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문]儒林 (690)에는 ‘行列’(줄 항/줄 렬)이 나오는데, 같은 血族(혈족) 사이에 世系(세계)의 관계를 분명히 나타내기 위한 門中(문중)의 법이다.行列字(항렬자)란 이름자 중에 한 글자를 공통으로 사용하여 같은 세대를 나타내는 돌림자를 말한다.
‘行’의 본래 음은 ‘행’이다.‘항렬’‘같은 또래’‘줄’‘굳세다’의 의미로 쓰일 때는 ‘항’으로 발음한다.‘行’은 ‘네거리’를 象形(상형)한 글자였으나 점차 ‘거리’‘걷다’‘움직이다’의 뜻이 派生(파생)하였다.用例(용례)에는 ‘敢行(감행:과감하게 실행함),行次(행차:웃어른이 차리고 나서서 길을 감),行伍出身(항오출신:미천한 졸병으로부터 출세함),行行(항항:강건한 모양)’ 등이 있다.
‘列’은 앙상하게 남은 뼈와 칼의 상형을 결합해 ‘뼈와 살을 분해한다’는 뜻을 나타냈다. 후에 ‘늘어진 줄’‘(순서를)매기다’‘벌이다’‘베풀다’의 뜻이 파생하였다.‘羅列(나열:죽 벌여 놓음, 또는 죽 벌여 있음),列傳(열전:여러 사람의 전기를 차례로 벌여서 기록한 책),戰列(전열:전쟁에 참가하는 부대의 대열)’등에 쓰인다.
이름에 항렬자를 쓰기 시작한 것이 언제부터인지는 확실치 않으나 여러 가문의 族譜를 통해 짐작할 수 있다.族譜(족보)를 편찬할 때 일정한 代數(대수)까지의 行列字와 그 用法(용법)을 미리 정해 놓는다. 대부분의 경우는 다음과 같은 원칙을 따른다.
첫 번째는 五行相生法(오행상생법)이다.宇宙(우주) 萬物(만물)은 相生(상생)과 相剋(상극)의 힘에 의하여 생성된다는 陰陽(음양) 理論(이론)에 근거하여 金(금),水(수),木(목),火(화),土(토)가 들어가는 글자를 木→火→土→金→水의 순으로 배열한다. 두 번째는 天干法(천간법)이다. 글자를 破字(파자:漢字의 자획을 풀어 나눔)하여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를 포함하도록 한다. 세 번째는 子(자),丑(축),寅(인),卯(묘),辰(진),巳(사),午(오),未(미),申(신),酉(유),戌(술),亥(해)의 地支(지지) 순서를 따르는 방법이다. 네 번째는 數交法(수교법)이라 하여 破字하여 볼 때 一,二,三,四,五,六과 같은 숫자가 포함되도록 하는 방법을 말한다.
千字文(천자문)의 순서를 따르는 집안도 있으니 자손이 千代(천대),萬代(만대) 이어지기를 염원하는 뜻이 담긴 것이라 하겠다.
돌아가신 분의 이름을 諱(휘)라고 한다. 이름을 지을 때는 조상의 諱字(휘자)와 똑같은 글자는 쓰지 않는 것이 常例(상례)이다. 항렬자를 사용한 이름이 조상과 같을 경우 항렬자를 바꾸는데, 이를 忌諱法(기휘법)이라 한다.忌諱法은 매우 엄격하여 同音異義字(동음이의자)까지도 쓰지 않는다.
逆賊(역적)으로 몰리는 경우와 같이 심한 경우는 아예 족보에서 削除(삭제)하거나 항렬자를 바꿨다.甲申政變(갑신정변) 관련자들의 해당 문중이 대표적인 예이다.政變이 삼일천하로 막을 내리자 각각의 문중에서는 해당자의 이름에 썼던 항렬자를 다음과 같이 바꿨다고 한다. 김옥균(金玉均)의 돌림자 ‘均’을 ‘圭’로, 홍영식(洪英植)의 ‘植’은 ‘杓’(표)로, 서광범(徐光範)의 ‘光’은 ‘丙’으로, 서재필(徐載弼)의 ‘載’자 항렬은 ‘廷’(정)으로 말이다.
김석제 군포의왕교육청 장학사(철학박사)
“새 감각 바른 언론”
- Copyrights ⓒ서울신문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