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 시대를 살아가면서 꼭 알아야 할 유용하고 세상에서 가르쳐 주지 않는 차원 높은 정보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본 블로그에서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핵심을 잘 간파하셔서 끊임없이
한민족 역사문화/한민족 神敎文化

상제님께 제사지내는 일

by 바로요거 2007. 9. 10.

 

 

세조 6권 3년 1월 8일 (계유) 004 /

예조에서 상제에게 제사지내는 일에 대해 아뢰니 그대로 따르다


예조에서 아뢰기를,

상제(上帝)에게는 송아지[犢] 한 마리, 벽(壁)은 창벽(蒼壁)을 사용하고, 창백(蒼帛) 1개폐백을 봉한 후에는 ‘교사제백(郊祀制帛)’ 이란 4자가 없어졌다.】,변(籩) 12개【형염(形鹽)·어수(魚鱐)·구이(糗餌)·분자(粉餈)·진실(榛實)·건조(乾棗)·백병(白餠)·흑병(黑輧)·능인(菱仁)·검인(芡仁)·율황(栗黃)·녹포(鹿脯)를 담는다.】, 두(豆) 12개【돈박(豚拍)·녹해(鹿醢)·탐해(酖醓)·삼식(糝食)·구저(韭菹)·이식(酏食)·어해(魚醢)·토해(兎醢)·근저(芹菹)·순저(笋菹)·비석(脾析)·청저(靑菹)를 담는다.】, 보(簠)·궤(簋) 각기 1개【도(稻)·양(梁)·서(黍)·직(稷)을 담는다.】, 두(豆) 1개【모혈(毛血)을 담는다.】, 등(登) 1개【대갱(大羹)·자육즙(煮肉汁)을 담고, 염장(鹽醬)은 사용하지 않는다.】, 비(篚) 1개【옥백(玉帛)을 담는다.】, 조(俎) 2개【1개는 생육갑(牲肉匣)이고, 1개는 생수갑(牲首匣)이다.】, 조(俎) 2개【1개는 생고기의 장(腸)·위(胃)·폐(肺)의 소갑(小匣)이고, 1개는 익힌 고기의 장·위·폐의 소갑(小匣)이다.】 향로(香爐) 1개, 향합(香合) 1개, 촉(燭) 2개, 포작(匏爵) 3개【각기 점(坫)이 있다.】, 축판(祝版) 1개【점(坫)이 있다.】입니다.

황지기(皇地祇)에게는 송아지[犢] 한 마리, 옥(玉)은 황종(黃琮)을 사용하고 황색백(黃色帛) 1개인데, 이상의 자리는 짚자리[藁秸]로써 깔며, 태조(太祖)에게는 송아지[犢] 한 마리, 벽(璧)은 창벽(蒼璧)을 사용하고 창색백(蒼色帛) 1개인데, 진설(陳設)은 위와 같고, 자리는 왕골 자리[莞席]로써 깝니다. 상제(上帝)의 준소(尊所)는 대준(大尊) 2개【1개는 명수(明水)를 담고, 1개는 범제(泛齊)를 담는다.】, 착준(著樽) 2개【1개는 명수를 담고, 1개는 예제(醴齊)를 담는다.】, 희준(犧尊) 2개【1개는 명수를 담고, 1개는 앙제(盎齊)를 담는다.】, 산뢰(山罍) 2개【1개는 현주(玄酒)를 담고, 1개는 청주(淸酒)를 담는다.】, 점(坫) 1개【음복작(飮福爵)이다.】, 조(俎) 1개【조육조(胙肉俎)이다.】, 변(籩) 1개【반(飯)을 더는 변(籩)이다.】, 촉(燭) 1개, 작점(爵坫)과 옥백비(玉帛篚)를 먼저 이 단상(壇上)에 설치하고상제(上帝位) 동쪽에 있는데, 북향(北向)하고 서쪽을 위[上]가 되게 한다.】, 자리는 짚자리로써 깔며, 황지기(皇地祇)의 준소(尊所)는 위와 같이 단상(壇上)에 설치하고【황기찬(皇祇饌)의 서쪽에 있는데, 북향하고 서쪽을 위가 되게 한다.】, 자리는 짚자리로써 깔며, 태조(太祖)의 준소(尊所)는 위와 같이 단상(壇上)에 설치하고상제(上帝)의 준소(尊所) 동쪽에 있는데, 북향하고 서쪽을 위가 되게 한다.】 자리는 왕골 자리로써 깔며, 상준(象尊) 2개가 있습니다.【1개는 명수(明水)를 담고, 1개는 앙제(盎齊)를 담는다.】 이상은 모두 전조(前朝)의 진설도(陳設圖)를 모방했는데, 다만 상제(上帝)의 단하(壇下)에는 준소(尊所)만 그냥 설치하고 제수(祭羞)는 올리지 않으므로 지금은 제하였습니다.

