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화뇌동/덩달아
"공자가 말하기를 군자는 화합하지만 부화뇌동하지 않고, 소인은 부화뇌동하지만 화합하지 않는다."
이 말은 군자는 의를 숭상하고 남을 자신처럼 생각하여 어울리지만, 소인은 이익을 따지는 사람이므로
이해관계가 맞는 사람끼리 행동하여 사람들과 어울리지 못한다는 뜻이다.
여기 나오는 '뇌동(雷同)'은 우레가 울리면 만물도 이에 따라 울린다는 뜻으로, 다른 사람의 말이나
행위에 대해 옳고 그름을 생각하지 않고 부화(附和)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부화는 후에 첨가된 말이며, 부화뇌동을 줄여서 '뇌동'이라고도 한다.
부화뇌동은 객관적ㆍ합리적 기준이 아니라 물질적 이해관계에 따라 혹은 다른 사람들의 판단 가치에
대해 맹목적으로 추종할 때 일어난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부화뇌동은 생각 없이 남들이 하는 대로 따라 하는 이들에 대한 경고를 담고 있는 말이다.
이에 비해 '덩달아'는 동사 '덩달다'에서 나온 말이다.
'덩달다'의 어원은 불명확하지만 북이나 장구 따위를 칠 때 나는 소리 '덩'에서 파생된 말로 여겨진다.
'남의 것을 이용해 자기 이익을 꾀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속담 "이웃집 장단에 덩달아 춤
춘다"가 그 흔적으로 짐작된다.
오늘날 '덩달다'는 주로 "덩달아", "덩달아서" 꼴로 쓰인다.
이는 '속내도 모르고 남이 하는 대로 좇아서', '영문도 모른 채 남이 하는 대로 따라'라는 뜻으로 통한다.
부화뇌동 : 자기 생각이나 주장 없이 남의 의견에 동조함.
덩달아 : 속내도 모르고 남이 하는 대로 따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