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 시대를 살아가면서 꼭 알아야 할 유용하고 세상에서 가르쳐 주지 않는 차원 높은 정보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본 블로그에서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핵심을 잘 간파하셔서 끊임없이
실시간 지구촌 개벽소식/지각변동*자연재해

한반도 지진발생 97년 이후 3배 증가

by 바로요거 2010. 3. 3.

한반도 지진발생 97년 이후 3배 증가

‘예보없는 지진’ 한반도 호시탐탐…대비·연구 ‘낙제’

한겨레 | 입력 2010.03.03 14:40

[한겨레] 97년 이후 지진발생 3배로 껑충…러시아 국경쪽 '아무르판' 주장도

서울 내진건물 10%도 안돼…장비 부족 '활성단층' 파악조차 못해

공포는 무지에서 비롯된다고 한다. 아무런 정보도 없는 상황에서 생명을 위협받는 순간, 공포심이 극에 다다른다는 것이다. 지진은 그래서 인간에게 가장 두려운 자연재해 중의 하나다. 지진은 현대과학으로도 예보할 수 없기 때문이다. 지난 1월 30만명의 목숨을 앗아간 아이티 지진에 이어 지난달 27일 발생한 칠레 지진에 세계가 경악하는 것도 이런 까닭이다.

 

 

■ 왜 예보가 불가능한가 지진은 현대과학으로 단기 예보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예보란 어떤 전조 현상을 읽고 그다음에 일어날 일을 예측하는 것인데 기상과 달리 지진은 전조 현상이 없다. 지구자기장의 변화와 동물의 이상행동을 드는 사람들도 있지만 이런 현상이 지진의 전조라는 과학적 증거는 없다. 현대 과학에서 수십~수백㎞ 지하에서 일어나는 단층의 움직임을 알아내는 방법은 지진이 발생한 뒤 지진파 분석을 통해서다. 이덕기 기상청 지진정책과장은 "지진의 파장을 보고 단층이 어떻게 갈라졌는지를 알 수 있을 뿐"이라고 말했다.

그나마 지진파 2종류 가운데 빨리 전파되는 피(P)파와 느리지만 파괴력이 큰 에스(S)파의 속도 차이를 이용해 지진 발생 상황을 몇분 정도 미리 파악하는 게 최선으로 꼽힌다. 우리나라 기상청은 지진 관측 후 120초 이내에 지진 속보를 발표하고 있는 현재 시스템을 2015년까지 50초 이내로 단축할 방침이다.

■ 한반도는 안전한가 유라시아판 중간에 있는 한반도는 유라시아판과 태평양판이 만나는 경계에 있는 일본 열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전하다. 하지만 판 내부 지역이더라도 지진을 촉진하는 에너지가 활성단층에 축적되면 언젠가는 지진이 발생한다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다. 1976년 24만명의 인명 피해를 낸 중국 허베이성 탕산지진이 이런 사례다.

한반도에서도 규모는 작지만 지진 관측빈도가 잦아지고 있다. 1978년에서 1996년까지는 연평균 18회 정도였는데, 1997년 이후에는 연평균 42회로 늘어났다. 지난해는 관측 사상 최고인 60회가 일어나기도 했다. 지난달 경기 시흥 지진은 건물의 흔들림을 느낄 수 있는 정도였다. 최근 북한 두만강과 러시아 국경 일대에서 규모 6.0 이상의 강진이 잇따라 일어나자 만주와 러시아 국경 일대의 아무르판이 실제로 존재하는 것 아니냐는 주장까지 나온다. 조봉곤 전북대 교수(지구환경과학)는 "지진 안전지대냐 아니냐는 논란보다는 지진에 대한 대응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 지진대비 잘돼 있나? 우리나라의 지진 대비와 연구는 초보적 수준이다. 내진설계는 1997년이 돼서야 항만 교량 도시철도 등 공공시설에 도입됐다. 민간 시설에는 2005년부터 15층 이상 아파트에 규모 6.5의 지진에 견딜 수 있는 설계가 적용됐다. 최근 서울시 조사 결과, 서울의 일반 건물 62만8325채 가운데 내진설계가 반영된 것은 6만1919채(9.85%)에 불과했다. 소방방재청 시뮬레이션 결과, 아이티를 강타한 것과 같은 7.0 규모의 지진이 서울에서 일어나면 전국적으로 67만여명의 사상자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활성단층에 대한 연구도 거의 돼 있지 않다. 활성단층은 암석들이 케이크를 잘라놓은 것처럼 어긋나 있는 지층대로 지진발생 가능성이 큰 곳이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활성단층이 어디에 있는지조차 파악돼 있지 않다. 김소구 한국지진연구소장은 "우리나라 지질연구는 광산개발 차원의 연구가 대부분으로, 지진과 연관된 구조적 지질 연구는 취약하다"고 말했다. 권은중 기자 details@hani.co.kr

