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를 공부하는 대상은 크게 둘로 볼 수 있습니다.
하나는 객관인 '우주'이고 다른 하나는 주관인 '나' 입니다.
과거 성현들의 공부 주제를 보면 '우주론'과 '인성론'이 있습니다.
우주만물은 왜 존재하며 어떤 법칙을 가지고 있는가?
인간은 왜 존재하며 인간이란 무엇인가?
인간과 우주는 어떠한 연관성 속에 있는가?
이런 의문들이 인간이 고뇌하여온 주된 주제였습니다.
유가에서 보면 우주론은 易(주역,정역등)이라는 사상체계로 발전하였습니다.
여기서는 무극-태극-음양-오행(팔괘,하도,낙서)-만물 순으로
우주의 존재 양상을 설명합니다.
여기에는 우주가 생겨나고 발전하며 퇴장하는
일련의 규칙들이 설명되어져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우주변화의원리나 다른분들 자료참조)
유가에서는 이러한 우주의 법칙을 한마디로 리理라는 개념으로 표현합니다.
또 리理를 현실에 역사하는 원질을 기氣라는 개념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북송오현 중 장횡거 선생은 太虛에 氣가 아니라면
어떻게 만물이 생겨날 수 있겠는가!라 하여 태허즉기太虛卽氣라 하였습니다.
여기서 태허란 우주의 태초의 상태인 태극을 의미합니다.
횡거 선생은 우주 만유는 기의 집산(모이고 흩어짐)에 의해 생겨났다 사라진다고 보았습니다.
太虛不能無氣 氣不能不聚而爲萬物 萬物不能不散而爲太虛
(태허불능무기 기불능불취이위만물 만물불능불산이위태허)
“태허는 기로 되어 있다(기가 없으면 불능하다).
기는 모여서 만물이 되지 않을 수 없다.
만물은 흩어져서 태허가 되지 않을 수 없다“.<장자전서:正蒙>
“기가 모일 때는 우리 눈에 뚜렷이 볼 수 있게 되어 개개 사물의 形이 있게 되고,
기가 흩어 질 때는 뚜렷이 볼 수 없게 되어 形이 없게 된다”.<장자전서:正蒙>
부언 하면,기가 뭉치면 有인 物이 이루어지고
物이 흩어지면 다시 無인 氣(太虛)로 돌아간다는 것입니다.
理氣論이 유가의 우주론이라면 心 性 情으로 대표되는 것은 人性論인데
주자선생의 가르침으로 보면 인간의 心性情은 천지의 易道神으로부터 비롯된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주자어류에 보면 주자선생은 이렇게 말합니다.
“또 말씀하셨다.
분명하게 깨달아야 하는데, 다만 명도 선생이
其體則謂之易 其理則謂之道 其用則謂之神
“그 체는 역이고 ,그 리는 도이며, 그 용은 신이다” 라고 한 것을 보면,
易 心也. 道 性也. 神 情也. 此天地之心性情也
:역은 천지의 마음이고
도는 천지의 性이고
신은 천지의 情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천지의 心 性 情이다.
<권오 성리2 주자어류 92조목>
인간에게 心性情이 있듯이 천지의 심성정은 易,道(理),神(氣)으로 볼 수 있다는 것입니다.
주역 계사상전에 보면
易 無思也 無爲也 寂然不動 感而遂通天下之故
역 무사야 무위야 적연부동 감이수통천하지고
“역은 思(사려함)가 없고 작위 함이 없다(無爲).
적연(고요하다)하여 부동하고,
감응하면 천하의 이치(天下之故:천하의 연고)를 통한다.”
라는 구절이 있습니다.
인간의 心性情를 논할 때도
寂然不動(고요하여 움직이지 않는다)은 性의 덕성이고.
感而遂通(감응하여 통한다)은 情의 덕성이라고 말합니다.
