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플레이션-Deflation
통화량의 수축에 의해 명목물가가 하락하는 현상.
인플레이션의 반대 개념이다. 통화·신용의 수축이 언제나 명목물가의 하락을 초래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불황중에 물가가 하락하고 통화·신용이 수축되었다 할지라도 이때 발생한 물가 하락은 상품가치의 저하로 인한 실질적 하락일 뿐 화폐가격 표준의 절상 및 금융·재정 조치 등에 의한 명목적 하락은 아니다. 따라서 불황과 디플레이션을 동일시하는 것은 옳지 않다. 실제로 명목가격 하락이 발생하는 경우는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 디플레이션 정책을 실시할 때이다.
불환통화의 과다한 발행으로 물가 상승 및 환율시세의 하락이 격화되면 자연히 통화에 대한 국민의 신뢰가 떨어지고, 그로 인해 경제혼란과 사회불안이 가중되게 마련이다. 이같은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불환통화의 유통량을 축소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재정지출 삭감, 세금징수 확대, 국채매각, 중앙은행의 시중은행 대출금 회수, 시중은행의 지불준비율 인상 등 여러 가지 구체적인 수단을 동원해 통화를 회수하고 시중은행의 대출 압박을 강화하는 정책을 펴게 된다. 극단적인 경우에는 화폐의 기준 단위를 바꾸는 통화개혁조치가 실시되기도 한다.
이들 조치에 따른 통화·신용의 수축은 금융시장을 압박해 금리를 앙등시키고, 기업활동의 정체, 물가·임금 하락, 환율시세 상승 등의 결과를 유발한다. 뿐만 아니라 통화가 과다하게 수축되거나 그와 동시에 신용까지 엄격하게 규제될 경우에는 신용대체의 가능성이 소멸됨에 따라 지불수단의 절대적인 부족을 겪게 된다. 또한 그로 인해 채무 상환이 불가능해지면 상품의 대량 투매나 기업도산이 속출하게 된다. 케인스는 바로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인플레이션이 부(富)의 재분배를 가져오는 데 비해, 디플레이션은 단순히 부의 재분배에 그치지 않고 실업을 발생시킨다고 주장하면서 디플레이션을 배격했다. 이같은 디플레이션의 악영향을 배제하면서 동시에 인플레이션의 진행을 저지하는 정책을 특히 디스인플레이션(disinflation) 정책이라고 한다. → 인플레이션
'실시간 지구촌 개벽소식 > 뉴스*시사*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브프라임(subprime)의 뜻을 알아봅시다! (0) | 2008.03.13 |
---|---|
서브프라임 (0) | 2008.03.13 |
인플레이션(경제학)-Inflation (0) | 2008.03.13 |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 (0) | 2008.03.13 |
[조명]이땅의 모순은 이땅의 종교를 만들었다 (0) | 2008.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