지진의 종류는?

지진은 여러 형태로 발생한다. 대규모 인명 피해를 가져오는 지진은 지각의 변화로 발생하는 단층지진이다. 단층이 엇갈리는 방법에 따라 정단층, 역단층, 주향이동단층 지진 등으로 나뉜다. 이 가운데 황소가 머리를 맞대듯 힘겨루기를 하면서 한 판이 다른 판 위로 솟구치면서 발생하는 역단층 지진의 피해가 가장 크다.

기상청은 이번 칠레 지진의 경우 태평양판의 일부인 나스카판이 남아메리카판과 충돌하면서 남아메리카판이 솟아올라 발생한 것으로 추측했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나스카판이 남아메리카판 아래로 파고들어가는 메가스러스트라고 분석하기도 했다. 이번 지진 규모가 8.8로 역대 7번째의 초대형 지진이었던 것도 이런 이유다. 칠레에는 이런 판과 판이 충돌하면서 1965년에는 지진 관측 사상 최대 규모인 9.5의 지진이 발생하기도 했다.

이런 역단층 지진은 지진해일(쓰나미)을 불러일으켜 엄청난 인명 피해를 불러오는 것이 특징이다. 거대한 지진해일을 일으켜 2004년 23만명의 사망자를 발생시킨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강진도 역단층 지진이었다.

판 솟구치는 '역단층' 지진 파괴력 커

반면 지난 1월 발생한 아이티 지진은 북아메리카판과 카리브판이 만나는 엔리키요-플랜틴 가든 단층선이 동서로 엇갈리면서 발생했다. 두 판이 충돌하면서 단층선을 따라 판이 동서로 엇갈린 것이다. 이런 주향이동단층 지진은 지표면 바로 아래인 13㎞에서 일어난 얕은(천발) 지진이다. 그러나 아이티 지진은 칠레 지진보다 규모가 500~800분의 1 정도로 적었지만 내진 설비가 없는 도시를 강타해 30만명(추정)의 사망자를 냈다.

2008년 5월 중국 쓰촨성에서 일어난 지진은 지표면이 상하로 흔들리는 '직하지진'으로 불린다. 직하지진은 학술용어는 아니지만 지표 얕은 곳에서 발생하는 지진이라는 뜻이다. 단층이 어떤 복잡한 운동을 했는지는 모르지만 지표면 바로 아래서 벌어진 단층운동으로 지표까지 충격이 그대로 전해져 엄청난 피해가 발생하는 게 특징이다. 1995년 일본 고베 지진도 대표적인 직하지진이다. 지진 대응체계가 잘 구축돼 있는 일본이지만 당시 5500명이 숨지고 재산 손실이 2179억달러에 이르는 천문학적인 피해를 보았다. 권은중 기자

세상을 보는 정직한 눈 < 한겨레 > [ 한겨레신문 구독 | 한겨레21 구독 ]

ⓒ 한겨레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겨레는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