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 시대를 살아가면서 꼭 알아야 할 유용하고 세상에서 가르쳐 주지 않는 차원 높은 정보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본 블로그에서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핵심을 잘 간파하셔서 끊임없이

증산도JeungSanDo1219

언론속의 증산도[5]-증산도 안운산 종도사 신년사 등 증산도 안운산 종도사 신년사 2005년 12월 21일 (수) 10:44 연합뉴스 종교계 세밑 화합·나눔행사 풍성 2005년 12월 21일 (수) 20:02 서울신문 [종교계 신년사]종교·인종 화합…이웃과 더불어 살자 2005년 12월 21일 (수) 23:16 세계일보 <종교 지도자들의 신년 메시지>2005년 12월 26일 (월) 10:10 연합뉴스 <종교 .. 2007. 11. 16.
언론속의 증산도[4]-증산도 '나눔' 실천 활발 등 [종교계 짧은소식] 대한민국종교미술제 외 2005년 9월 21일 (수) 14:22 한겨레 [문화단신] 가톨릭 대상 후보 추천 접수 外 2005년 9월 22일 (목) 18:44 한국일보 "[사랑과 자비]결실의 가을, 相生의 열매를" 2005년 9월 23일 (금) 03:20 동아일보 증산도 `상생 실천` 2005년 9월 27일 (화) 15:02 문화일보 증산도, 백령도서 '.. 2007. 11. 16.
언론속의 증산도[3]-민족종교 증산도에 외국인 관심 잇달아 등 [백승종의 정감록 산책] (1) 왜 지금도 정감록인가 2005년 01월 06일 (목요일) 10 : 30 서울신문 <김삼웅씨가 말하는 한국종교의 숨겨진 역사> 2005년 02월 01일 (화요일) 10 : 49 연합뉴스 [책꽂이] 2005년 02월 06일 (일요일) 15 : 01 서울신문 증산도 안운산 종도사 강연집 '상생의…' 출간 2005년 02월 17일 (목요일).. 2007. 11. 16.
언론속의 증산도[2]-증산도 도전 세계 속으로 등 <단신>고구려 문화유산 강연회 등 2004년 05월 13일 (목요일) 11 : 51 문화일보 증산도사상연구소, 25일 국제학술세미나 2004년 05월 18일 (화요일) 15 : 39 연합뉴스 최민용, 안방 복귀 2004년 07월 21일 (수요일) 12 : 32 일간스포츠 증산도 道典 6개국어 번역 프랑크푸르트 도서전 출품 2004년 08월 26일 (목요일) 14.. 2007. 11. 16.
언론속의 증산도[1]-증산도 단순 민간신앙 아니다 등 [Digest] 증산도 동지 대치성 봉행 2001년 12월 19일 한국경제 [종교계지도자 신년메시지] 이광정 원불교 종법사/안운산 증산도 종도사 2001년 12월 26일 한국경제 [종교 단신]2002년 04월 12일 동아일보 민중사학자 이이화씨 “선친이 일군 학문 대중운동으로 승화” 2002년 08월 04일 (일요일) 17 : 25 동아일보 [책].. 2007. 11. 16.
인류구원 소식의 총결론, 이신사(理神事) 인류구원 소식의 총결론, 이신사(理神事) 이 말씀은 종정님께서 도기 135년(2005) 10월 23일 상생문화한마당에서 증산도 도생들에게 내려주신 도훈 말씀입니다. ---------------------------------------------------------------------------------"상제님은 지금까지 풀리지 않았던 진리의 구성 틀 (신와 이법과 인사의 상호관계.. 2007. 11. 15.
증산도 공식홈페이지 바로가기 증산도 공식홈페이지 바로가기 증산도 공식홈페이지 증산도 공식홈페이지 http://www.jsd.or.kr 2007. 11. 12.
“증산도 단순 민간신앙 아니다” “증산도 단순 민간신앙 아니다” [경향신문 2003-10-16 18:36]   민족종교인 증산도 최고지도자 안운산 종도사(82)가 이례적으로 외부에 모습을 드러냈다. 증산도를 창시한 증산 강일순 상제 탄생 133주년(14일) 행사 및 증산도 도전(道典) 7개 국어 번역출간을 기념해 대전 증산도교육문화회관에서 기자들.. 2007. 11. 9.
대순전경의 저자 이상호. 이정립 형제의 생애 대순전경의 저자 이상호. 이정립 형제의 생애 이상호(李祥昊) ■ 성도의 생애1 1. 본명 동련(東鍊), 아명(兒名) 명탁(明鐸), 자(字) 상호(祥昊), 아호(雅號) 청음(靑陰) 2. 본관 연안(延安) 3. 부(父) 이희면(李喜冕)과 모(母) 임옥자(任玉子)의 셋째 아들 4. 교단운영 5. 무자(戊子 : 道紀 18, 1888)년 2월 27일, 전라.. 2007. 11. 6.
대순전경의 문제점 대순전경의 문제점 『대순전경』이 지난날 증산 상제님 진리를 밝히는 데 많은 공덕을 준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상제님의 본연의 대도를 창명(彰明)하기에는 상제님의 호칭문제를 비롯하여 너무도 많은 문제점들을 안고 있다. 첫째 『대순전경』은 기록자가 정확한 답사를 통한 검증으로 기술한 것.. 2007. 11.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