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성취루14 역사인문학 특강-박석재 박사님-2017년 1월 3일 2017년 1월 3일 역사인문학특강-박석재 박사님 천문天文으로 개천開天을 말하다. 박석재 박사(한국천문연구원 3~4대 원장) 새 문명의 빛은 동방으로부터 겨울특강 우리나라는 태곳적부터 유라시아 대륙 동쪽을 지배한 천문학 종주국이었다. 현대 천문학을 이용하면 우리나라 상고사의 놀.. 2017. 1. 2. Q&A 환단고기란 무엇인가? Q&A 환단고기란 무엇인가? 환단고기가 위서일 수 없는 이유가 있다...??? 오성취루 등 [STB상생방송]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프로그램에서 방영된 내용입니다. 게시일: 2011. 2. 28. 환단고기(桓檀古記)는 네 권의 책으로 이루어져 있다. 환인(桓仁)과 환웅(桓雄)의 역사를 기록한 삼성기..단군조.. 2015. 12. 30. 환단고기에 기록된 오성취루 천문학 시뮬레이션 실행 영상 환단고기에 기록된 오성취루를 검증해 보기 위하여 천문학 시뮬레이션을 직접 실행해 보았습니다. 환단고기 오성취루(五星聚累) 천문학 시뮬레이션 실행 영상 게시일: 2012. 6. 13. 단군세기 고조선 13세 흘달단군 조에는 오성취루 기록이 있습니다. 수화목금토성의 5행성이 서쪽 방향에서 .. 2015. 12. 30. <환단고기> 천문학으로도 이미 검증된 고조선의 실존역사 <환단고기>천문학으로도 이미 검증된 고조선의 실존역사 박창범교수와 라대일 박사가 오행결집현상이나 일식현상, 썰물현상 등 환단고기에 기록된 천문현상들을 비교 분석한 결과, 단군조선은 엄연히 실존했던 국가였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이런 사실들을 볼 때, 환단고기를 무.. 2013. 6. 19. 환단고기가 위서인지 아닌지, 직접 검증해 볼 수 있는 프로그램 환단고기가 위서인지 아닌지, 직접 검증해 볼 수 있는 프로그램 과거 93년도에 박창범 교수가 검증을 할 때는 천문학자만이 쓸 수 있었던 프로그램을 이제는 누구든 다운받아서 검증해 볼 수 있습니다. 환단고기를 위서라고 무조건 부정하지만 말고, 무료 천문 관측프로그램으로 직접 검.. 2013. 6. 10. ◆桓檀古記<환단고기>관련 동영상 ◆桓檀古記<환단고기>관련 동영상 1. 환단고기 역주본 관련(상생출판)-환단고기 동영상 http://blog.naver.com/greatcorea10/130156546902 2. 환단고기 완역본(역주본)을 읽은 사람들의 인터뷰-환단고기 동영상 http://blog.naver.com/greatcorea10/130156548020 3. 환단고기만의 독보적인 특징과 가치 11가지-환단.. 2013. 1. 16. ★환단고기 위서론 5가지 이유/ 환단고기 위서론 종식!!! ★환단고기 위서론 5가지 이유, 환단고기 위서론 종식!!! 위서로 몰린 『환단고기』 한민족의 고대사와 국통맥을 밝혀 줄 사서들이 외세의 침탈과 내부의 사대주의자들에 의해 모두 사라지고, 유일하게 남은 정통 사서가 바로 『환단고기』이다. 그러나 이 땅의 주류 강단사학자들은 이 .. 2013. 1. 11. 천문학으로 증명된 단군조선(고조선)의 실체 천문학으로 증명된 단군조선(고조선)의 실체 박창범 교수는 삼국사기에 기록된 고대 천문현상을 연구 분석하여 대륙에 삼국이 존재했다는 것을 과학적으로 입증을 했고, 다시 단군 조선이 실재했는지에 대해서도 천문현상의 기록을 통해서 이미 밝혀낸 바 있다. 이런 영향으로 최근 들.. 2013. 1. 4. 환단고기의 진실3- 천문학자의 양심, 박석재 박사가 오성취루 현상을 말하다 환단고기의 진실3- 천문학자의 양심, 박석재 박사가 오성취루 현상을 말하다 박석재. 천문학자의 양심을 걸고 오성취루 현상을 말하다 “천문학자의 양심으로 말씀드릴 수 있는 것은 (환단고기에 나오는 천문현상인) 오성취루 현상은 조작해낼 수 없습니다” 한국천문연구원 원장을 역.. 2012. 9. 5. 환단고기의 진실1-오성취루 현상 천문학으로 검증되다. 환단고기의 진실1-오성취루 현상 천문학으로 검증되다. 13세 흘달(屹撻) 단군시 오성취루 현상 천문학으로 검증되다. 환단고기에 단군조선 13세 흘달(屹撻) 단군 50년(서기전 1733년) ‘5성취루五星聚婁'라고 하여 5개의 별이 루성 중심으로 모이는 장관이 연출되었다 했는데, 이것이 천문.. 2012. 9. 5.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