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 시대를 살아가면서 꼭 알아야 할 유용하고 세상에서 가르쳐 주지 않는 차원 높은 정보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본 블로그에서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핵심을 잘 간파하셔서 끊임없이
실시간 지구촌 개벽소식/지각변동*자연재해

지진 강타 인도네시아 ...폭우·화산·AI까지 끝없는 재앙

by 바로요거 2008. 5. 9.

""지진 강타 인도네시아 비상사태 선포…“먹을 것도 잘 곳도”"

동아일보 | 기사입력 2006.05.30 04:20

[동아일보]
인도네시아 중부 자바 섬에서 27일 발생한 강진(리히터 규모 6.3)으로 숨진 사람들의 시신이 추가로 발굴되면서 사망자는 5000명을 넘어섰다.

로이터통신은 지진 발생 사흘째인 29일 욕야카르타 주 3400명, 센트럴자바 주 1600명 등 최소 5000명이 숨진 것으로 집계됐다고 보도했다. 부상자도 5000명을 넘어섰고 건물과 가옥 3만5000여 채가 파괴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재민은 20여만 명에 이른다.

29일 인도네시아 주재 한국대사관 김상술(49) 홍보관은 "욕야카르타 재난조정본부의 발표에 따르면 5135명이 사망했으며 가옥 4만5289채가 파괴돼 재산피해가 3억 달러에 달한다"고 전했다.

AP통신은 구조 활동과 시신 발굴 작업이 본격적으로 진행되면 인명피해와 재산피해 집계 수치도 더욱 늘어날 전망이라고 전했다.

▽비상사태 선포=유수프 칼라 인도네시아 부통령은 28일 밤 각료회의를 마친 뒤 "피해 주민들에게 음식과 의료서비스를 공급하기 위해 8월까지 3개월간 비상사태를 선포한다"고 발표했다. 또 500억 루피아(약 50억 원)를 긴급 구호금으로 배정했다.

칼라 부통령은 이와 함께 "복구비용으로 최소 1억 달러(약 950억 원)가 필요하다"며 국제사회의 긴급 지원을 호소했다.

인도네시아 외교부는 각국 주재 대사들에게 지진 피해자를 돕기 위한 모금운동을 벌이라고 지시했다.

한편 수실로 밤방 유도요노 인도네시아 대통령은 피해복구를 진두지휘하기 위해 6월 초로 예정된 남북한 방문 일정을 취소했다. ▽고통의 현장=세계 각국의 구호품과 의료지원단이 피해 지역에 속속 도착하고 있지만 부상자와 이재민들은 고통 속에 신음하고 있다.

가옥이 파괴된 이재민들은 먹을 것과 잘 곳을 찾아 거리를 헤매고 있다. 지진으로 끊긴 전력이 아직 복구되지 않은데다 식료품점, 슈퍼마켓 등이 대부분 문을 닫았기 때문이다.

특히 욕야카르타 주에서도 가장 큰 피해를 본 반툴 지역은 성한 가옥을 찾아보기 힘들 정도. 복구에는 적어도 1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식량난이 계속되면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 5월 화교를 상대로 일어났던 폭동이 재연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28일에는 건기임에도 불구하고 수십 년 만에 많은 비가 내려 구조작업을 더디게 하고 있다. 해발 2911m의 므라피 화산이 15일부터 화산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내뿜은 증기 때문에 때 아닌 비가 뿌린 것이다.

반툴 인근 월로사반 병원에는 부상자 1000여 명이 몰렸으나 외과의사는 단 1명에 불과하다. 도로에는 '도와주세요'란 글씨가 적힌 모금함을 들고 지나가는 자동차를 가로 막고 구걸하는 어린이들이 넘쳐났다.

이호갑 기자 gdt@donga.com
■한국 구호기구-종교계 지원 줄이어…정부는 10만달러
국제구호개발기구인 월드비전 한국본부는 27일 발생한 강진으로 수천 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인도네시아에 긴급구호자금 10만 달러(약 9500만 원)를 지원하기로 했다고 29일 밝혔다.

또 한국국제기아대책기구는 이날 3만 달러 상당의 의약품을 지원하고 의료진 3명으로 구성된 긴급구호팀을 파견하기로 했다.

한편 한국 종교계도 지진으로 큰 피해를 본 인도네시아를 돕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벌이고 있다.

