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산 상제님께서 이런 말씀을 하셨다. “사람의 죽음길이 먼 곳이 아니라 문턱 밖이 곧 저승이니라”(道典10:16:1). 즉 우리 인간이 살고 있는 이 세상은 영혼의 세계와 동전의 앞뒤처럼 맞닿아 있다는 것이다.
죽고 살기는 쉬우니 몸에 있는 정기(精氣)를 흩으면 죽고 모으면 사느니라. (道典 10:45:9)
죽는 것도 때가 있나니 그 도수를 넘겨도 못쓰는 것이요, 너무 일러도 못쓰는 것이니라. 나의 명으로 명부에서 데려오라고 해야 명부사자가 데려오는 것이니, 각기 닦은 공덕에 따라 방망이로 뒷덜미를 쳐서 끌고 오는 사람도 있고, 가마에 태워서 모셔 오는 사람도 있느니라. (9:213:1∼3)
하지만 아직까지도 많은 사람들이 소위 비과학적이라는 말에 사로잡혀, 우리 삶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 신명(조상신 등)의 존재를 부정하고 있다.
제삿날이 되면 조상님들 여럿이 자손의 집을 찾아 오시는데 그걸 사실 그대로 알고 제사를 모시는 사람과, 다만 제사를 관습으로만 생각하고 제사를 지내는 사람은 세계관 자체가 전혀 다르다.
신명계에서의 새로운 삶을 깨닫고 현생의 삶을 디자인하는 사람과 죽음과 동시에 모든 것이 끝난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인생은 확연히 다를 수밖에 없다. 영혼의 세계에 눈뜬 사람은 진리를 찾는 구도자적 삶을 추구하는 경향이 강하고, 그렇지 못한 사람은 세속적 욕망과 순간적 쾌락에 빠져들기 쉽다.
증산 상제님과 태모 고수부님의 말씀을 수록한 『도전』을 보면, 삶과 죽음, 죽음 후에 맞이하는 제2의 삶, 제사, 천상과 지상을 오가며 자기 성숙을 위해 노력하는 윤회의 실상 등에 대해 큰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
하늘에 가면 그 사람의 조상 가운데에서도 웃어른이 있어서 철부지 아이들에게 천자문을 가르치듯 새로 가르치나니, 사람은 죽어 신명(神明)이 되어서도 공부를 계속하느니라. (9:213:4∼5)
특히 이 한마디 말씀을 통해, ‘공부’ 즉 구도 과정은 이생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죽음 후에 계속되는 천상 삶으로까지 이어지며, 또한 지상의 인간이든 천상의 신명이든 삶의 참 목적은 모두 ‘득체 득화 득명(得體 得化 得明)’의 진리체험에 있다는 것을 확연히 깨칠 수 있다.
ⓒ증산도 본부, 월간개벽 2006.10월호
'인생담론*행복론 > 조상*영혼*귀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화] 신명계에 새로 태어나신 할머니의 천상생활 (0) | 2006.11.15 |
---|---|
제사문화의 참 뜻과 미래상 (0) | 2006.11.15 |
제사문화 앞으로 어떻게 바뀔까? (0) | 2006.11.15 |
제사문화의 참뜻과 미래상-조상님은 상제님과 나를 이어주는 구원의 통로 (0) | 2006.11.15 |
제사를 꼭 모셔야 합니다!-우주의 본질은 神입니다! (0) | 2006.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