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 시대를 살아가면서 꼭 알아야 할 유용하고 세상에서 가르쳐 주지 않는 차원 높은 정보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본 블로그에서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핵심을 잘 간파하셔서 끊임없이
우주법칙*생존법/천연두*병란病亂

천연두에만 5억명 이상 희생

by 바로요거 2010. 4. 13.

천연두에만 5억명 이상 희생

[주간조선 2006-03-02 09:41]

 

 

▲ 2000만평의 목숨을 앗아간 1918년 스페인독감 발병 당시 미국 캔사스 포트릴리 응급 병원에 수용된 독감 환자들.

 

바이러스는 인류 역사 내내 출현해 엄청난 생명을 앗아갔다. 인류의 역사는 ‘바이러스와의 투쟁사’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바이러스 중에서도 인류에게 가장 심각하고 지속적인 영향을 미친 바이러스는 아마도 천연두일 것이다. 역사상 천연두(두창, 마마라고도 불림)의 존재가 분명히 확인된 것은 기원전 1160년. 당시 이집트 파라오 람세스 5세의 미라에서 얼굴과 목, 어깨에 곰보자국이 확인되면서 천연두로 사망한 사실이 드러났다.

 

1492년 콜럼버스의 아메리카 대륙 발견과 1520년 마젤란의 세계일주는 ‘신세계’ 원주민에게 무서운 전염병을 옮기는 결과를 초래했다. 천연두 바이러스는 콜럼버스와 함께 신대륙으로 건너가 원주민의 95%를 몰살시켰다. 인류 역사상 전쟁으로 사망한 사람보다 훨씬 많은 5억명 이상이 이 질병에 의해 희생됐다고 추정될 정도로 끔찍한 바이러스로 맹위를 떨쳤다. 오죽했으면 정복자들이 “신이 우리가 가질 수 있도록 땅을 청소해주셨다”고 했을까. 그토록 무서운 천연두는 1798년 영국의 에드워드 제너가 ‘종두’라는 백신을 보급하면서부터 급격히 몰락, 1977년을 마지막으로 더 이상 환자가 보고되지 않고 있다. 이것은 인간이 바이러스를 물리친 거의 유일한 예다.

 

폴리오(Polio, 척수성 소아마비) 바이러스도 고대 이집트 시대부터 존재했다. 그들이 남긴 상형문자 기록을 보면 소아마비 환자가 보고되어 있다. 사람들은 이 병의 원인을 자세히 알지 못한 채 지내다가 19세기에 이르러 원인균을 밝혀냈다. 1916년 소아마비가 전세계에 크게 창궐하였을 때는 바이러스 저항성이 전무한 어린이 6000여명이 사망하고, 3만명 이상의 아이들이 소아마비에 걸려 불구의 몸이 되었다. 일본에서는 1960년 한 해 동안 5606명이나 되는 폴리오 환자가 발생했다. 대부분의 환자는 5세 미만의 어린이였지만, 저항성이 없는 어른도 희생양이 되었다. 대표적인 사람이 미국 루스벨트 대통령이다.

 

바이러스로 인한 전염병은 정치적 변화를 가져오기도 했다. 아테네 시민을 죽음으로 몰아 황금기를 구가하던 아테네를 몰락시킨 것은 스파르타가 아니라 홍역이었다. 스파르타의 침공으로 수많은 촌락민이 아테네로 몰려들었고 덥고 숨막히는 오두막에서 비비적대던 아테네인 사이에 역병이 돌아 5년간 아테네 인구의 3분의 1이 줄었다.

 

일본의 세균의학자 노구치 히데요(英世)의 목숨을 앗아간 황열병도 바이러스에 의한 전염병이다. 모기를 매개체로 아프리카와 남미 지역에서 끊임없이 유행하는 황열병은 1905년 미국을 공포에 빠뜨리며 1000여명의 사망자를 발생시켰다. 이 질병은 보통 감염자의 5% 정도를 죽음으로 몰아넣는다. 백신이 개발되면서 위험은 줄어든 상황이지만, 1994년 남미에서만 20여만명을 사망케 한 치사율이 높은 질병으로 되돌아왔다. 바이러스가 반세기 만에 다시 만연한 것이다.

 

1918년에는 스페인독감이라는 이름의 인플루엔자가 세계를 강타했다. 스페인에서 발생한 독감은 선원들에 의해 순식간에 전세계로 퍼져나갔다. 그 결과 3억명 이상이 감염돼 무려 2000만명 이상이 사망하는 지독한 재앙이 발생했다. 이는 1차 세계대전 사망자 수인 1500만명보다 많은 것이다.

▶ 독감 예방주사를 맞는 미국의 어린이.  

강력한 전파력을 지닌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계속 돌연변이를 일으키며 끊임없이 인류를 위협하고 있다. 독감으로 인한 재앙은 쉼 없이 반복됐다. 100만명의 목숨을 앗아간 1957년의 아시아독감, 80만명이 사망한 1968년의 홍콩독감, 그리고 1977년 러시아독감까지…. 10년마다 새로운 독감이 발병한다고 해서 ‘10년 주기설’까지 나돌고 있다. 1977년 러시아독감 이후 독감 바이러스로 인한 엄청난 희생자는 발생하지 않지만 언제 또다시 인류를 위협할지 모르는 상황이다.

