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 시대를 살아가면서 꼭 알아야 할 유용하고 세상에서 가르쳐 주지 않는 차원 높은 정보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본 블로그에서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핵심을 잘 간파하셔서 끊임없이
실시간 지구촌 개벽소식/지각변동*자연재해

대한민국 지진 발생 빈도 높아지는데 대책은?

by 바로요거 2010. 2. 10.

대한민국 지진 발생 빈도 높아지는데 대책은?

 

제가 서울에 살면서 지진을 몸으로 감지하게 된 것은 이번이 두번 째입니다.

 

첫번 째는 최근에 가장 규모가 컸던 2007년도 1월20일 강원도 평창군 오대산 지역에서 규모 4.8의 지진이 발생한 때였는데, 이 때 저는 서울 중랑구 신내동 소재 모 할인매장에서 쇼핑을 마치고 주차장에서 빠져나와 큰 길로 진입하기 위하여 차안에서 대기하고 있던 중이었는데 갑자가 차가 울~렁하는 것을 느꼈습니다.

 

그리고 두번 째는 바로 어제(2월 10일) 오후 6시가 넘어서 저녁 식사를 하기 위하여 집안 거실에서 잠깐 앉아 있는데, 현관문이 살짝 열리고 집이 약간 흔들리는 것을 감지하였는데 순간 '마음속으로 어디 지진이 났나보다!'했는데 아니나 다를까, 저녁 7시 뉴스에 시흥 북서쪽 8km지점에서 규모 3.0의 지진이 났다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2009년 한해 우리나라 지진발생 횟수는 사상 최고인 60회였다고 하며, 올해 2010년 들어서 벌써 7회나 지진이 발생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도 더이상 지진으로 부터 안전한 지대가 아니라고 모두 이야기하는데 우리는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아래 신문 기사를 실어 보았습니다.

 

지진피해, BCP 도입 시급하다

전자신문 | 입력 2010.01.22 10:01 

우리나라 재난관리 수준은 후진국
새해 벽두부터 아이티의 지진참사가 지구촌을 뒤흔들고 있다. 진도 7의 강진이 이처럼 엄청난 재앙은 언제 지구촌 어디를 강타할지 모른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다. 구호와 계획이 아무리 좋은들 "돌다리도 두드려 건넌다."는 빈대한마리 때문에 초가삼간까지 태워서야 되겠는가,

우리의 지진조기경보 체계가 이제 막 걸음마 단계로 현 조기경보 체계상 2분 이상 경과시 지진파가 한반도 전역을 통과하는 등 안전대책이 시급하다. 이에 따라 재난과 관련해 BCP제도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 재난관리 수준으로는 국가와 기업 및 산업현장에서의 대응과 수습 및 정상으로의 복구는 사실상 어렵다.

일부 대기업에서 기존 안전관리체계에 BCP 도입과 재난 대비 체계를 갖추고 있지만 대부분의 기업과 산업현장에선 거의 무방비상태로 노출되어 있다.

주로 미국에서 재난/위기관리 기법으로 적용하고 있고, 영국은 같은 개념이지만 BCM(Business Contiuity Management)이라는 이름으로 기업과 산업현장을 대상으로 적극 보급하고 있다.

기상청에 따르면 지난해 한반도에서 발생한 지진 횟수는 모두 60회. 지난 10년간(1999∼2008년)의 평균(41회)보다 19회나 더 발생했다.

'한반도의 주요 지진 및 지진해일 발생현황'을 살펴보면 가장규모가 컸던 지진은 1980년 1월8일 평안북도 의주에서 발생한 규모 5.3의 지진이고 2004년 5월29일에 경상북도 울진 동쪽 해역에서 5.2, 1978년 9월16일 충청북도 속리산 부근지역에서 규모 5.2의 지진이 기록됐다.

가장 최근에 규모가 컸던 것은 2007년도 1월20일 규모 4.8의 지진이 강원도 평창군 오대산 지역에서 발생한 바 있다.

통상적으로 우리나라에서의 지진 발생률을 보면 규모 4.0대가 1년에 한 번 정도, 5.0대가 5~6년에 한 번, 30년 동안 5.0대 이상이 5회 정도 발생했다.

