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의 심론
중용장구
天命之謂性 率性之謂道 修道之謂敎
천명지위성 솔성지위도 수도지위교
하늘이 명한 것을 성이라하고
성에 따르는 것을 도라하며
도를 닦는 것을 교라한다.
주자 선생의 주
命은 오히려 령(令:명령)과 같다.
性은 곧 理이다.
천은 음양오행으로써 만물을 화생한다.
氣로써 모양을 만들고,理도 역시 부여되는 것이 오히려 令(명령)과 같다.
인간과 만물이 각기 부여된 바의 理를 얻음으로써
건순오상(乾順五常:仁義禮智信)의 덕을 이룬다.
이것이 이른바 性이다.
솔(率)은 순(循:좇다)이다.
道는 오히려 길(路)과 같다. 사람과 만물이 각기 그 性(본성)의 자연에 따르면 곧 일용사물 사이에는 각각 마땅히 가야 할 길이 있지 않음이 없다.
이것이 이른바 道이다.
修란 이(도)를 품절하는것이다.
(品節:본뜨다,인간 세상에 천지의 도를 실현시키는 일련의 행위로 한 개인에게는
도를 닦는 것이고,만민을 교화하기 위하여 제도나 규범등을 만드는 것을 품절이라한다.)
(부여받은)性과 道는 같다고 해도 기품(氣稟:천지로부터 받은기운)은
(氣는 만물을 차별짓는 요인으로,만물의 고저,청탁,후박등의 음양적 차별은
氣의 속성이다.)
다른 까닭에 지나침과 미치지 못함의 차이가 없을 수 없다.
성인은 사람과 만물이 가야 할 곳에 의해 이를 품절함으로써 법을
천하에펴니 곧 이를 敎라하며 예악형정(禮樂刑政)에 속한 것이 이것이다.
무릇 사람은 자기에게 性이 있음은 알아도 그것이 하늘로부터 부여된
것임을 알지 못하고,
일에 도가 있음은 알아도 그것이 性에서 비롯되는 것임을 알지못하며 ,
성인의 가르침(敎)이 있음은 알아도 그것이 나에게 본래부터 있는바를 따라 만든 것임을 알지 못한다.
그러므로 자사가 여기서 첫장(중용장구)을 펴서 밝혔으니
‘동중서’의 이른바[도의 큰 근원은 하늘에서 나왔다(道之大原出於天)]는
것 역시 이러한 뜻이다.
道也者는 不可須臾離也니 可離면 非道也니라.
도야자 불가수유리야 가리 비도야
도라는 것은 잠시도 떠날 수 없는 것이니, 떠날 수 있다면 도가 아니다.
是故로 君子는 戒愼乎其所不睹하며 恐懼乎其所不聞이니라.
시고 군자 계신호기소부도 공구호기소불문
그러므로 군자는 보이지 않는 바를 조심하고 삼가며, 들리지 않는 곳을 두려워하는 것이다.
주자선생의주
道라는 것은 일용사물이 마땅히 가야 할 理이다.
그것은 모두 性의 덕으로서 마음에 갖추어져 있어,물(物)로서 있지 않음이 없고 한때라도 그렇지 않음이 없다.또한 잠시도 떠날 수 없는 것이니,
만약 떠날 수 있다면 어찌 性을 따른다고 할 수 있겠는가!
이로써 군자는 언제나 경외를 지니고 있어서 보고 듣지 않더라도 역시 감히 소홀히 하지않고, 그로써 天理의 본연을 지켜
잠시라도 떠나지 않는것이다.
莫見乎隱이며 莫顯乎微니 故로 君子愼其獨也니라
막현호은 막현호미 고 군자신기독야
숨겨진 것보다 더 잘 드러나는 것은 없으며, 작은 것 보다 더 잘 나타나는 것은 없다. 그러므로 군자는 홀로 있을 때 삼가는 것이다.
주자선생의주
隱은 어두운 곳이고 微는 사소한 것이다.
獨은 다른 사람이 알지 못하는 곳이며 자기 혼자만이 아는 곳이다.
