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온난화,에너지 부족,지구 오염 등이 지구의 미래를 압박하고 있다. 먼 미래 같지만 금방 현실로 다가오고 있는 사안이다.
당장 뾰족한 대안이 있는 것도 아니다. 온실가스 감축 및 대체에너지 개발 등에 나서고 있지만 어쩐지 불안하다.
그렇다고 절망할 필요는 없다. 미 경제잡지인 `비즈니스 2.0`은 이에 대비한 기술 개발이 한창 진행되고 있다며 `지구를 살리는 8가지 기술`을 소개했다.
에너지 부족과 지구 오염을 해결하기 위한 최적의 연료는 수소다.
문제는 충전할 수 있는 방법이 제한적이라는 점.호주 멜버른의 과학자들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가정용 수소 충전기`를 개발하고 있다.
태양에너지를 끌어들여 수소를 압축 저장하는 장치다.
차고에 설치한 뒤 필요할 때마다 자동차에 충전하면 된다.
동전만한 크기의 센서를 물이나 도로 숲 등에 설치한 뒤 이를 통해 기상이변과 오염을 실시간으로 체크하는 `환경 센서 네트워크`는 현재 실험단계다.
센서가 무선으로 거미줄 같이 얽혀있어 오염은 물론 자연재해도 예측할 수 있다.
애리조나주립대의 조 왕 박사는 샌디에이고만에 관련 장치를 시범적으로 설치해 중금속 오염도를 실시간 체크하고 있다.
중금속과 같은 오염물질을 빨아들이는 `독소 흡입나무`도 더 이상 공상소설의 소재가 아니다.
영국 요크대 연구팀은 유해물질을 빨아들이는 엔짐(enzyme)이라는 물질을 나무의 뿌리에 붙어있는 박테리아가 생성한다는 점을 알아냈다.
엔짐 생성 박테리아를 증식시키면 `요술나무`가 나올 개연성이 높다.
핵에너지는 오염이 덜하다.
문제는 폐기물이다.
미 시카고의 아르곤국립연구소는 핵폐기물을 재활용하는 방안을 연구 중이다.
우리늄과 세슘을 분리해 재활용하는 `핵폐기물 중화장치`를 만들어낸다는 계획이다.
`원격심해 탐사로봇`도 지구를 살리는 기술로 꼽힌다.
기후변화의 근원지는 바다다.
따라서 깊은 바다를 탐사하는 게 필수다.
현재 탐사로봇 기술은 배에서 가까운 곳만 탐색할 수 있는 수준에 머물고 있다.
배에서 자유자재로 조정하는 심해 탐사로봇은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현재 맑은 물을 먹을 수 없는 인구가 11억명에 달한다.
오염된 물을 간단히 정화하는 기술을 개발하면 지구의 물 부족을 해결할 수 있다.
이를 위한 기술이 `초음파빔 정수기`다.
빌라노바대 연구팀은 간단한 초음파로 오염물질을 걷어내는 정수기를 연구하고 있다.
또 지구상에서 멸종 위기에 처한 동식물은 1만6000여종이 넘는다.
이들을 추적해 보존하는 것도 지구의 미래를 위해선 필수적이다.
포트콜린스의 한 연구소는 이들에게 센서를 부착해 서식지와 개체수를 관찰할 수 있는 `멸종 위기 동물 추적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 밖에 `차세대 스마트 파워 그리드(grid)`도 지구를 살릴 기술이다.
분산돼 있는 컴퓨터나 전자제품을 네트워크로 연동해 활용률을 높이는 기술을 말한다.
풍력이나 태양에너지를 자유자재로 전환해 자동차나 전자제품의 동력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잘 만하면 지구를 살릴 수도 있을 법 하다.
뉴욕=하영춘 특파원 hayo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