이로보면 성리학에서 인간의 심성정의 연원은 천지의 그것에 두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理氣와 性情의 관계에 있어서는,
인간에게 있어서 천지의 理는 인간의 본성(인의예지신)을 이루고,
氣는 情[사단(측은,수오,사양,시비)칠정(喜怒哀懼愛惡慾)]을 이룬다고 합니다.
체와 용의 관계에 있어서는 우주가 理(道)를 體로삼고 氣(神)로서 운용하듯이 인간은 性을 체로 하고 情으로 用한다고 합니다.
심과 성정의 관계에 대해서는 心統性情이라고 말합니다.
주자선생은 장횡거 선생의 심통성정(心統性情:마음은 성과 정을 통섭한다)이라는 이 말씀을 心性情의 가장 적절한 표현이라고 하였습니다.
(심통성정에 관련된 자료는 뒤에)
마음에대해서 주자 선생은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心者 氣之精爽“(기지정상)이다. <주자어류 권오성리일 27조목>
(精:정밀하다,爽:맑다,밝다)
“心者 神明之舍 爲一身之主宰”
“마음은 신명의 집이요 한몸의 주재가 된다”<주자어류 권98>
“人心本是 湛然虛明”[담연허명:(거울과 같이)맑아서 허명하다]<어류권16>
허령불매 이구중리 응만사(虛靈不昧 以具衆理 應萬事)<대학장구집주>
“허령하여 어둡지 않고 뭇 이치를 갖춤으로서 만사에 응한다.”
허령불매란 마음이 가지고 있는 덕성입니다.
만사에 응한다는 것은 知覺작용을 의미 합니다.
마음과 지각의 관계에 대해서는 이렇게 말합니다.
문집 지언의의(知言疑義)권73
所謂 心者 乃夫虛靈知覺之性 猶耳目之有見聞耳
소위 심자 내부허령지각지성 유이목지유견문이
“이른바 심의 허령지각하는 성질은 귀와눈에 보고 견문이 있는것과 같다.”
어류 권14 有知覺謂之心
“지각이 있음을 심이라한다.”
문집권55
性只是理 情是流出運用處 心之知覺卽所謂以具此理而行此情者也
성지시리 정시유출운용처 심지지각즉소위이구차리이행차정자야
“성은 단지 이 理이고 情은 그 理가 나와서 작용하는 곳이며 심의 지각은 이 理를 갖추고서 이 情을 행하는 것이다.”
맹자진심상: 心者 人之神明也 “마음이란 사람의 신명이다.”
문집권65
心者人之知覺 主于身而應事物者也
심자인지지각 주우신이응사물자야.
“심이란 사람의 지각이니 신체를 주관하며 사물에응하는것이다.”
( 인용문 출처: 출판사 예문서원‘주희의철학’저자 陣來 이종란옮김)
마음은 만지지도 잡을수도 없는 개념이지만 나에게 나의 마음이 없다면
나는 그 어떠한 것도 할 수 없을 것입니다.
도를 닦는다는 것은 마음을 닦는다는 의미를 포함한 개념일 것입니다.
닦는다 하면 실체가 있어야하는데,마음은 허공과 같아서 닦아야할 대상이
없다고도 말합니다.
닦는다는 말은 “바꾼다”라는 말이 더 적절 할 것 같습니다.
바꾸는 대상은 내가 우주 만유를 바라보는 세계관,우주관, 내지는 가치관일 것입니다.
세계관 우주관 가치관이라고 한다면 이는 우리가 인식이 가능한 개념들입니다.
주자선생 말씀으로 보면 인간의 마음은 허령불매하여
지각을 갖추고 몸을 주재하는 곳이고, 신명이 머무는 곳이며, 천지의 뭇이치(理:인간에게는 性)를 갖추고 만물과 감응하는 자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인생담론*행복론 > 인생행로*나침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음의 정의-주자 선생 (0) | 2008.04.05 |
---|---|
인간의 본성-북계자 (0) | 2008.04.05 |
역(易)의 세가지 뜻 (0) | 2008.04.04 |
음과 양에 대하여 (0) | 2008.04.04 |
유가의 심론3-만유의 상대성 (0) | 2008.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