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 시대를 살아가면서 꼭 알아야 할 유용하고 세상에서 가르쳐 주지 않는 차원 높은 정보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본 블로그에서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핵심을 잘 간파하셔서 끊임없이
실시간 지구촌 개벽소식/5선위기의 한반도

"어뢰 1번"에 대하여

by 바로요거 2010. 5. 27.

"어뢰 1번"에 대하여

천안함 침몰 직후에 어뢰 공격을 받았다는 보고를 받은 기사가 나온지 얼마되지 않아

또 이런 의혹을 제기하다니...뭐가 뭔지 구분하기 힘들게 만드는 세상이로고...!

추천 무료 소책자, CD신청 바로가기

 

사진 전문가들 북한어뢰 '1번' 의혹 제기

노컷뉴스 | 조은정 | 입력 2010.05.24 06:03

[CBS사회부 구용회, 조은정, 박종관 기자]

천안함 침몰 원인이 북한군 어뢰 공격이라는 핵심 근거로 제시된 '1번' 글자를 두고 누리꾼들 사이에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일부 사진 전문가들은 1번이 찍힌 원본 사진을 여러 각도로 분석한 결과 글자 주변이 어뢰의 표면보다 밝게 나와 다른 재질인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글자 주변의 색이 유독 밝은 것을 두고, 녹이 슨 표면을 무언가로 닦은 뒤 그 위에 글자를 쓴 것이 아니냐는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했다.

 

 


한국사진학회 운영위원으로 활동 중인 A씨는 "육안으로는 구별이 쉽게 안되도 픽셀을 조정해 보면 글자 주변이 다른 표면과는 달리 훨씬 밝은 것을 알 수 있다"면서 "애초에 표면 재질이 다를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특히 A씨는 "사진만으로는 예단하기 어렵지만 글자 주변과 나머지 어뢰의 표면이 사진 상으로 다른 것은 맞다"며 "뭔가 표면에 처리가 됐을 개연성도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A씨는 "적외선 촬영이나 측면 근접 촬영 등을 통해 진위 여부를 가릴 필요성이 있어 보인다"고 지적했다.

중견 사진작가로 활동중인 B씨는 "(글씨 주변에) 닦인 흔적이 보인다"면서 "사진만으로 폭탄을 터뜨리기 전에 썼는지, 인양한 뒤에 썼는지는 잘 구별이 가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누리꾼들 사이에서도 여전히 '1번' 글자를 둘러싼 논란이 뜨겁다.
한 네티즌은 "언제 쓴지 모르겠지만 글자가 방금 쓴 것처럼 또렷이 남아 있고, 글 쓴 자리에는 녹도 안슬은 것이 이상하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네트즌은 "결정적인 단서라고 기대했는데 매직으로 쓰여진 글씨라 실망했고, 의심스럽기도 하다"면서 "솔직히 조사한 것에 믿음이 가지 않는다"고 의견을 냈다.

반면 한 네티즌은 "1번을 빼고 봐도 다른 증거들도 북한을 지목하고 있다"면서 "사소한 것에 집착하는 억지는 없어야 한다"며 관련 의혹을 불식하기도 했다.

이처럼 사건의 열쇠를 쥔 단서를 두고 각종 추측과 의혹이 일고 있는 상황에서 정밀한 표면 조사를 통해 언제, 어떤 방식으로 글자가 쓰여 졌는지를 명확하게 해야 한다는 의견이 일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사진 전문가는 "유리관 너머로 촬영한 사진으로는 한계가 있다"면서 "고증품 감정사나 사진 분석가 등 관련 전문가들을 동원해 과학적인 재조사가 이뤄져서 사진상 의혹을 명확하게 해소했으면 한다"고 의견을 냈다.
aori@cbs.co.kr

(대한민국 중심언론 CBS 뉴스FM98.1 / 음악FM93.9 / TV CH 412)
<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www.nocutnews.co.kr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추천 무료 소책자, CD신청 바로가기

 

신상철 “북 어뢰 쓰여진 ‘1번’, 우리측이 쓴 것 같다”

경향신문 | 경향닷컴 | 입력 2010.05.27 10:35 | 수정 2010.05.27 14:38

천안함 침몰 원인을 조사한 민·군 합동조사단에 조사위원으로 참여한 신상철씨(52)가 북 어뢰에 파란 매직으로 쓰여진 '1번' 글씨체에 대해 "우리가 쓴 것 같다"고 주장했다.

민·군 합동조사단이 20일 국방부에서 '천안함 침몰 사건 조사결과'를 발표하면서 공개한 어뢰 뒷부분 동체의 모습. 프로펠러와 구동축 사이에 '1번'이라는 글씨가 쓰여 있다.

 

 

신씨는 26일 오후 7시 서울 중구 향린교회 3층 예배실에서 열린 '천안함 조사 결과 발표 믿을 수 있나' 라는 강연에서 이같은 주장을 펼쳤다. 신씨는 "확대해서 봤는데 1번이라고 쓰여진 부분이 균일하지 못하다"면서 "북한이 썼을 때는 매끄러운 표면에 썼을 것은데 바다에서 녹슬면 녹이 파란색 매직 글씨 위로 올라와야 한다. 그런데 녹슨 것 위에다 쓰니까 균일하지 않고 오돌토돌한게 아닌가"라고 덧붙였다.

 

 

< 경향닷컴 >
- 대한민국 희망언론! 경향신문, 아이폰 애플리케이션 출시 -
ⓒ 경향신문 & 경향닷컴(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향닷컴은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