대명(大明)은 송아지[犢] 한 마리, 홍색백(紅色帛) 1개, 변(籩) 10개형염(形鹽)·어수(魚鱐)·건조(乾棗)·능인(菱仁)·검인(芡仁)·율황(栗黃)·녹포(鹿脯)·백병(白餠)·흑병(黑餠)을 담는다.】, 두(豆) 10개【어해(魚醢)·토해(兎醢)·녹해(鹿醢)·탐해(醓醢)·근저(芹菹)·순저(笋菹)·청저(靑菹)·돈박(豚拍)·비석(脾析)을 담는다.】, 두(豆) 1개【모혈(毛血)을 담는다.】, 등(登) 1개【대갱 자육즙(大羹煮肉汁)을 담고, 염장(鹽醬)은 사용하지 않는다.】, 보(簠)·궤(簋) 각각 2개【도(稻)·양(梁)·서(黍)·직(稷)을 담는다.】, 비(篚) 1개【백(帛).】, 조(俎) 2개【1개는 생육갑(牲肉匣)이고, 1개는 생수갑(牲首匣)이다.】, 조(俎) 2개【1개는 생고기의 장(腸)·위(胃)·폐(肺)의 소갑(小匣)이고, 1개는 익힌 고기의 장·위·폐의 소갑이다.】, 향로(香爐) 1개, 향합(香合) 1개, 촉(燭) 2개, 포작(匏爵) 3개이고【각기 점(坫)이 있다.】 자리는 짚자리로써 깔며, 야명(夜明)은 송아지[犢] 한 마리, 백색백(白色帛) 1개인데, 진설(陳設)은 위와 같고, 자리는 짚자리로써 깔며, 성신(星辰)은, 《제사직장(諸司職掌)》에는 송아지[犢] 한 마리, 양(羊) 세 마리, 돼지[豕] 세 마리인데, 지금은 송아지 한 마리, 백색백(白色帛) 1개이고, 진설(陳設)은 위와 같은데, 형(鉶) 1개【화갱(和羹)을 담는다.】를 더하고, 자리는 왕골 자리로써 깔며, 아래는 같습니다. 이상은 《제사직장(諸司職掌)》 및 전조(前朝)와 본조(本朝)의 진설도(陳設道)를 모방하여 참고해서 정한 것입니다.