개신교의 '한국기독교연합봉사단'은 의료팀 4명과 구호팀 4명을 29일 현지로 급파했다. 이들은 재난 구호금 4만 달러와 5000달러 상당의 의약품을 갖고 갔다. '굿네이버스'도 이날 오후 의사 1명과 간호사 1명이 포함된 긴급구호 선발진 6명을 파견했다. 가톨릭 서울대교구 한마음한몸운동본부는 이날 가톨릭 국제구호기구인 카리타스인터내셔널을 통해 긴급 구호금 5만 달러를 지원했다. 불교 조계종 정토회의 국제구호단체인 JTS는 본격적인 구호단 파견에 앞서 피해 현장 조사요원으로 구호활동가 2명을 파견했다.

윤정국 문화전문기자 jkyoon@donga.com
문병기 기자 weappon@donga.com
"세상을 보는 맑은 창이 되겠습니다."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印尼 강진 사흘째…폭우·화산·AI까지 끝없는 재앙

문화일보 | 기사입력 2006.05.30 17:26

(::도로붕괴로 구호품 늦어져 이재민 13만명 식량난::)
인도네시아 자와섬을 강타한 대지진으로 페허가 된 욕야카르타에 29일 밤 폭우가 쏟아졌다. 집을 잃은 이재민 10만여명은 하늘에 구멍이라도 난 듯 쏟아져내리는 빗줄기에 꼼짝없이 몸을 맡겨야 했다. 이날 정부가 공식 집계한 사망자는 5400명을 넘어섰다. 게다가 욕야카르타에서 북쪽으로 30㎞ 떨어진 므라피 화산은 폭 발이 임박한 것으로 관측되고 있으며, 조류인플루엔자(AI) 사망자가 발생하는 등 인도네시아는 최악의 5월을 보내고 있다.

◆사망자 급증, 극심한 식량난 = 인도네시아 정부가 이날 발표한 공식 사망자는 5427명으로, 하루만에 800여명이 더 늘었다고 AFP통신은 보도했다. 부상자도 1만5000명, 이재민은 최소 13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유엔아동기금(NUICEF)은 이재민 13만명 중 40%는 어린이들이라고 밝혔다. 현재 구조작업이 진행

중이나, 지진발생 뒤 시간이 흐른 데다 폭우로 생존자 구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재민들은 여전히 의료지원 부족과 극심한 식량난에 시달리고 있다. 욕야카르타의 사르드지토 병원에는 평소보다 5배 많은 환 자들이 몰려들면서 일부는 병원 밖에서 '사롱(허리에 감는 천) '만을 덮고 비를 맞으며 잠들어야 했다. 또 이날 인도네시아 정부와 유니세프 등은 최대 피해지 반툴 등지에서 구호품 배분에 나섰지만, 부족한 구호물품과 산악도로 붕괴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잠프리프 지역의 주민 라스트리는 "이 마을에 300가구가 모여 사는데, 고작 쌀 2포대만 받았다"면서 "이것으론 어림도 없다"고 항의했다. 한 구호단체 관계자는 "공급이 부족한 것도 문제지만, 더 큰 문제는 도로 붕괴 등으로 분배 시스템을 갖추

는 게 늦어지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화산폭발 공포에 조류인플루엔자까지 = 2004년 12월 쓰나미(지진해일)로 큰 피해를 겪은 인도네시아는 이번 지진에 이어 므라 피 화산 폭발까지 임박하면서 공포가 엄습하고 있다. 화산 전문 가들은 욕야카르타 북부에 위치한 2900m 높이의 므라피 화산이 거의 폭발에 임박한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고 AP통신은 이날 전했다. 한동안 잠잠했던 므라피 화산이 이날 지진발생 이전보다 3배가 넘는 가스층을 뿜어내고 있다는 것. 욕야카르타 화산센터 수반 드리요는 "지진이 용암층의 불안정을 고조시킨 것 같다"면서 "현재 폭발 가능성이 큰 상황이어서 인근 주민들을 대피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또 인도네시아에서 지난 25일 한 가족이 AI에 감염돼 8명 중 7명이 사망하면서 AI의 인체간 첫 감염사례로 확실시돼 국내외적으로 큰 충격을 던져주고 있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이번 지진 피해를 계기로 1965년 군사쿠데타 이후 30 여년간 집권한 독재자 수하르토 전 대통령에 대한 향수가 다시 피어오르고 있다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30일 보도했다. FT는 "이재민들은 물론 인도네시아 전반에서 위기를 타개할 수 있는 지도자를 찾는 과정에서 욕야카르타 출신인 수하르토 전 대통령에 대한 지지가 나오고 있다"고 전했다.

신보영기자 boyoung22@munhw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