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 시대를 살아가면서 꼭 알아야 할 유용하고 세상에서 가르쳐 주지 않는 차원 높은 정보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본 블로그에서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핵심을 잘 간파하셔서 끊임없이
인생담론*행복론/조상*영혼*귀신

삶과 죽음에 대하여...(임사체험기)

by 바로요거 2008. 7. 2.

[문화마당] 삶과 죽음/최준식 이화여대 교수

서울신문 | 기사입력 2005.07.20 07:46

[서울신문]지난달 초에 우리는 한국죽음학회라는 별종의 학회를 만들었다. 죽음이라는 것은 삶만큼이나 중요한 것인데 한국 사회에서는 그동안 죽음을 너무나 외면하고 금기시해왔기 때문에 이런 정황을 조금이라도 바꿔보자는 의도로 학회를 만든 것이다. 호응이 어느 정도는 있을 거라고 생각했지만 학회가 끝난 뒤 후폭풍은 실로 대단했다. 간사가 전화를 다 받지 못할 정도로 전화가 폭주했으니 말이다. 그것을 보고 나는 우리 사회가 죽음이라는 절체절명의 과제에 목말라 하고 있다는 것을 절감할 수 있었다. 인간의 죽음과 관계된 문제는 실로 다양하다. 임종 환자를 보살피는 문제부터 해서 안락사 문제, 노인 복지 문제, 자살 문제, 장례 문제 등 인간사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는 다 죽음과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내가 발표했던 주제는 사후(死後)의 삶에 관한 것이었다. 특히 나는 죽음의 언저리에 다녀온 사람들의 체험인 근사(近死) 체험 혹은 임사(臨死) 체험에 관심이 있어 이것을 다루었다. 이 체험을 영어로는 ‘near-death experience’라고 하고 줄여서 그저 NDE라고도 한다. 이것은 일단 죽었다고 선고받은 사람들이 다시 살아나와 의식 불명의 상태에 있었을 때 겪은 체험에 관한 것이다.
 이들은 대체로 비슷한 유형의 체험을 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데 가장 두드러진 것은 죽었다고 해서 자기가 사라지기는커녕 모든 것을 더 생생하게 목격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쉽게 말해서 사람이 죽는다고 해서 자기라고 불리는 의식이 없어지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약간의 논리적인 비약이 있을 수 있지만 사후생은 있다는 것이다. 그럼 이것은 어떻게 증명할 수 있을까? 근사 체험을 한 사람들의 보고를 들어보면 증거가 될 만한 것들이 많이 발견된다.
 어떤 사람이 큰 교통 사고를 당했다. 몸이 튕겨져 나가고 만신창이가 되어 의식을 잃어버렸다. 그런데 갑자기 엉망이 된 내 몸이 밑에 보였다. 살아남은 친족들은 내가 죽었다고 울먹였다. 나는 내가 죽지 않았다고 그들에게 말했지만 그들은 내 말을 알아듣지 못했다. 곧 구급차와 대원들이 도착했다. 나는 구급차의 번호를 볼 수 있었고 대원 이름도 들을 수 있었다. 그러곤 병원으로 실려가는 내 몸을 따라 내 의식도 병원으로 향했다. 응급실에 들어가 여러 응급처치를 받다가 나는 나도 모르게 내 몸 속으로 다시 들어갔다. 의식이 돌아온 후 나는 의사나 주위의 친지들에게 그 사이에 겪었던 체험을 이야기했다. 그러나 그들은 내가 너무 큰 사고를 당해 헛것을 보았다고 하면서 내 이야기를 전혀 믿으려 하지 않았다. 그래서 나는 사고 현장을 보았던 구급차 번호와 대원의 이름을 말해주었다. 물론 그것은 정확한 사실이었다. 그제서야 그들은 수긍하는 척을 했지만 여전히 반신반의의 태도를 보였고 그것마저 곧 잊어버리고 말았다. 이런 내용이 근사 체험자들에게서 가장 많이 발견되는 유형이다. 이들은 주위 사람들이 자신의 체험담을 전혀 들어주지 않자 나중에는 아예 입을 닫아버린다. 그러나 본인은 이 체험이 너무나 강렬했기 때문에 수십 년이 지나도 잊지 못한다. 뿐만 아니라 본인 삶의 질이나 양식이 완전히 달라진다. 삶에 새롭게 눈뜨기 때문이다. 세상 모든 것에서 사랑을 느끼고 자연과 우주에 대해 배우고 싶은 욕망이 생긴다. 이 생에서 사는 순간순간이 너무나 귀중하게 생각되는 등등 그의 삶이 엄청난 변화를 겪는다.
 내가 이런 이야기를 접한 것은 모두 미국 책을 통해서였다.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 근사 체험에 대한 연구는 미국에서부터 시작되었기 때문이다. 1970년대에 나타난 레이먼드 무디 2세와 퀴블러 로스박사의 연구가 그것이다. 미국은 그 뒤 근사 체험에 대해 엄청난 연구 결과를 산출해 냈는데 한국은 아직 시작조차 하지 않았다. 이것은 한국인이 너무 삶에만 집착하기 때문은 아닐까? 최준식 이화여대 교수 [저작권자 (c) 서울신문사]

영혼은 존재하겠죠?

죽었다고 끝나는 것이 절대 아니랍니다!

 

관련 서적과 자료 무료신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