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의 지진학적 구조, 우리나라 지진안전지대 아니다
[시론]지진 안전지대는 없다
세계일보 | 입력 2005.10.18 19:20
누구나 '정말 한반도는 지진에 안전한가'라는 의문을 가질 것이다. 이에 대해서 칼로 두부 자르듯이 명확하게 결론을 낼 수 없지만, 어느 정도 객관적인 추론은 가능할 것이다.
먼저 지구가 현재 어떤 상태이며, 무엇 때문에 지진이 발생하는지에 대해 알아보자. 우리가 현재 서 있는 매우 딱딱하다고 믿는 땅의 두께는 8km에서 두꺼운 곳은 40km 정도이며, 그 아래는 믿기 어렵지만 유동성을 가진 물질로 되어 있다. 지구의 반지름이 약 6400km이니 사람이 살고 있는 지각은 아주 얇은 계란 껍질에 비유할 수 있다. 계란은 내부의 액체가 움직이지 않지만, 지구 내부는 몇 천도의 뜨거운 유동체이므로 열 순환을 위해 끊임없이 움직여야 한다.
따라서 이 위에 떠 있는 지각도 마침 뜨거운 국물 위에 떠 있는 얇은 감자 조각과 같이 따라 움직일 수밖에 없다. 이때 지각 하부의 유동체 흐름이 위치마다 다르므로 떠 있는 지각 사이에 충돌이 발생하고, 이것이 지진이라는 모습으로 우리에게 다가오는 것이다.
따라서 만일 지진이 없는 지구를 꿈꾼다면 지구의 내부가 차갑게 식어야 하며, 지금의 파랗고 아름다운 지구의 모습은 사라질 것이다. 따라서 지진은 인간의 생존을 유지해주는 숙명적인 원동력으로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지구의 외곽을 덮고 있는 지각은 크게는 15개 정도의 판(넓은 감자조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지진은 이들 판 경계부에서 발생하게 된다. 수마트라의 지진해일(쓰나미)도, 이번 카슈미르 지진도 판 경계에서 발생한 것이다. 이에 반해 후쿠오카 지진은 판 내부에서 발생한 지진이다. 한반도는 후쿠오카 지역과 함께 유라시아판의 동쪽 끝 부분에 위치해 있다. 유라시아판 내부에서도 과거에 큰 지진이 자주 발생하였다. 가깝게는 1976년에 발생한 중국 베이징 인근 탕산지진의 경우 약 25만명의 인명피해를 낸 지진으로 유명하다. 중국에는 탄루단층이라는 큰 단층이 있는데, 이는 오랜 과거로부터 매우 취약한 지역으로 탕산지진도 이로 인해 발생하였다.
그러면 한반도의 지진학적 환경은 어떠한가. 한반도 서쪽 중국에는 탄루단층과 같은 매우 취약한 단층지역이 남북으로 놓여 있고, 동쪽 일본에는 북아메리카판·태평양판·필리핀판 등의 경계부가 위치하고 있다. 이런 지역을 피하고 있기 때문에 한반도는 지진학적으로 주변 국가에 비해 비교적 안전한 편이다.
하지만 지진 피해의 규모가 나라별 대비책에 따라 크게 달라지고 있는 것은 우리가 관심을 가지고 봐야 할 부분이다. 1999년 대만에 발생한 규모 7.6의 치치지진의 경우 사망자가 2400명 정도였다. 반면 천년의 유적을 간직하고 있던 이란 밤시에 발생한 규모 6.5의 지진에는 약 2만6000명이 사망했고, 이번 규모 7.6의 카슈미르 지진의 경우 인구밀도가 낮음에도 불구하고 사망자가 5만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지진과 같은 돌발적이면서도 가늠할 수 없는 위험으로부터 국가의 기본 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대비책을 강화하는 것이 그 국가의 성숙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우리나라가 지진 안전지대라고 대비책을 소홀히 하는 것은 큰 재앙을 부를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최근 기상청이 지진 전문인력을 대폭 보강하며, 소방방재청이 지진방재종합개선기획단을 설치하고 건설교통부가 내진 기준을 높이는 등 체계적인 지진 대비책을 강구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이번 지진 대응 논의가 단순한 시늉이나 일회성에 끝나지 말고 지속적으로 우리의 일상에 적용되기를 바란다.
