뜻밖에 등장한 이 명칭은 ‘우리나라 국력 신장의 수확’이라며 말이다.

이는 무식의 소치다. '한국만'은 원래 있었던 개념이다. 북한의 황해도~평안도 연안을 가리키는 서해만 부분이다. 고지도에서도 이 명칭은 중국 사대주의적 표기인 '황해'에 밀려 바다(Sea) 이름을 달지 못한 수치스러운 이름일 뿐이다.

'일본해' 표기가 의미하는 영역은 어디에서 어디까지인가.
현재 세계지도 상에서 '일본해' 표기의 영역은 우리가 알고 있는 '동해'의 영역과 다르다. 지금 '일본해'는 우리나라의 남해와 대한해협, 동해를 전부 아우르고 있다. 이 영역을 그대로 받아들일 수 있는 명칭이 바로 '한국해'다.

한국해는 대한민국의 정통성 있는 이름


19세기말 네덜란드에서 제작된 지도에 나타난 한국만의 표기(사진 ). 20세기초 영국의 지도에서 나타난 한국만(Korea Bay)의 지도. [그림=한국해연구소]
'한국해' 표기의 의미를 정리한다면.
국제표준명칭으로서 '한국해' 표기는 대한제국의 정통성을 잇는 것이다. 대한제국 시절의 '대한해'를 계승하는 일이다. 19세기 이후 조선의 '동해'는 이미 '일본해'로 표기됐었다. 대한제국이 이를 바로 잡기 위해 사용한 표기가 '대한해'였다. 일제 강점기하에 처음 열렸던 1929년 IHO 회의에 대한제국이 참가했다면 어땠을까. 당연히 국호가 들어간 바다명칭, '대한해'를 주장하지 않았겠는가.

'한국해'의 사용은 지식 사대주의와 일제 강점기 교육의 잔재를 떨쳐버리는 일이기도 하다. '황해'는 중국 사대주의의 산물이고 '쓰시마해협'은 일제의 잔재다. 특히 원래 대한해협 동수로 자리였던 곳에 '쓰시마해협'이 언젠가부터 자연스레 자리잡았다는 것은 심각한 문제다.

한국해 표기가 옳다면 이 표기의 확산을 위해 구체적인 방안이 있는가.
한국 정부와 학계 주류에서 별다른 이유 없이 국제표준명칭으로서 '동해'를 끝까지 고집하면 안 된다. 월드컵에 나서는 축구대표팀도 수차례 평가전을 치르고 본선에 임한다. 마찬가지다. '동해'와 '한국해' 표기를 놓고 충분한 논의와 여론 수렴을 거쳐 '대표선수'를 뽑아야 한다.

국제 사회에서 어느 명칭이 더 호소력이 있는지, 무엇이 더 합리적인지 다시 판단하는 것이 맞지 않을까. 이런 과정을 통해 무엇을 선택하든 우리 주장의 근거는 튼실해질 것이다. 그렇게 내년 IHO 회의를 준비해야 한다.

추가로 하고픈 말이 있다면 해달라.
우리가 지난 이천 년 이상 사용해 왔다고 믿는 동해(東海) 명칭과 달리 East Sea는 불과 15년 전에 만들어진 이름이다. East Sea라는 표기가 어떤 이유와 논리에서 누가 어떻게 만들었는지 그 과정은 전혀 알 수 없다. 이런 상황에서 최근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면 항상 비슷한 해결 방법이 이어진다. 정치계에서 관심을 보이고, 갑작스레 예산 편성과 집행이 이뤄진다. 장기적 안목은 애초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어느 누구도 책임질 사람이 없다는 말이기도 하다. 부디, 한국 정부가 장기 계획으로 책임감 있게 독도와 동해표기 문제를 다뤄가길 바랄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