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유가와 환율 하락했는데, 기름값이 미친듯이 오르는 이유는 뭘까?
국제유가·환율 떨어졌는데…연일 `미친` 기름값 왜?
매일경제 | 입력 2011.08.03 17:41
3일 서울 휘발유 가격이 재차 상승하면서 전날 기록한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석유공사에 따르면 서울 지역 주유소들이 판매하는 보통휘발유 가격은 이날 오후 4시 기준 ℓ당 2028.84원이다. 전날보다 0.25원 올라 새로운 기록을 세웠다. 서울 25개 자치구 중 17개 지역 주유소 평균가격이 ℓ당 2000원을 넘었다.주유소 업계는 "정유사들이 기름값 100원 할인조치 종료 이후 공급가격을 계속 높이고 있어 주유소 판매가격도 올라갈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정유사들은 최근 급격히 공급가격을 인상하고 있다.
같은 기간(4월 1주~7월 3주) 국제 유가는 두바이유 기준 배럴당 114.67달러에서 111.58달러로 떨어졌다. 원화값도 달러당 1088.94원에서 1057.76원으로 상승했다. 정유사들은 국제 원유 도입원가가 하락했는데도 오히려 국내 휘발유 공급가격을 인상한 것이다.
정유사별로 살펴보면 같은 기간 SK에너지가 공급가격을 ℓ당 16.02원 낮춘 반면 GS칼텍스(19.47원), 현대오일뱅크(60.2원), 에쓰오일(42.23원)이 일제히 공급가격을 올렸다.
이 때문에 정유사들이 기름값 인하에 따른 지난 2분기 손실을 최근 공급가격 인상분으로 만회한다는 지적까지 나온다.
이에 대해 정유업계 관계자는 "원유를 도입해 휘발유뿐만 아니라 경유, 등유 등 다양한 석유제품을 만들어낸다"며 "단순히 국제 유가와 환율을 보통휘발유 가격과 비교하면 무리가 있다"고 해명했다.
기름값이 연일 천정부지로 치솟자 서민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정부의 고강도 기름값 인하 대책에도 불구하고 '정책 실기' 또는 '정책 부재'에 대한 소비자들의 원성마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대안주유소 설립과 대형마트 주유소 확대 등 공급 측면의 압박 정책에 치중하는 동안 실물 수요 시장에서는 기름값 상승을 억제하는 데 사실상 실패했다는 지적이다.
기름값 대책 주무부서인 지식경제부는 석유산업과를 중심으로 연일 대책회의를 하고 있지만 더 이상 뾰족한 방법을 찾지 못해 전전긍긍하고 있다.
지경부 일각에서는 "대안주유소 등 지경부 단독의 장기 정책만 갖고는 기름값을 잡는 데 한계가 있다"는 지적 속에 기획재정부와 국토해양부 등 관련 부처가 모두 참여한 가운데 유류세 인하 등 즉각적인 종합대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주장이 갈수록 더 설득력을 얻고 있다.
실제로 박재완 재정부 장관이 'ℓ당 2000원'을 마지노선으로 설정한 이후 유류세 인하 정책이 추진될 수 있다는 분위기도 정부 부처에서 확산되고 있다.
다만 유류세(현재 휘발유 ℓ당 820.45원)의 경우 연간 세수가 20조원에 육박하기 때문에 섣불리 인하할 경우 정부의 재정 운영 전반에 작지 않은 타격을 가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2008년 3월 국제 유가 급등 때 유류세를 10% 인하했지만 기름값 고공 행진을 차단하는 데 실패했다는 학습 효과도 정부의 고민을 깊게 만들고 있다.
기름값이 올라도 석유제품 소비는 별로 줄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올해 상반기 국내 석유제품 소비량은 3억8342만9000배럴을 기록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2% 줄어드는 데 그쳤다.
휘발유(-0.4%) 경유(-3.3%) 등유(-4.4%) 등 주요 품목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국내 소비가 소폭 감소하는 데 그쳤다.
[채수환 기자 / 강계만 기자 / 사진 = 김호영 기자]
▶ [화보] 제시카 고메즈, 너마저…과거 `절벽가슴` 충격
▶ 한남동 유엔빌리지, 이젠 연예인들의 대표 주거지
▶ 구하라, 카라 팬 비하 논란 `팬들 보고 덕후라고?`
▶ 유진, 서지영-서인영과 앳된 과거 포착 '표정 굴욕'
▶ [아츠포토] 권리세 `핸드 프린팅도 깜찍하게...~`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셀프주유소 인기…기름값이 연일 사상 최고치 행진을 거듭하면서 한푼이라도 비용을 아끼려는 운전자들이 이마트 구성점에 있는 셀프주유소에서 기름을 넣고 있다.