풍운뢰우(風雲雷雨)는, 《제사직장(諸司職掌)》에는 양(羊) 다섯 마리, 돼지[豕] 다섯 마리인데, 지금은 각기 한 마리이며, 백색백(白色帛) 4개는 1개의 비(篚)에 같이 담고 변(籩) 10개【형염(形鹽)·어수(魚鱐)·진실(榛實)·건조(乾棗)·능인(菱仁)·검인(芡仁)·율황(栗黃)·녹포(鹿脯)를 담는다.】, 두(豆) 10개【어해(魚醢)·토해(兎醢)·녹해(鹿醢)·탐해(醓醢)·근저(芹菹)·청저(靑菹)·구저(韭菹)를 담는다.】, 보(簠)·궤(簋) 각 2개【도(稻)·양(梁)·서(黍)·직(稷)을 담는다.】, 두(豆) 1개【모혈(毛血)을 담는다.】, 등(登) 1개【대갱(大羹)·자육즙(煮肉汁)을 담고, 염장(鹽醬)은 사용하지 않는다.】, 비(篚) 1개에는 백(帛)을 담고, 조(俎) 2개는【1개는 양갑(羊匣)이고, 1개는 시갑(豕匣)이다.】 형(鉶)을 더하고【화갱(和羹)을 담는다.】, 촉(燭) 2개, 조(俎) 2개【1개는 생고기의 장(腸)·위(胃)·폐(肺)의 소갑(小匣)이고, 1개는 익힌 고기의 장·위·폐의 소갑이다.】, 향로(香爐) 1개, 향합(香合) 1개, 포작(匏爵) 3개이며【각기 점(坫)이 있다.】, 자리는 왕골 자리로써 깝니다. 동남서북해(東南西北海)는, 《제사직장(諸司職掌)》에는 양(羊) 다섯 마리, 돼지[豕] 다섯 마리인데, 지금은 각기 한 마리이며, 청색백(靑色帛) 1개, 홍색백(紅色帛) 1개, 백색백(白色帛) 1개는 1개의 비(篚)에 함께 담고, 진설(陳設)은 위와 같습니다. 악독산천(岳瀆山川)은, 《제사직장(諸司職掌)》에는 양(羊) 다섯 마리, 돼지 다섯 마리인데, 지금은 각기 한 마리이며, 오색백(五色帛) 각 1개는 1개의 비(篚)에 함께 담으며, 진설(陳設)은 위와 같습니다. 이상은 《제사직장(諸司職掌)》과 본조(本朝)의 예(例)를 참고하여 정했습니다. 대명(大明) 이하의 준소(尊所)는 대준(大尊) 2개【1개는 명수(明水)를 담고, 1개는 범제(泛齊)를 담는다.】, 착준(著尊) 2개【1개는 명수(明水)를 담고, 1개는 예제(醴齊)를 담는다.】, 희준(犧尊) 2개【1개는 명수를 담고, 1개는 앙제(盎齊)를 담는다.】, 산뢰(山罍) 1개【청주(淸酒)를 담는다.】, 촉(燭) 1개인데, 동위(東位)는 각기 매위(每位) 신좌(神座)의 왼쪽에 설치하여 오른 쪽을 향하게 하고 서위(西位)는 각기 매위(每位) 신좌(神座)의 오른쪽에 설치하여 왼쪽을 향하게 하고, 자리는 진설(陳設)의 예(例)에 의거하소서.”

하니, 그대로 따랐다. 또 아뢰기를,

“당·송(唐宋)의 제도는 황제(皇帝)가 친망요예(親望燎瘞)했으며, 《제사직장(諸司職掌)》에는 황제의 친망요예(親望燎瘞)가 없는데, 본조(本朝)에서는 〈임금이〉 친제(親祭)할 때에 아헌관(亞獻官)이 망예(望瘞)를 하고, 대신 행하면[攝行] 초헌관(初獻官)이 망예를 하게 됩니다.”

하니, 전교(傳敎)하기를,

“본조(本朝)의 예에 의거하라.

하였다. 또 아뢰기를,

“환구(圜丘)에 제사할 때는 〈임금이〉 친히 삼작(三爵)을 드리나, 아헌관(亞獻官)과 종헌관(終獻官)이 없으니, 청컨대 소차(小次)를 임시로 제하소서.”

하니, 그대로 따랐다.

【원전】 7 집 165 면

【분류】 *왕실-종사(宗社) / *왕실-의식(儀式) / *풍속-예속(禮俗) / *식생활(食生活) / *역사-고사(故事)