말하는 바는 유암(幽暗:숨어서 어두운)의 속, 세미(細微:작고.미미한)한 일은
비록 그 자취가 아직 나타나지 않았다 해도 기(幾;기미,낌새)는 곧 이미 움직여, 남이 모른다 하더라도 자기 혼자 이를 알면 곧 이는 천하의 일이니,
나타나 보이고 밝게 드러남으로 이보다 더한 것은 없다.
이로써 군자는 이미 언제나 경계하고 두려워하며 더욱더 삼간다.
그럼으로써 인욕(사욕)이 장차 싹트려하는 것을 막고,인욕이 은미한 가운데
붙어서 나고 몰래 자람으로써 도에서 떠남이 멀지않게 한다.(도를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喜怒哀樂之未發을 謂之中이오 發而皆中節을 謂之和니라
희로애락지미발 위지중 발이개중절 위지화
희로애락이 발(發)하지 않는 상태를 중이라 하고, 발하여 절도에 맞는 것을 화라 한다.
中也者는 天下之大本也요 和也者는 天下之達道也니라.
중야자 천하지대본야 화야자 천하지달도야
중은 천하의 대본이요, 화는 천하의 달도(통용되는 도)이다
주자선생의주
희노애락(喜怒哀樂)은 정(情)이다.
미발(발해지지 않은)한 것은 性이다.
편의(偏倚:치우치다)하는 바가 없는 까닭에 이를 中이라한다.
발해져서 보든 것이 절도에 맞음은 情의 바름이다.
괴려(乖戾:어그러지다)하는 바가 없는 까닭에 이를 화(和)라고 한다.
大本이라는 것은 천명지성(天命之性:하늘에서 부여한 본성)으로서,
천하의 이치(理)가 이에 의해 나오는 道의 體(체:본체)이다.
달도(達道)라는 것은 性에 따르는 것을 말하며,
천하고금(天下古今)이 다 같이 연유되는 道의 用(용:쓰임)이다.
이는 性情의 덕을 말함으로써 道의 떠날 수 없는 뜻을 밝힌다.
致中和면 天地位焉하며 萬物育焉하니라.
치중화 천지위언 만물육언
중과 화에 이르게 되면, 하늘과 땅이 제 자리에 있게 되고 만물이 자라게
된다
주자선생의주
치(致)란 미루어 이를 끝까지 구명하는(推極) 것이다.
위(位)란 그 있을 바를 안정시키는 것이고,
육(育)이란 그 생명을 자라게 하는 것이다.
계구(戒懼:경계하고 두려워하다)에 의해 이(道)를 따름으로써 지극히 고요한 中에 이르러 조금도 치우침이 없이 그 中을 잃지 않으면 그 中을 다하여
천지는 자리 잡을 것이다.
근독(謹獨:愼獨)으로 이(道)를 정밀하게 함으로써 物에 응하는 곳에 이르기까지
(어떤것에도) 조금의 차류(差謬:어긋남)도 없고 가는 곳마다 그렇지 않음이 없으면 곧 和을 다하여 만물은 길러질 것이다.
대개 천지만물은 근본이 나와 일체이니, 나의 마음이 바르면 천지도 바르고
나의 氣가 순하면 곧 천지의 기도 순하다.그러므로 그 효험이 이와 같음(천지위언 만물육언)에 이르는 것이다.
이는 학문의 지극한 공이고 성인이 능히 하는 일로서,
처음부터 밖에서 기다리는 것은 아니다.
(처음부터 인간에게 이러한 능력이 주어져 있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를 닦는 가르침은 그 中에 있다.
이는 일체일용(一體一用:中의 체와 용)에 비록 동과정(動靜:움직임과고요함)의 다름이 있다고 하더라도,
그러나 반드시 그 體(근본)가 서고 난 후에야 用(쓰임)으로써 행해짐이 있는것인즉 (체와용하는 인간의 마음의 근본은 )두가지 일(체와용)이 있는 것은 아니다.
'인생담론*행복론 > 인생행로*나침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학의 삼강령 (0) | 2008.04.04 |
---|---|
대학의 8조목 (0) | 2008.04.04 |
마음의 정의 - 북계자 (0) | 2008.04.04 |
진리란 무엇이며, 인간은 어떤 존재인가? (0) | 2008.03.06 |
지금 당장 실행하라. (0) | 2008.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