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미국신문의 내용중 일부입니다 (출처미상-_-)
The 21st
century will be the age of information. National competitive power depends on
the quantity and quality of information. Therefore the national goal for the
Clinton administration is to end illiteracy. The American literacy rate is only
79%. The Korean illiteracy rate is near the zero percent mark, because Hangul is
easy. 21세기는 정보화 사회다. 즉 정확한 정보의 양과 질이 국가 경쟁력을 좌우한다는 말이다. 그래서 현재 미국의 클린턴 대통령이 국가적
목표로 내세우는 것도 문맹의 퇴치이다. 현재 읽고 쓸 줄 아는 미국인은 고작 79%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나 한국은 쉽고 간결한 한글 덕분에 문맹률 0%라는 경이적인 기록에 육박한다.
어느 미국신문의 내용중 일부입니다 정말 새계 최고의 언어 한글을 가지고 있는 덕분에 거의 0프로에 가까운
문맹율을 보이고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아직 우리 주변에는 개인적인 환경으로 인하여 못배우셨던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이번에 이달 3월초에는 성인들이 다닐수있는 성인 초등학교가 나오게 되었습니다 서울의 양원초등학교라고 하는데요 물론 그런 학교뿐 아니라 앞으로 아직 한글을 모르시는 분들이 배울수 있는기회가 많이
주어지면 좋겠습니다
언어가 없는 민족이나 글을 못읽는 모든 인류가 글을 읽을수있는 그런 세상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아마도 세계 사람들이 모두 문맹을 탈출할려면 정말 한글을 전세계 사람들이 써야 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한글의 세계화
이제 우리 스스로 좀더 우리 말과글에 대한 자신감을 가지고 세상에 한글을 알려야 하지 않을까요?
한류열풍의 최고상품 ,,,,
그것은 한글입니다
위 영상의 김종복님 꼭 한글 배우실 수 있을거에요 화이팅!!!
아래는 한글의 우수성에 관한 참고자료입니다 ^^
세계공통어로 한글이 된다!!
미국에 널리 알려진 과학전문지 디스커버리 지 1994년 6월호 「쓰기
적합함」이란 기사에서, ‘레어드 다이어먼드’라는 학자는 ‘한국에서 쓰는 한글이 독창성이 있고 기호 배합 등 효율 면에서 특히 돋보이는 세계에서
가장 합리적인 문자’라고 극찬한 바 있다. 그는 또 ‘한글이 간결하고 우수하기 때문에 한국인의 문맹률이 세계에서 가장 낮다’고 말한다.
또 소설 『대지』를 쓴 미국의 유명한 여류작가 ‘펄벅’은 한글이 전
세계에서 가장 단순한 글자이며 가장 훌륭한 글자라고 하였다. 그리고 세종대왕을 한국의 레오나르도 다빈치로 극찬하였다
그런가 하면 시카고 대학의 메콜리(J. D. McCawley) 교수는
미국사람이지만 우리 나라의 한글날인 10월9일이면 매해 빠짐없이 한국의 음식을 먹으며 지내고 있다고 한다(KBS1, 96.10.9).
몇 년전 프랑스에서 세계언어학자들이 한 자리에 모이는 학술회의가
있었다. 안타깝게도 한국의 학자들은 참가하지 않았는데, 그 회의에서 한국어를 세계공통어로 쓰면 좋겠다는 토론이 있었다고 한다(KBS1,
96.10.9). 참으로 놀라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이처럼 세계가 인정하는 우리 글의 우수성을 정작 우리 자신이 잘 모르고 있는 것이다.
1986년 5월, 서울대학 이현복 교수는 영국의 리스대학의
음성언어학과를 방문하였다. 그때 리스대학의 제푸리 샘슨(Geoffrey Sampson) 교수는 한글이 발음기관을 상형하여 글자를 만들었다는 것도
독특하지만 기본 글자에 획을 더하여 음성학적으로 동일계열의 글자를 파생해내는 방법(‘ㄱ-ㅋ-ㄲ’)은 대단히 체계적이고 훌륭하다고 극찬하였다.
그러면서 한글을 표음문자이지만 새로운 차원의 자질문자(feature
system)로 분류하였다. 샘슨교수의 이러한 분류방법은 세계최초의 일이며 한글이 세계 유일의 자질문자로서 가장 우수한 문자임을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마침내 지난 1997년 10월1일, 유네스코에서 우리 나라 훈민정음을
세계 기록 유산으로 지정하기에 이르렀다.