지진 전문가들은 한반도에서 규모 5.0 내외의 지진은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으며 규모 6.0 수준의 지진도 충분히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으로 시내 건물 62만8325채 가운데 내진설계가 된 것으로 확인된 건물은 9.85%인 6만1919채로 채 10%가 안 돼 '지진불감증'이라는 비판의 목소리가 일고 있다.

지진 등 재해발생시 대피처로 사용되는 학교건물은 더 심하다. 현재 초ㆍ중ㆍ고 건물 중 내진설계가 된 건물은 10곳 중 1곳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됬다.

교육과학기술부가 20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07년 8월 기준 연면적 1000㎡ 이상, 3층 이상 국내 학교 건물 1만7734동 가운데 내진설계가 된 건물은 13.7%(2429동)에 불과했다.

특히 교과부가 2008년 국내 전체 초ㆍ중ㆍ고교, 특수학교, 교육기관 등이 보유한 교육 시설물 6만8405동을 대상으로 재난 위험도를 진단한 결과 119동이 재난위험시설인 D,E등급을, 1102동은 중점관리대상인 C등급을 받았던 것으로 확인됐다.

소방방재청 관계자는 "이번 아이티 지진참사로 우리나라에 지진에 대한 경각심이 강화된 것이 이번 지침 마련의 계기 였다"며 "지진 등 재해 발생시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내진설계 강화가 필수적이라는 인식 하에 내진보강 사업을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아이티 사태로 부각되는 BCP 도입과 제도 활성화에 붐이 일 것으로 기대한다.
재난포커스( http://www.di-focus.com) - 이종근 기자(tomaboy@di-focus.com)

'No.1 IT 포털 ETNEWS'
Copyright ⓒ 전자신문 & 전자신문인터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반도 지진 빈발, 철저한 대비 필요하다
2010-01-18 23면기사

아이티의 강진은 가히 충격적이다. 유엔은 사망자가 20만명에 달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러한 사망자 수가 사실로 확인될 경우 이번 지진은 역사상 가장 피해 규모가 큰 10대 지진에 꼽힐 것이라는 전망이다. 국가 기능이 사실상 마비되고 온 나라가 폐허로 변했다. 물과 식량이 부족한 데다 곳곳에서 약탈 행위가 기승을 부리고 여진까지 계속되자 도시를 탈출하려는 주민들의 행렬이 이어지고 있다. 세계 각국의 구호의 손길이 미치고 있지만 바라보는 심정은 걱정스럽고 안타깝기 그지 없다.

천재지변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진 가운데 한반도에서도 지난해 지진이 관측된 이후 가장 많이 발생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도 지진의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점에서 우려스럽다. 기상청에 따르면 지난해 한반도에서 발생한 지진 횟수는 최근 10년간(1999년-2008년)의 평균 41회보다 19회 많은 60회에 달했다. 지진 관측이 시작된 1978년 이후 31년 만에 가장 많은 횟수며, 지진 최고 발생횟수를 기록했던 2006년 50회보다 10회나 많은 것이다.

한반도와 그 주변을 둘러싸고 지진이 잦아지는 추세가 예사롭지 않다. 지난 2007년에 강원도 평창군 도암면을 진앙지로 하는 리히터 규모 4.8의 지진이 일어나 국민들을 놀라게 했다. 부산·경남까지 그 영향권에 들었다. 당시 내륙이 진앙지란 점에서 주목됐다. 이전까지 진앙지는 한반도 내륙을 벗어난 곳이 대부분이었다. 남한 내륙을 진앙지로 한 것은 1978년 충북 속리산 부근과 충남 홍성의 경우다. 해역 뿐만이 아니라 내륙까지 지진이 일어날 수 있음을 반증해 준다.

우리나라도 안전지대가 아닌 데도 불감증은 여전하다. 지진이 발생할 때면 모두가 불안해 하고 우왕좌왕하지만 그 때가 지나면 마치 남의 일처럼 잊어버리는 것이 다반사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격으로 큰 일을 당한 뒤 후회하면 소용이 없다. 이런 자세를 버리고 철저한 대비가 필요할 때다. 주요 건물이나 도로 등의 내진 설계를 강화하고 관련법에 미비점이 없는 지 꼼꼼히 살펴봐야 한다. 당국도 유사시에 대비해 조기 경보체제를 구축하고 국민들도 적극적인 관심이 절실하다. 천재지변에 대한 경각심과 대비 자세는 그 중요성을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출처: 대전일보 http://www.daejonilbo.com/index.a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