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어뢰 공격' 어떻게 규명했나>(종합)
연합뉴스 | 입력 2010.05.20 15:43 | 수정 2010.05.20 15:51
절단면.진술로 심증굳히다 `1번' 표기 파편.화약흔으로 확증
(서울=연합뉴스) 이상헌 기자 = 민.군 합동조사단은 20일 천안함이 북한 잠수함의 중어뢰 공격에 의해 두 동강이 나 침몰한 것으로 최종 결론을 내렸다.
합조단 발표에 따르면 천안함은 수심 6~9m, 가스터빈실 중앙으로부터 좌현 3m 위치에서 고성능폭약 250㎏ 규모의 중어뢰 폭발로 침몰했다.
합조단이 천안함을 공격한 무기체계가 북한에서 제조한 것이라는 다소 완곡한 표현을 썼지만 사실상 북한군이 천안함을 정조준 공격했다는 것으로 단정지은 것이다.
(서울=연합뉴스) 이상헌 기자 = 민.군 합동조사단은 20일 천안함이 북한 잠수함의 중어뢰 공격에 의해 두 동강이 나 침몰한 것으로 최종 결론을 내렸다.
합조단 발표에 따르면 천안함은 수심 6~9m, 가스터빈실 중앙으로부터 좌현 3m 위치에서 고성능폭약 250㎏ 규모의 중어뢰 폭발로 침몰했다.
합조단이 천안함을 공격한 무기체계가 북한에서 제조한 것이라는 다소 완곡한 표현을 썼지만 사실상 북한군이 천안함을 정조준 공격했다는 것으로 단정지은 것이다.
군 당국은 그간 천안함이 외부 충격에 의해 침몰한 사실을 확인했지만 `스모킹 건(smoking gun.결정적 증거)이 나오지 않아 `북한'을 공식적으로 특정할 수 없었지만 북한제 어뢰의 추진체가 발견됨에 따라 상황은 급반전됐다.
◇절단면.사체상태.진술로 심증 굳혀 = 군 당국은 천안함 사태가 북한 소행으로 판단했지만 사건발생 한 달이 넘도록 `스모킹 건'이 나오지 않아 애를 태웠다.
심증은 있는데 결정적인 증거 찾기가 만만치 않았다는 것이다.
합조단이 외부공격을 단정짓고 나아가 북한 소행이라는 심증을 굳히게 된 것은 동강 난 선체의 변형형태, 관련자 진술, 사체 검안결과, 지진파 및 공중음파 분석결과, 수중폭발 시뮬레이션 결과 등을 기초로 하고 있다.
우선 선체를 지탱해주는 용골과 외판이 충격파로 위로 심하게 꺾였고 주갑판 역시 좌현측이 위로 변형되어 있어 선체 좌현 아래에서의 충격임을 보여줬다.
배 밑바닥 부분의 수압 및 버블 흔적이 관찰됐고 열 흔적이 없는 선체 내부의 전선 절단 등은 무기체계가 선체에 닿지 않고 수중에서 폭발했다는 것을 입증했다.
천안함 생존자 대부분은 거의 동시에 1~2회의 폭음을 청취했고, 좌현 견시병의 얼굴에 물이 튀었다는 진술, 백령도 해안 초병이 약 100m 높이의 백색섬광 기둥을 관측했다는 진술, 사체에 골절과 열창이 있었지만 파편상과 화상 흔적이 전혀 발견되지 않은 것은 버블제트 효과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합조단은 설명했다.
하지만 이런 정황들은 무기체계에 의한 수중 폭발이라는 점만을 알려줄 뿐 공격 주체에 대한 어떤 근거도 제공하지 못했다.
◇`스모킹건' 어뢰추진체 확보로 `상황 끝' = 심증을 굳혀가던 합조단이 점점 북한 소행으로 자신감을 가졌던 것은 물증이 하나둘씩 나오면서다.
잘린 선체 주변에서 어뢰 외피로 보이는 알루미늄 파편을 수거한 데 이어 선체가 침몰한 해저에서 주로 공산권 국가에서 사용한 화약성분이 검출된 것이다.