한글은 가장 발달한 음소문자
한글은 소리글자(표음문자) 중에서도 가장 발달한 음소 문자이다. 즉,
글자 하나하나가 낱소리(하나의 소리)를 표기하는 것이다. 현재 우리가 쓰고 있는 한글은 모음이 열자이고 자음이 열넉자이다. 그리고 받침이 27종
있다. 모음과 자음을 합치면 하나의 글자가 되고 여기에 받침을 더해 사용할 수도 있다. 이처럼 한글은 그 구성 원리가 간단하기 때문에 배우기가
대단히 쉽다. 그래서 우리 나라에서는 초등학교 입학 전에 모든 어린이들이 한글을 알고 있다. 또 세계에서 문맹률이 가장 낮은 나라이기도 하다.
한글은 글자 그대로 읽을 뿐 아니라, 인쇄체나 필기체 등이 따로
없다. 이에 반해 영어는 인쇄체와 필기체가 서로 다르다. 또한 대문자와 소문자의 구별이 있고 글자대로 읽지 않는다. 예를 들어
speak(말한다)를 ‘스피-크’라고 발음한다. ea를 ‘이-’로 발음하는 것이다. 그런데 head(머리)는 ‘헤드’라고 발음한다. 같은
ea인데도 ‘에’라고 발음한다. 또 knee(무릎)를 ‘니-’라고 발음하는데, 여기서는 K자가 있는데도 발음을 하지 않는다 이처럼 영어는 알지
못 하면 읽을 수조차 없다.
국제어로 그 위상을 뽐내고 있는 영어에 비해 우리의 한글이 더 없이
우수한 글임에 틀림없다. 그렇기에 한글의 우수성이 세계에 널리 알려질수록 영어는 국제어의 자리를 한글에 양보해야 할 것이다.
한글은 가장 풍부한 표현력을 가지고 있다
한글 문화권에 사는 우리가 외국어를 배우기는 쉽다. 영어발음을
90%이상 할 수 있다고 한다. 그리고 소리의 표현을 우리말은 8800개를 낼 수 있다. 이에 비해 일본어는 300개, 중국말(한자)은
400여개라고 하니 우리말의 표현력이 무려 20배가 넘는다. 세계언어 중에 단연 독보적인 존재인 것이다.
외국인이 말을 할 때 흔히 제스츄어를 많이 쓰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언어의 표현력이 부족하여 생기는 습관이다. 우리는 말로써 충분히 표현되기 때문에 제스츄어를 굳이 쓸 필요가 없다. 그럼에도 제스츄어 쓰는
것이 세련된 문화인 것처럼 인식되어 한 때는 흉내내려고 했던 사람들도 있었으니 재미있는 일이 아닐 수 없다.
혹자는 우리말은 외국어로 번역이 안되는 것이 너무 많아서 나쁘다고
불평을 늘어놓는다. 사실 우리말의 표현 그대로는 세계 어느 나라 언어로도 번역을 못한다. 우리말은 표현력도 세계 으뜸이지만 어감(語感),
정감(情感), 음감(音感) 등도 으뜸이다. 외국에서 우리말을 번역 못하는 것은 우리말이 뒤떨어져서가 아니다. 외국어가 표현력이 부족하여 우리말을
번역하지 못하는 것이 어떻게 우리 책임이라 할 수 있을까?
“가자미 냄비에 물을 잘잘 부어 살근살근 끓이고 졸졸 졸여서 노리끼한
고기를 보시기에 소복하게 담아서 괴괴한 달빛 아래에 사랑하는 님과 둘이서 술 한 잔 곁들이니 살살 목을 넘는 요맛이 달콤하기도 하다.” 너무나
다양하고 아름다운 표현법이다. 이 표현과 어감을 어떻게 외국어로 제대로 번역해 내겠는가?
