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치원은 공자의 유도로 부터 석가의 불경이니 노자의 도덕경을 엄청나게 연구 한것으로 보인다.
그 이유는 그의 난낭비 鸞郞碑(환웅, 단군등을 예찬한 비석)序文 만 보아도 알수 있다.
특히 그는 노자의 무위자연(無爲自然)을 말하는 도덕경을 탐독하고 우리의 전래 사상인 신선도와 융합하려는 의도가 엿보인다.
그것은 그의 천부경 예찬문이 노자의 도덕경 81 장 처럼 81 자로 되어 있고 그 냉용도 결국은 그와 같다
고운 최치원 선생 (2) - 영정(影幀)
제 목 : 고운 최치원 선생 (3) - 필적(筆跡) 글 쓴 이 : 월계자
[영상 자료 출처: http://www.koreandb.net]
최치원
崔致遠 857(헌안왕 1) ~ ?
신라시대의 학자. 경주최씨(慶州崔氏)의 시조. 자 고운(孤雲)• 해운(海雲).
869년(경문왕 9) 13세로 당나라에 유학하고, 874년에 과거에 급제, 선주(宣州) 표수현위(漂水縣尉)가 된 후 승무랑(承務郞) 전중시어사내공봉(殿中侍御史內供奉)으로 도통순관(都統巡官)에 올라 비은어대(緋銀魚袋)를 하사받고, 이어 자금어대(紫金魚袋)도 받았다.
879년(헌강왕 5) 황소(黃巢)의 난 때는 고병(高騈)의 종사관(從事官)으로서 <토황소격문(討黃巢檄文)>을 초하여 문장가로서 이름을 떨쳤다.
885년 귀국, 시독 겸 한림학사(侍讀兼翰林學士) 수병부시랑(守兵部侍郞) 서서감지사(瑞書監知事)가 되었으나, 894년 시무책(時務策) 10여 조(條)를 진성여왕에게 상소, 문란한 국정을 통탄하고 외직을 자청, 대산(大山) 등지의 태수(太守)를 지낸 후 아찬(阿찬)이 되었다.
그 후 관직을 내놓고 난세를 비관, 각지를 유랑하다가 가야산(伽倻山) 해인사(海印寺)에서 여생을 마쳤다.
글씨를 잘 썼으며 <난랑비서문(鸞郞碑序文)>은 신라시대 화랑도(花郞道)를 말해주는 귀중한 자료이다.
고려 현종 때 내사령(內史令)에 추증되었으며, 문묘(文廟)에 배향, 문창후(文昌侯)에 추봉되었다. 조선시대에 태인(泰仁) 무성서원(武成書院), 경주(慶州)의 서악서원(西岳書院) 등에 종향(從享)되었다.
글씨에 <대숭복사비(大崇福寺碑)> <진감국사비(眞鑑國師碑)> <지증대사적조탑비(智證大師寂照塔碑)> <무염국사백월보광탑비(無染國師白月보光塔碑)> <사산비(四山碑)> 가 있고, 저서에 계원필경(桂苑筆耕) 중산복궤집(中山覆궤集) 석순응전(釋順應傳) 법장화상전(法藏和尙傳) 등이 있다.
참조: 《최치원설화연구》 한석수 저(계명문화사, 1991) 《최치원의 사상연구》 최영성 저(아세아문화사, 1990) 《최치원의 시 정신연구》 선낙희 저(관동출판사, 1986)
[출처: 두산세계대백과사전 제24권 610쪽]
출처 : | 천부인과 천부경의 비밀 | 글쓴이 : 우리 원글보기 |
'한민족 역사문화 > 한민족 神敎文化'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1899 己亥10월 撰. 묘향산에서 최치원의 천부경을 최초로 탁본해온 운초 계연수의 천부경 요해. (참고 자료) (0) | 2006.12.29 |
---|---|
최치원이 천부경 81자를 짓기전 괴로워 한 시 秋夜雨中 (참고문헌) 30. (0) | 2006.12.29 |
우리 숫자는 애초 열 밖에 없었다는 증거 (0) | 2006.12.29 |
우리숫자가 다른 나라 숫자보다 먼저 나왔다는 근거 (0) | 2006.12.29 |
천부경은.... (0) | 2006.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