점점 답지를 좁혀가던 합조단이 `스모킹 건'이라며 북한을 100% 지목할 수 있었던 것은 지난주 수거한 프로펠러가 달린 어뢰의 추진동력부를 확보했기 때문이다.
합조단이 침몰해역에서 어뢰의 추진동력부인 프로펠러를 포함한 추진모터와 조종장치 등을 수거해 분석한 결과 북한이 해외수출을 목적으로 배포한 어뢰소개 자료의 설계도에 명시된 크기와 형태가 일치한 것이다.
특히 추진부 뒷부분 안쪽의 `1번'이라는 한글표기는 우리 군 당국이 확보한 북한 어뢰 표기방법과도 같았다.
여기에 북한 연어급 잠수함이 서해 외곽을 우회해 목표물을 식별, 근접공격을 가했고 이를 위한 백령도 근해 조류가 어뢰 공격에 제한이 없을 것이라는 군 당국의 분석도 북한의 어뢰공격에 힘을 실어주는 대목이다.
군 관계자는 "이런 모든 증거는 이번 사태가 북한의 소행이 분명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며 "북한이 더는 발뺌하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고온.고압에 생성된 흑연.알루미늄 산화물 검출 = 인양된 천안함 함수와 함미에서 다량의 흰색 분말이 식별된 것도 어뢰공격으로 물증으로 제시됐다.
흰색 분말은 알루미늄 산화물로 어뢰 프로펠러를 비롯한 천안함 선체 8곳, 증거물 2곳에서 발견됐다. 알루미늄 산화물은 큰 에너지를 받거나 높은 온도 속에서 형성되기 때문에 폭발장약 250㎏의 중어뢰가 폭발할 때 생성됐다는 것이다.
고온 고압에서는 형성되는 물질인 흑연도 검출됐다. 합조단은 이들 물질이 수중폭발이 발생했을 때 생긴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분석을 통해 프로펠러(증거물)와 천안함에서 검출한 흡착물질이 동일한 물질임을 식별했다고 합조단은 전했다.
윤덕용 합조단 공동단장은 "어뢰 추진체의 하얀 물질이 폭발로 인해 알루미늄이 산화하면서 생긴 것"이라며 "그런 흡착물이 프로펠러와 증거물의 철 표면에서도 관찰됐다"고 말했다.
윤 단장은 "모터 속은 철로 되어 있는데 철의 부식상태를 보면 함수는 약 한달 동안 해저에 있었고 추진체는 한달 반 동안 해저에 있어 부식 정도가 비슷하다"면서 "최근 어뢰 폭약으로 알루미늄 파우더가 20~30% 정도 쓰이고 있는데 이는 폭발 위력을 증가시키고 특히 버블을 만드는 데 효과가 있다"고 설명했다.
honeybee@yna.co.kr
(끝)
< 뉴스의 새 시대, 연합뉴스 Live >
<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
< 포토 매거진 >
<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절단면.사체상태.진술로 심증 굳혀 = 군 당국은 천안함 사태가 북한 소행으로 판단했지만 사건발생 한 달이 넘도록 `스모킹 건'이 나오지 않아 애를 태웠다.
심증은 있는데 결정적인 증거 찾기가 만만치 않았다는 것이다.
합조단이 외부공격을 단정짓고 나아가 북한 소행이라는 심증을 굳히게 된 것은 동강 난 선체의 변형형태, 관련자 진술, 사체 검안결과, 지진파 및 공중음파 분석결과, 수중폭발 시뮬레이션 결과 등을 기초로 하고 있다.
우선 선체를 지탱해주는 용골과 외판이 충격파로 위로 심하게 꺾였고 주갑판 역시 좌현측이 위로 변형되어 있어 선체 좌현 아래에서의 충격임을 보여줬다.
배 밑바닥 부분의 수압 및 버블 흔적이 관찰됐고 열 흔적이 없는 선체 내부의 전선 절단 등은 무기체계가 선체에 닿지 않고 수중에서 폭발했다는 것을 입증했다.
천안함 생존자 대부분은 거의 동시에 1~2회의 폭음을 청취했고, 좌현 견시병의 얼굴에 물이 튀었다는 진술, 백령도 해안 초병이 약 100m 높이의 백색섬광 기둥을 관측했다는 진술, 사체에 골절과 열창이 있었지만 파편상과 화상 흔적이 전혀 발견되지 않은 것은 버블제트 효과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합조단은 설명했다.