출처 : 정확한 출처는 미상입니다
한글의 소중함, 그리고 언어와의 전쟁중인 중국과 일본"
신윤덕 기자 blue998@hitel.net
우리는 쉽게 쓰는 한글 때문에 우리 옆에 있는 중국과 일본의 고통을 알지 못하고 있다. 잠시 그들 나라를 살펴보면
그들이 글자문제로 얼마나 고민에 쌓여 있는지 알 수 있고 우리의 한글에 대한 고마움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먼저 그들의
역사를 먼저 돌아보면, 구한말인 1882년 조선에 임오군란이 발생하자 청나라의 원세개가 조선에 파견되어 조선의 내정을 간섭한 이후 1894년
청일 전쟁이 끝날 때까지 여러 차례 조선에 파견되어 머물렀는데, 조선에서 생활하던 중 한글이 우수하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던 모양이다. 그리하여
원세개가 중화민국 초대 대통령이 되었을 때, 한 관리로부터 중국 사람들이 한자의 어려움 때문에 글자를 깨우치지 못하여 문맹률이 매우 높다는
보고를 받자, 조선의 한글을 중국인에게 가르쳐서 글자를 깨우치게 하자고 제안했으나, 망한 나라의 글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는 아랫사람의 주장에
원세개의 생각은 실현되지 못했다.
이후에 중국은 각지의 방언을 하나의 언어로 통합하고, 문맹을 퇴치하기 위하여 1918년
‘주음자모(注音字母)’를 공포하고, 26년 ‘국어 로마자’가 제정하였으며, 31년 취츄바이[瞿秋白] ·우위장[吳玉章] 등이 ‘라틴화 신문자’를
제창하였다. 한자는 말소리를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고, 배우기 어렵기 때문에 한자 대신에 표음문자를 쓰려는 움직임은 오늘날까지도 계승되고 있으며,
중국의 문자개혁위원회가 만든 ‘한어병음방안’이 58년 제정되었다. 병음은 한자의 주음(발음)으로 활용하면서 보통어(북경어)의 보급과 교육 추진에
이바지하고, 또 전보 ·신호 ·과학약어의 제정 등에 이용하게 되었다.
한자사용을 능률화하기 위하여 중국은 56년 ‘한자간화방안’을
공포하였으며, 그 후 세 차례의 추가 보충을 하여 64년 간행된 ‘간화자총표’에는 약 2400자의 간화문자가 수록되어 있다.
그
방법은 “⑴ 고대의 간단한 문자를 쓴다 ⑵ 송 ·원대 이래의 민간 속자(俗字)를 활용한다 ⑶ 새로운 회의문자(會意文字)를 만든다 ⑷ 새로운
형성문자(形聲文字)를 만든다 ⑸ 초서체를 취한다 ⑹ 변(邊)이나 방(傍)을 간소화한다는 것 등이다.
그리고 현재 대만에서는
한자의 발음 기호로 주음부호를 만들어 쓰고, 중국에서는 로마자로 된 주음부호를 만들어 쓰고 있다. 대만의 50개 주음부호는 일본 가나와 같은
원리로 만들었으므로, 자음 모음이 잘 구별되지 않는다. 주음부호는 음운론적으로 본다면 역시 원시적인 발음 기호에 지나지 않는다. 중국의
주음부호는 이렇게 로마자를 빌려다가 현대 중국어의 발음 기호로 쓰면서, 초등학교에서는 한자보다도 먼저 로마자로 된 자음부호부터 가르치고 있다.
우리는 한글만 읽을 수 있으면 의사소통에 문제가 없으나, 중국은 그 발음이 각 지방마다
다 달라 그 발음기호를 로마자를 차용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래서 그 중국의 옛말을 어떻게 발음을 했는가를 알아보려고
훈민정음을 공부하기도 한다.
어쨌든 중국정부는 20세기 초 90%가 넘는 문맹률을 최근에
가까스로 50%까지 줄여왔는데도 문맹률은 아프리카와 비슷하다. 아직도 세계최고 수준의 문맹률이다. 그것도 옛 한자(번체자)를
써왔으면 50%는커녕 그 절반이나 가능할지 생각하게 한다.
또, 옛 한자로 실생활에 사용한다면 현재의 과학을 연구하기에는
불가능하다. 한자 같은 뜻글자는 형상을 직접 눈으로 볼 수 없이 추상적 설명에 의존해야 하는 까닭에 과학 법칙과 철학적 추리에 약하다는 것이다.
마샬 막루한의 그룹의 일원인 물리학자 로간은 중국 문명이 근대 과학을 창조하지 못했던 원인은 실제로는 한자에 있다고 날카롭게 지적하고, 10만
자 이상이 되는 한자를 평생 매달려서 글자 익히기와 글 풀이로 인생을 허송하는 것을 선비라고 한 바보짓은 다시 되풀이해선 안 된다고 한다.
한자의 암송만이 글공부이고 학식이라고 잘못 아는 바보들은 지금도 글자 익히기와 글자 풀이가 학식의 전부인 양 착각한다.