정유사의 보통휘발유 공급가격은 7월 1주차 ℓ당 1761.75원에서 7월 3주차에는 1833.23원으로 2주 사이에 70원가량 급등했다. 이는 기름값 할인조치 이전인 지난 4월 1주차(1817.26원)에 비해서도 높다.
같은 기간(4월 1주~7월 3주) 국제 유가는 두바이유 기준 배럴당 114.67달러에서 111.58달러로 떨어졌다. 원화값도 달러당 1088.94원에서 1057.76원으로 상승했다. 정유사들은 국제 원유 도입원가가 하락했는데도 오히려 국내 휘발유 공급가격을 인상한 것이다.
정유사별로 살펴보면 같은 기간 SK에너지가 공급가격을 ℓ당 16.02원 낮춘 반면 GS칼텍스(19.47원), 현대오일뱅크(60.2원), 에쓰오일(42.23원)이 일제히 공급가격을 올렸다.
이 때문에 정유사들이 기름값 인하에 따른 지난 2분기 손실을 최근 공급가격 인상분으로 만회한다는 지적까지 나온다.
이에 대해 정유업계 관계자는 "원유를 도입해 휘발유뿐만 아니라 경유, 등유 등 다양한 석유제품을 만들어낸다"며 "단순히 국제 유가와 환율을 보통휘발유 가격과 비교하면 무리가 있다"고 해명했다.
기름값이 연일 천정부지로 치솟자 서민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정부의 고강도 기름값 인하 대책에도 불구하고 '정책 실기' 또는 '정책 부재'에 대한 소비자들의 원성마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대안주유소 설립과 대형마트 주유소 확대 등 공급 측면의 압박 정책에 치중하는 동안 실물 수요 시장에서는 기름값 상승을 억제하는 데 사실상 실패했다는 지적이다.
기름값 대책 주무부서인 지식경제부는 석유산업과를 중심으로 연일 대책회의를 하고 있지만 더 이상 뾰족한 방법을 찾지 못해 전전긍긍하고 있다.
지경부 일각에서는 "대안주유소 등 지경부 단독의 장기 정책만 갖고는 기름값을 잡는 데 한계가 있다"는 지적 속에 기획재정부와 국토해양부 등 관련 부처가 모두 참여한 가운데 유류세 인하 등 즉각적인 종합대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주장이 갈수록 더 설득력을 얻고 있다.
실제로 박재완 재정부 장관이 'ℓ당 2000원'을 마지노선으로 설정한 이후 유류세 인하 정책이 추진될 수 있다는 분위기도 정부 부처에서 확산되고 있다.
다만 유류세(현재 휘발유 ℓ당 820.45원)의 경우 연간 세수가 20조원에 육박하기 때문에 섣불리 인하할 경우 정부의 재정 운영 전반에 작지 않은 타격을 가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2008년 3월 국제 유가 급등 때 유류세를 10% 인하했지만 기름값 고공 행진을 차단하는 데 실패했다는 학습 효과도 정부의 고민을 깊게 만들고 있다.
기름값이 올라도 석유제품 소비는 별로 줄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올해 상반기 국내 석유제품 소비량은 3억8342만9000배럴을 기록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2% 줄어드는 데 그쳤다.
휘발유(-0.4%) 경유(-3.3%) 등유(-4.4%) 등 주요 품목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국내 소비가 소폭 감소하는 데 그쳤다.
[채수환 기자 / 강계만 기자 / 사진 = 김호영 기자]
▶ [화보] 제시카 고메즈, 너마저…과거 `절벽가슴` 충격
▶ 한남동 유엔빌리지, 이젠 연예인들의 대표 주거지
▶ 구하라, 카라 팬 비하 논란 `팬들 보고 덕후라고?`
▶ 유진, 서지영-서인영과 앳된 과거 포착 '표정 굴욕'
▶ [아츠포토] 권리세 `핸드 프린팅도 깜찍하게...~`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 권의 책으로 소중한 당신과 당신가족의 행복한 미래를 준비해 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세상을 살면서 궁금한 모든 것들, 의문점들! 무엇을 알고 싶으신가요?
(2)고급수준 체계적인 내용 공부하는 책 무료 대여 신청하기☞
지구촌 대세의 흐름을 읽을 수 있는 안목, 통찰력을 키우고, 세상돌아가는 비밀! 그리고 또한 인생의 비밀!
'실시간 지구촌 개벽소식 > 뉴스*시사*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금융시장 요동치는 이유는? (0) | 2011.08.04 |
---|---|
미국발,유럽발 쇼크 불안한 금융시장 (0) | 2011.08.04 |
미국의 더블딥,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0) | 2011.08.04 |
한국은행이 뽑은 세계경제 주요 리스크(위험요인) (0) | 2011.07.28 |
지하철 여성전용칸 9월추진, 여성단체가 왜 반대하는가? (0) | 2011.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