○禮曹啓: “上帝犢一, (壁)〔璧〕用蒼, 蒼帛一、【除緘成郊祀制帛四字。】籩十二、【實以形鹽、魚鱐、糗餌、粉餐、榛實、乾棗、白餠、黑餠、菱仁、芡仁、栗黃、鹿脯。】豆十二、【實以豚拍、鹿醢、醓醢、糝食、韭菹、酏食、魚醢、兔醢、芹菹、笋菹、脾析、菁菹。】簠ㆍ簋各一、【實以稻、梁、黍稷。】豆一、【實以毛血。】登一、【實以大羹、煮肉汁, 不用鹽醬。】篚一、實以玉帛。】俎二、【一牲肉匣、一牲首匣。】俎二【一腥腸(冑)〔胃〕肺小匣, 一熟腸胃肺小匣。】香爐一、香合一、燭二、(炮)〔匏〕爵三、【各在坫。】祝版一。【有坫。】皇地祇犢一, 玉用黃琮, 黃色帛一, 已上席以藁秸。 太祖犢一, 璧用蒼, 蒼色帛一, 陳設上同, 藉以莞席。 上帝尊所, 大尊二、【一實明水, 一實泛齊。】著樽二、【一實明水, 一實醴齊。】犧尊二、【一實明水, 一實盎齊。】山罍二、【一實玄酒, 一實淸酒。】坫一、【飮福爵。】俎一、【胙肉俎。】籩一、【除飯籩。】燭一, 爵坫玉帛篚, 先設於此壇上, 【在上帝位東北向西上。】席以藁秸。 皇地祇尊所, 上同壇上,【在皇祇饌西北向西上。】席以藁秸。 太祖尊所, 上同壇上,【在上帝尊所東, 北向西上。】藉以莞席, 有象尊二。【一實明水, 一實盎齊。】已上皆倣前朝陳設圖, 但上帝壇下, 尊所徒設不薦, 今除。 大明犢一、紅色帛一、籩十、【實以形鹽、魚繡、榛實、乾棗、菱仁、芡仁、栗黃、鹿脯、白餠、黑餠。】豆十、【實以魚醢、兔醢、鹿醢、醓醢、芹菹、笋菹、菁菹、豚拍、脾析。】豆一、【實以毛血。】登一、【實以大羹煮肉汁, 不用鹽醬。】簠ㆍ簋各二、【實以稻梁黍稷。】篚一、【帛。】俎二、【一牲肉匣、一牲首匣。】俎二、【〔一〕腥腸(冑)〔胃〕肺小匣, 一熟腸胃肺小匣。】香爐一、香合一、燭二、匏爵三、【各有坫。】席以藁秸。 夜明犢一、白色帛一、陳設上同, 席以藁秸。 星辰, 諸司職掌犢一、羊三、豕三, 今犢一、白色帛一, 陳設上同, 加鉶一,【實以和羹。】席以莞, 下同。 已上倣諸司職掌及前朝本朝陳設圖參定。 風雲雷雨, 諸司職掌羊五、豕五, 今各一, 白色帛四, 共盛一篚, 籩十、【實以形鹽、魚繡、榛實、乾棗、菱仁、芡仁、栗黃、鹿酺。】豆十、【實以魚醢、兎醢、鹿醢、醓醢、芹菹、笋菹、菁菹、韭菹。】簠ㆍ簋各二、【實以稻梁黍稷。】豆一、【實以毛血。】登一、【實以大羹煮肉汁, 不用鹽醬。】篚一帛, 俎二【一羊匣、一豕匣。】加鉶,【實以和羹。】燭二、俎二、【一腥腸胃肺小匣、一熟腸胃肺小匣。】香爐一、香合一、匏爵三、【各有坫。】藉以莞席。 東南西北海, 諸司職掌羊五、豕五, 今各一、靑色帛一、紅色帛一, 白色帛一, 共盛一篚, 陳設上同。 岳瀆山川, 諸司職掌羊五、豕五, 今各一, 五色帛各一, 共盛一篚, 陳設上同。 已上諸司職掌及本朝例參定。 大明以下尊所, 大尊二、【一實明水, 一實泛齊。】著尊二、【一實明水, 一實醴齊。】犧尊二、【一實明水, 一實盎齊。】山罍一、【實淸酒。】燭一, 東位各設於每位神座之左右向, 西位各設於每位神座之右左向, 席依陳設例。” 從之。 又啓: “制, 皇帝親望燎瘞, 諸司職掌, 皇帝無親望燎瘞, 本朝親祭時, 亞獻官望瘞, 攝行則初獻官望瘞。” 傳曰: “可依本朝例。” 又啓: “祀圜丘時, 親奠三爵, 無亞、終獻官, 請權除小次。” 從之。

【원전】 7 집 165 면

【분류】 *왕실-종사(宗社) / *왕실-의식(儀式) / *풍속-예속(禮俗) / *식생활(食生活) / *역사-고사(故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