그래서 할아버지, 아버지 이름을 한자로 못 쓰는 것이 죽을 잘못이나 저지른 듯이 떠들어댄다. 대개 그러면 한자 암송을 글쟁이로 알아 오는 전통의
찌꺼기 때문에 그럴 듯하게 속아 넘어간다.
중국의 한자 폐지론자인 진명원(陳明遠)은 말하길, "역사는 컴퓨터가 한자의 무덤파는
일임과 동시에 소리글자(표음문자)의 산파임을 증명할 것이다"라고 했다. 또, 곽말약은 “중국이 세계 공통의 글자 쓰기를 결의하고 병음 문자의
사용을 실현할 때에 한자의 사용은 고대 그리스글자, 고대 인도글자와 마찬가지로 소수의 전문가의 전문 분야로 될 것이다"라고 했다.
현재의 중국은 컴퓨터의 보급과 정보화라는 새로운 문명 앞에서 한자사용과 소리글자 사용이라는 두 상황 앞에서 고민하고 있다.
아시다시피 글씨를 쓸 때는 획수가 많아 획을 간소화 한 간체자로 극복을 하고, 글자수를 줄여 배우고 사용하기를 쉽게 했다 해도, 자판을 이용한
컴퓨터에 입력은 정말 번거롭고 통신상 오류가 날 확률이 높아 정보화 사회구축에 애로가 많다.
로마자를 주음부호로 사용한
것과는 달리, 한자를 없애고 소리글자를 채용해야한다는 이 상황은 중국이 당면한 가장 큰 문제로 “중화”라는 그들의 자존심이 결정을 늦추게 하고
있을 뿐이다. 이제 그들의 결정이 늦어질수록 미래의 정보화와 과학화는 늦어질 것이고, 갈수록 그들의 번거로움은 커져만 갈 것이다. 또 한자같이
어려운 글자를 깨치는 기간이 길다보니 갈수록 쌓여만 가는 전문지식과 학문을 배우고 연구해야 하는 데 기간이 오래 걸릴 수밖에 없다. 그때
원세개가 생각했듯이 한자를 없애고 한글을 선택하느냐, 아니면 로마자를 선택을 하느냐하는 결정사항만 남았을 뿐이다.
일본 또한
마찬 가지다. 아니 일본은 더 심각하다. 중국은 영어의 발음을 전부 표시할 수가 없어 아예 새로운 단어로 바꿔서 한자로만 받아들이지만, 일본은
가나, 한자, 로마자 등이 섞여서 쓰인다. 그래서 현재 세계에서 가장 복잡한 문자 체계를 갖고 있어 그 글을 배우는 데 보통 문제가 아니다.
우리의 어린이들은 초등학교 1,2학년만 되어도 어휘를 몰라서 어려운 책을 못 읽을 뿐이지, 만화책 같은 쉬운 책들은 쉽게 읽는다. 그러나
일본과 중국은 초등학교 5~6학년 정도는 되어야 우리나라 어린이 정도의 책 읽는 수준이 된다. 그만큼 가나와 한자를 깨우치고 학문을 배우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
일본어를 아시거나 배우는 분들은 익히 알겠지만, 일본어를 표기하는 데는 표의문자인 한자, 음절문자인
히라가나와 가타카나, 음소문자인 로마자 등, 글자의 구조를 전혀 다른 세 종류의 문자가 사용되고, 다시 아라비아숫자를 섞어서 표기하는 등 그
문자조직은 매우 복잡하다. 한자는 수가 많고 획이 많고 뜻과 음이 있어 복잡하므로 최근에는 수의 제한, 한자의 간략화, 음 ·훈의 정리 등을
통해 상용한자로 간소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중 일본에서 1973년에 펴낸 “명치 이후 국어 문제 제안 집성”을 보면 그들이
얼마나 한자를 싫어하는지 알 수 있다.
1) 학습이 어렵고 교육상 부담이 되며 교육 보급을 저해하는 원인이 된다.
2) 국내의 의사소통에 불편하고 전달이 어렵다. 3) 서구 문명 흡수에 불리하고 학문의 진전을 가로막는 원인이 된다. 4)
일본말의 음운을 반영하는 것이 어렵고, 말과 글이 바로 맞는 투(言文一致體)의 문장 성립에 불리하다. 5) 인쇄, 출판, 통신 등의
발달에 방해가 되고 사무 처리에 불편하다. 6) 장애자의 글자 학습을 어렵게 한다. 7) 외국인에 대한 일본어 교육에 장해가
된다.
