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 시대를 살아가면서 꼭 알아야 할 유용하고 세상에서 가르쳐 주지 않는 차원 높은 정보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본 블로그에서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핵심을 잘 간파하셔서 끊임없이
한민족 역사문화/환단고기*韓의뿌리

국내 치우천황 관련 사진 모음

by 바로요거 2010. 1. 7.

국내 치우천황 관련 사진 모음

 

국내에 나와 있는 치우천자 관련 모든 사진이 들어 있습니다
살아움직이는 "치우천자"

자랑스런 우리 고대사는 반드시 복원되어야 합니다



("치우천자" 사진모음)

- 출처 : 치우학회(회장 박정학) 및 다물넷(김산호 화백)

▒ 김산호 화백이 그린 치우천자상(www.damool.net)




▒ 김산호 화백이 그린 탁록대첩도(www.damool.net)



▒ 호남성 화원현의 치우천자 동상




▒ 치우무술을 연구하시는 유석만님이 그린 치우상




▒ 강화도 마니산 대시전(단단학회)에 봉안된 삼황오제 중의 치우상
- 임시로 그려진 것임




▒ 평양 단군릉의 단군 8가중 한 가문인 치우씨의 상
- 치우천자가 아닌 것으로 봐야 할 것임




▒ 경주 안압지에서 발굴된 귀면와 사진
- 가장 대표적인 한국의 도깨비상 내지 치우상으로 통함




▒ 탁록 중화 삼조당에 모셔져 있는 치우천자상

좌측 탁록의 중화삼조당에는
가운데에 황제,
왼편에 염제,
오른편에 치우제를 모셔놓고 있습니다.

탁록의 중화삼조당 벽화의 중간부분에 그려져 있는 치우상입니다.
가장 큰 특징은 소뿔 투구입니다.

▒ 삼조당 치우제상 앞의 소형 목상




▒ 탁록에 있는 한 식당에 걸려있는 치우천자 그림




▒ 황제대전치우도 (黃帝大戰蚩尤圖)



(생활속의 치우천황)
- 출처 한배달 2002년 43호

▒ 치우천자상 : 탁록 삼조당



▒ 중국 오제사에 소장되어 있는 치우/황제 전쟁복원도



▒ 귀면상 : 창경궁



▒ 귀면상 : 창덕궁



▒ 탁록전투 묘사도 : 삼조당



▒ 녹유귀면판 : 경주 박물관(안압지 출토)



▒ 전쟁기념관 본관 입구 상단에 새겨진 치우상



▒ 육사박물관 소장 투구상에 새겨진 치우상



▒ 육사박물관 소장 : 쇠도리깨 손잡이 끝부분에 새겨진 치우문양



▒ 육사박물관 소장 : 쇠몽둥이 손잡이 끝부분에 새겨진 치우문양



▒ 고구려시기 귀면판 : 평양시 대성구역 안학궁 성터 출토



▒ 치미(망새) : 용의 아홉아들 중 하나로 이문이라고 하는데 불을 제압하는
능력을 가졌다 한다. 이 치미의 치를 치우의 "치(蚩)"로 적기도 한다



▒ 육사박물관 소장 치우기(도깨비상기)



▒ 고구려 시기 귀면와 : 평양시 대성구역 청암리성 출토



▒ 둑신기

- 심신민고(三神民考)(조자용저)에 실린 둑신기. 저자는 이 둑신기를
안곽의 "황제 전쟁전설의 벽화"에서 얻었다고 기록하고 있으며
치우천황을 모신 사당, 즉 둑신사에 그려진 것으로 이 둑신기야 말로
우리 태극기의 원형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치우문양)

- 출처 : 한배달 치우연구 제2호(2002.12)

 

 

 

 

출처: http://cafe.daum.net/ps1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