 

1976년 6월 수단에서는 ‘에볼라 출혈열’로 284명이 감염되고, 151명이 목숨을 잃었다. 그리고 거짓말처럼 역사의 무대에서 사라졌다가 19년 만인 1995년 콩고에서 다시 발생해 244명의 사망자를 냈다. 이때까지도 에볼라 바이러스의 존재는 전혀 알려져 있지 않았다. 에볼라 바이러스는 감염 후 일주일 이내에 90%의 치사율을 보여 역사상 가장 치명적인 바이러스로 기록됐다. 1996년에는 가봉에서, 2004년에는 콩고에서 또 출현해 지금까지 사하라 사막 이남을 중심으로 중앙아프리카 지역에서 10여차례 유행하면서 수천 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에볼라 바이러스는 아직까지 난공불락, 정확한 기원도 오리무중이다.

1980년대 초, 현대의 흑사병이라 불리는 에이즈가 등장해 한동안 잠잠했던 바이러스에 대한 공포가 다시금 고개를 들었다. 인체면역을 담당하는 T림프구 내로 직접 침투해 생명을 앗아가는 에이즈 바이러스는 현재 4000만여명의 감염자를 낳고 2000만명 정도가 사망한 지구촌 최대의 역병이 됐다. 매년 전체 유전자의 1%씩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탁월한 ‘변신술’로 항체나 예방백신을 개발하는 일도 쉽지 않은 실정이다.

 

1986년 영국에서 감염된 소가 처음 발견되면서 존재를 드러낸 광우병. 1997년 인류를 공포로 몰아넣은 광우병의 정확한 명칭은 우해면양뇌증(BSE)으로 뇌가 스폰지처럼 돼 죽는 병이다. 이 광우병이 사람에게도 전염돼 ‘인간 광우병’으로 불리는 변종 ‘크로이츠펠트 야코프병(vCJD)’을 유발했다. 2003년 12월 전세계적으로 153명의 환자가 보고됐다. 그 전염성이 너무 커서 광우병이 발병하면 심지어 전국의 모든 소를 소각하기도 한다. 지난 1월에는 캐나다에서 또다시 광우병 감염 소가 발견돼 관련국들을 긴장시키고 있다.

 

1993년 미국 애리조나와 뉴멕시코에선 치사율이 50%에 이르는 한타 바이러스 폐증후군이 최초로 발생해 미국 전역과 남미 지역까지 급속도로 확산되었다. 지금까지 미국에서만 336명의 환자가 발생해 200명 가까이 사망했다.

1997년 10월 말레이시아에서는 “발열과 두통에 이어 행동 이상이 나타나고 혼미 상태에 빠진다”는 질병을 일으키는 신종 바이러스가 출현했다. 일명 니파 바이러스. 1998년과 1999년에 걸쳐 257명의 환자가 발생하고 100명이 사망했다. 식육용 돼지에서 사람에게 감염되는 것이 알려져 숱한 돼지들이 도살되었다. 그 후 사태는 수습 국면으로 돌아서 신규 발생은 아직 없다.

 

최근 2년 사이에는 사스(SARS)에 이어 조류인플루엔자에 이르기까지 유난히 바이러스 전염병이 기승을 부렸다. 2003년 11월 중국 광둥성에서 발생한 사스는 범세계적으로 확산되어 30여개국에서 8000여명의 환자를 감염시켰다. 감염 속도가 빠른 사스는 몇 달째 수백 명의 사망자를 발생시키며 전세계를 휩쓸었다. 발생지인 중국에서 잠잠해지는가 싶더니 다시 기승을 부려 대만, 곧이어 필리핀이 새로운 감염 지역으로 추가 발표되고 캐나다에서도 환자가 나타났지만 아직 정확한 원인 규명도 안 되고 있는 실정이다.

 

세계가 신종 폐렴인 사스의 공포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고 있는 시점에 조류인플루엔자가 발생, 천문학적인 피해를 유발시켰다. 조류인플루엔자는 사실 지난 세기 4차례나 범세계적으로 유행한 질병이다. 최근에는 신종 바이러스(H5N1)로 둔갑해 다시 출현한 것이다. 사람에게 전염돼 1997년 홍콩에서 18명의 목숨을 앗아갔고 베트남에서는 12명이 숨졌다. 지금도 아시아 지역에선 산발적으로 발병하고 있고 이탈리아와 그리스, 불가리아 등 유럽 전역으로 확산되고 있다. “양치기 소년처럼 공포를 자꾸 확산시킨다”고 비판하는 사람도 있지만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전염력은 갈수록 세지고 있어 재앙이 정말 임박했을지도 모른다. 세계 곳곳에서 불길한 징조가 포착되고 있다.

 

이렇듯 인간을 공격해온 바이러스는 그 종류가 헤아릴 수 없이 많고 아직 인류라는 집단과 만나지 못한 것들도 많다. 이들은 언제고 치명적인 바이러스로 우리 앞에 나타날 수 있다. 미래란 현재 시간의 연장일 뿐이다. 21세기라고 해서 ‘바이러스와의 전쟁’에서 급격한 변화를 기대한다는 것은 우리의 희망일 뿐이다. 

 

김형자 과학 칼럼니스트(bluesky-pub@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