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 시대를 살아가면서 꼭 알아야 할 유용하고 세상에서 가르쳐 주지 않는 차원 높은 정보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본 블로그에서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핵심을 잘 간파하셔서 끊임없이
실시간 지구촌 개벽소식/기후변화*온난화

올해 안에 북극점 드러날 수도...빙하 빠르게 녹고 있어

by 바로요거 2008. 7. 7.

다년생 빙하 빠르게 녹고 1년생이 70%… 올 안에 북극점 드러날 수도

국민일보 | 기사입력 2008.06.27 18:41

올 여름 역사상 처음으로 북극점(북위 90도)의 빙하가 완전히 사라질지도 모른다고 영국 일간 인디펜던트가 27일 보도했다.

현재 북극점에는 기존의 두꺼운 다년생 빙하가 전부 밀려나고 지난해 겨울 동안 생성된 얇은 빙하가 자리잡고 있다. 이 얇은 빙하는 올 여름 햇빛과 바람에 녹아서 사라질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 북극점은 개빙구역(open water)이 돼 배를 타고도 도달할 수 있게 된다.
 

 

 

미국 국립 빙설데이터센터의 마크 세레제는 "내가 아는 한 처음으로 1년생 빙하가 북극점을 뒤덮고 있다"며 "올 여름 북극점의 1년생 빙하가 모두 녹아 없어질 확률이 절반"이라고 말했다. 그는 "지난해에 비해 더 많은 얇은 빙하가 북극 전체를 뒤덮고 있다"며 "여름이 시작되면 빙하가 역대 최소로 줄어들었던 지난해 기록을 깰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현재 북극권 빙하 중 70%가 1년생 빙하이며 올 여름 동안 1년생 빙하의 최소 70%가 녹아 사라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최근 인공위성 사진으로 판독한 결과, 빙하가 녹는 속도도 지난해에 비해 훨씬 빠르다.

북극 전문가인 론 린제이 시애틀 워싱턴대학 교수는 "장담할 순 없지만 북극점의 얼음이 올 여름에 모두 녹아버릴 수 있다"고 말했다. 미 우주항공국(NASA) 고다드 우주비행센터의 과학자들도 "알래스카 인근의 폴리니아(빙하에 둘러싸인 해면)가 평소보다 넓어지고 있다"며 빙하가 사라질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북극 빙하는 여름에 녹았다 긴 겨울철에 다시 얼어붙는 과정을 반복한다. 그러나 지난해에는 빙하의 양이 급격히 줄면서 북극해의 넓은 지역이 개빙구역이 됐다. 태양열을 반사하던 빙하가 녹으면서 해수면이 열을 흡수, 북극 인근 지역의 기온도 상승하고 있다.

인디펜던트는 북극해에서 빙하가 사라질 경우 인근 국가들이 북극해에 묻힌 자원을 개발하기 위해 경쟁적으로 나설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이미 러시아는 여러 차례 쇄빙선을 보내 북극해 자원을 탐사했으며 지난해에는 북극해 해저에 자국 깃발을 꽂기도 했다.

미국과 캐나다도 해저 지도를 만들어 북극해 해저 지형을 탐사하는 한편 기지도 세울 계획이다. 현재 북극해 해저에는 전 세계 미개발 석유가스의 4분의 1이 매장돼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
< GoodNews paper ⓒ 국민일보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북극 빙하는 빠르게 녹고 있는데 심각한 지구온난화와 환경 문제는 생각 않고 제각기 자원확보를 위하여 국가이기주의의 행태가 속속 드러나고 있다! 지금 지구는 인류역사상 가장 크나큰 위기를 맞고 있는 실정이다.

氷산이 녹고 있다!

UNEP 9개 주요산맥 30개 빙하 분석

기사입력 :2008-07-01 오전 10:49:54 김태형hugguk@hkbs.co.kr

북극 빙하는 빠르게 녹고 있는데 심각한 지구온난화와 환경 문제는 생각 않고 제각기 자원확보를 위하여 국가이기주의가 드러나고 있다!

UNEP의 최근 공식집계에서 기록적인 속도로 빙하가 녹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9개 주요산맥을 대상으로 30개 빙하에서 추출된 자료를 근거로 한 이 분석은 2004~2005년과 2005~2006년 사이 평균 빙하융해속도가 두 배가 넘은 것으로 보고했다.

이런 사실은 UNEP이 지원하고 스위스 취리히대학(the University of Zurich) 세계빙하모니터링서비스(World Glacier Monitoring Service: WGMS)가 실시한 조사를 통해 밝혀졌다.

이 시설은 한 세기가 넘는 동안의 빙하 변동사항을 측정했다. 연간 매스 밸런스 데이터의 연속 측정은 1980년부터 두께의 변화가 어떤지에 대해 보여주고 있다.

시설 책임자인 윌프리드 해벌리(Wilfried Haeberli) 교수는 “최근 측정치는 급속한 빙하감소가 끝날 조짐이 보이지 않는다는 사실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다”고 주장했다.

기록을 보면 20년에 걸친 기간 동안 1998년 평균 0.7m에 달하던 빙하 두께가 지난 6년 동안 급속도로 감소한 사실을 보여준다. 특히 2003, 2004년, 2006년의 감소세가 두드러진다.
<김태형 기자ㆍ자료=UNEP>

 

 

출처: 인터넷 환경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