넋두리
우리나라는 예부터 억울하게 죽은 사람의 넋을 위로해주는 풍습이 있었다.
넋은 혼백을 뜻하는데 그 방법은 이러하다.
무당이 굿을 통해 죽은 이의 혼백을 불러낸다.
무당은 그의 하소연을 대신 말하고, 유족들은 마치 살아 있는 사람을 대하듯 얘기를 들어주며 편한 마
음으로 저승에 가기를 빈다.
이때 무당이 하는 말은 대개 신세 한탄이거나 울음 섞인 경우가 많다.
억울함이 담긴 이야기들인 까닭이다.
이렇게 무당이 죽은 자를 대신해 내뱉는 말을 '넋두리'라고 하며, 여기서 '두리'는 말(語)을 의미한다.
따라서 '넋두리'는 '혼백이 하는 말'인 것이다.
"죽어서도 넋두리를 한다"라는 속담은 죽은 사람조차도 무당의 입을 빌려 못다 한 말을 하는데, 산
사람이 못할 말이 있겠느냐는 뜻이다.
하지만 점차 그 뜻이 확대되어 넋두리는 자기 신세를 한탄하거나 불만을 혼잣말처럼 하소연하는 것을
의미하게 되었다.
주로 가슴에 오랫동안 담아둔 억울함을 혼자서 중얼중얼 토로할 때 쓰기 때문에 타인은 대부분 우연히
넋두리를 듣게 된다.
넋두리 : 불만을 길게 늘어놓으며 하소연하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