또 한자를 히라가나와 함께 혼용하는 문자가 정자법으로 행하여지며, 가타카나는 주로 외래어표기에 사용되고 로마자는
흔히 문중에서 약호로 사용되고 있다. 말의 표기를 한자만으로, 또는 가나만으로, 한자와 가나의 병용으로 하는 3가지가 주류를 이루나 하나의 말에
여러 방식의 표기법이 있어 그들이 혼용되기도 하여 영어와 같은 정자법은 아직 확립되지 못하고 있다.
일본에 가서 직접 거리의
간판을 보면, 가나로 된 간판, 한자로 된 간판, 로마자로만 된 간판, 일본글과 한자가 섞여진 간판과 일본글, 한자, 로마자 세 나라 글자를
섞어 쓴 간판 등 그들의 복잡한 글자 생활을 한 눈에 알 수가 있다.
이래서 일본의 한자와 영어가 섞인 화려한 간판을 본받으려는
우리의 지도자들은 한자와 영어를 악착같이 배우게 하려는 것 같다. 그런데 우리가 한자를 별 필요도 없이 권위를 세우고 유식한 체하려고 쓰는
것과는 달리 일본은 가나의 불완전함으로 어쩔 수 없이 써야만 한다는 것이다. 영어도 어쩔 수 없이 써야만 하는 이유가 가나로는 그 발음을 낼
수가 없기 때문이다.
또, 최근에 일본의 중고교 교과과정이 갈수록 쉽게 편찬되어 대학과정에서 많은 부담이 될 것이라는 뉴스를 들은
사람이 있을지 모르겠다. 일본의 처한 현재의 현실을 말한 것이다. 현대에는 컴퓨터를 이용한 정보교육에 그만큼 많은 시간과 공을 들여야 한다.
그러나 어려운 한자라는 글자를 알아가며 해야 하기 때문에 우리보다 기본적인 글자공부에 더 많은 시간이 들고, 또 컴퓨터를 사용하는 데 우리보다
훨씬 복잡하고, 번거롭다.
20세기에서 엄청난 발전을 이룩해 미국을 두려워 떨게 한 일본은 이제 컴퓨터를 이용한 정보화산업에서
갈수록 뒤처지고 있다. 가장 중요한 원인이 바로 그들의 복잡한 글자생활 때문이다. 우리나라도 정보화산업의 발전은 정부의 투자도 큰 역할을 했지만
만일 일본과 같은 글자생활을 하고 있었다면 상당히 늦춰졌을 것이다. 아시다시피 컴퓨터에 글을 입력한다면 우리는 자판만 두드리면서 별 생각 없이
입력하지만, 그들은 입력한 것을 한자로 변형하는 등의 복잡한 작업을 꼭 해야만 한다. 별다른 힘도 들이지 않고 한글을 입력하여온 우리에게는
그들의 생활이 별로 실감이 나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일본은 정보화를 추진할 돈도 있고, 꼭 그래야만 하는 상황도 되었지만 그들의 정보화는
갈수록 우리나라보다 뒤처지고 있는 현실이 이를 입증하고 있다.
자꾸만 뒤지는 정보화에 우리의 발목을 잡고자 일본은 그들과 친한
우리의 정치인들에게 로비를 하며 악착같이 한자를 혼용하게 하려하고 있다. 일본과 중국의 닥친 현실을 보고도 현재 한자를 혼용해야 한다는 정치인과
학자들이 많다니, 세계와 미래를 보는 안목이 그렇게 없는가 하고 한심하기만 하고, 정말 일제식민지 35년은 정말 길었구나하고 생각한다. 빨리
세계를 제대로 내다보고, 우리의 미래를 제대로 설계할 수 있는 지도자가 나와야 할 텐데.
이제 중국과 일본은 중요한 선택이
남아있다. 21세기에 그들이 계속 경제와 과학을 발전시키고 정보화 사회를 이룩하려면 한자와 가나같은 문자체계를 우리의 한글이나 로마자 둘 중에서 선택을 해야 한다. 그들은 현재 자존심 때문에 미루는 것이지
그들의 양식 있는 지식인들은 한자와 가나같은 체계로는 21세기에서 세계와 경쟁을 할 수 없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 나는 최대한 길게 잡아도
한자와 가나의 사용이 50년 이상은 가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과학과 정보화의 발전은 시간이 지날수록 가속도를 받고 있고, 그들의 불편과
문자사용의 어려움은 계속될 것이기 때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