하지만 이런 정황들은 무기체계에 의한 수중 폭발이라는 점만을 알려줄 뿐 공격 주체에 대한 어떤 근거도 제공하지 못했다.
◇`스모킹건' 어뢰추진체 확보로 `상황 끝' = 심증을 굳혀가던 합조단이 점점 북한 소행으로 자신감을 가졌던 것은 물증이 하나둘씩 나오면서다.
잘린 선체 주변에서 어뢰 외피로 보이는 알루미늄 파편을 수거한 데 이어 선체가 침몰한 해저에서 주로 공산권 국가에서 사용한 화약성분이 검출된 것이다.
점점 답지를 좁혀가던 합조단이 `스모킹 건'이라며 북한을 100% 지목할 수 있었던 것은 지난주 수거한 프로펠러가 달린 어뢰의 추진동력부를 확보했기 때문이다.
합조단이 침몰해역에서 어뢰의 추진동력부인 프로펠러를 포함한 추진모터와 조종장치 등을 수거해 분석한 결과 북한이 해외수출을 목적으로 배포한 어뢰소개 자료의 설계도에 명시된 크기와 형태가 일치한 것이다.
특히 추진부 뒷부분 안쪽의 `1번'이라는 한글표기는 우리 군 당국이 확보한 북한 어뢰 표기방법과도 같았다.
여기에 북한 연어급 잠수함이 서해 외곽을 우회해 목표물을 식별, 근접공격을 가했고 이를 위한 백령도 근해 조류가 어뢰 공격에 제한이 없을 것이라는 군 당국의 분석도 북한의 어뢰공격에 힘을 실어주는 대목이다.
군 관계자는 "이런 모든 증거는 이번 사태가 북한의 소행이 분명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며 "북한이 더는 발뺌하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고온.고압에 생성된 흑연.알루미늄 산화물 검출 = 인양된 천안함 함수와 함미에서 다량의 흰색 분말이 식별된 것도 어뢰공격으로 물증으로 제시됐다.
흰색 분말은 알루미늄 산화물로 어뢰 프로펠러를 비롯한 천안함 선체 8곳, 증거물 2곳에서 발견됐다. 알루미늄 산화물은 큰 에너지를 받거나 높은 온도 속에서 형성되기 때문에 폭발장약 250㎏의 중어뢰가 폭발할 때 생성됐다는 것이다.
고온 고압에서는 형성되는 물질인 흑연도 검출됐다. 합조단은 이들 물질이 수중폭발이 발생했을 때 생긴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분석을 통해 프로펠러(증거물)와 천안함에서 검출한 흡착물질이 동일한 물질임을 식별했다고 합조단은 전했다.
윤덕용 합조단 공동단장은 "어뢰 추진체의 하얀 물질이 폭발로 인해 알루미늄이 산화하면서 생긴 것"이라며 "그런 흡착물이 프로펠러와 증거물의 철 표면에서도 관찰됐다"고 말했다.
윤 단장은 "모터 속은 철로 되어 있는데 철의 부식상태를 보면 함수는 약 한달 동안 해저에 있었고 추진체는 한달 반 동안 해저에 있어 부식 정도가 비슷하다"면서 "최근 어뢰 폭약으로 알루미늄 파우더가 20~30% 정도 쓰이고 있는데 이는 폭발 위력을 증가시키고 특히 버블을 만드는 데 효과가 있다"고 설명했다.
honeybee@yna.co.kr
(끝)
< 뉴스의 새 시대, 연합뉴스 Live >
<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
< 포토 매거진 >
<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실시간 지구촌 개벽소식 > 5선위기의 한반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MB “단호한 대응조치 취할 것”..北 즉각 반발 (0) | 2010.05.20 |
---|---|
천안함 둘러싼 4대 의문? (0) | 2010.05.20 |
조중동엔 쏙 빠진 천안함 침몰증거 '의혹' (0) | 2010.05.20 |
"천안함 보복론은 위험한 불장난" (0) | 2010.05.20 |
장신썬 中대사 "北 '천안함 무관' 입장 전달" (종합) (0) | 2010.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