지헌철 지질연구원 지진연구센터장
본면의 기고·칼럼은 본지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세계일보 & 세계닷컴(www.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세계닷컴은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
"서울서 아이티 규모 강진땐 7만명 아닌 67만 명 사상"…"안전지대 아니다"
뉴시스 | 오종택 | 입력 2010.01.18 12:05
우리나라도 지난해 지진 관측 이래 가장 많은 60차례의 지진이 감지됐다. 2008년 쓰촨성 대지진이 발생한 중국과 언제 지진이 발생할지 모르는 일본 사이에 위치한 우리나라도 규모가 작기는 하지만 연간 20여 차례 이상 지진이 일어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아이티 지진과 같은 진도 7.0 규모의 지진이 발생한다면 과연 어떠한 피해가 예상될까.
18일 소방방재청에 따르면 현재 소방방재청이 보유한 '지진재해대응시스템'은 지질 정보와 건축물 정보 등 기초 데이터를 바탕으로 특정 지역에 지진이 일어났을 때의 건물과 인명 피해 상황을 예측할 수 있다.
이 시스템에 따라 서울 남서쪽 지하 10㎞지점에서 리히터 규모 7.0의 지진이 발생했을 경우 서울과 인접 지역에서 모두 5만451명이 사망하고, 62만1780명이 부상하는 등 67만2231명의 사상자가 발생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지역별 사상자는 서울 41만9000여명, 경기 20만6000여명, 인천 4만5000여명, 충남 199명, 충북 73명, 강원 65명, 대전과 전북 각 1명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됐다.
가상의 진앙지인 서울과 거리가 있는 부산과 대구, 광주, 울산, 전남. 경북, 경남에서는 사상자가 없을 것으로 추정됐다.
이재민은 47만162명이 발생하고, 건물은 총 664만3638개동 가운데 92만9230개동이 피해를 보는 것으로 조사됐다.
소방방재청 관계자는 "가상의 실험결과이기 때문에 정확하다고 할 수는 없다"면서도 "리히터 규모가 1이 높아지면 지진의 힘은 32배가 늘어나기 때문에 피해는 막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반도, 더 이상 지진 안전지대 아니다.
우리나라에서도 한 해 수 차례의 지진이 발생하지만 규모가 약하고, 지진이 자주 발생하는 지각판의 경계에서 비교적 멀리 떨어진 판 내부에 있어 지진 안전지대로 분류돼 왔다.
우리나라에서 첨단 장비를 이용해 지진 관측을 시작한 1978년부터 지난해까지 연평균 24차례 정도의 지진이 발생했다. 지진 관측을 처음 시작한 1905년부터 진도 5.0 이상의 강진은 모두 6차례 일어났다.
하지만 최근 들어서는 지진의 발생 빈도가 크게 높아졌다. 1990년대 중반 이전에는 연간 20차례 정도였으나 1990년 중반 이후에는 연간 40여 차례로 크게 늘었다.
지난해에는 총 60차례의 지진이 관측돼 관측 이래 31년 만에 가장 많이 일어났다. 이중 사람들이 지진의 진동을 느낄 수 있는 규모 2.5 이상 유감(有感) 지진은 10회에 지나지 않았지만, 한반도도 지진에 대비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전문가들은 1990년대 중반 이후 지진이 크게 늘어난 이유에 대해 한반도에 지진발생이 늘었다기보다는 지진관측 기술이 발달했기 때문으로 분석하고 있다.
그러나 2008년 쓰촨성 대지진처럼 판의 내부에 있는 중국에서도 대규모 지진이 발생하기도해 우리나라도 언제까지나 안심하고 있을 수만은 없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한결같은 지적이다.
소방방재청 관계자는 "현재 지진예측시스템은 가상의 거의 성공가능성이 없기 때문에 지진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내진설계를 강화하고 조기경보시스템을 갖추는 수밖에 없다"라며 "현재 개발 중인 국가 지진조기경보시스템이 구축되면 2015년에는 지진발생 후 50초 이내 통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ohjt@newsis.com
< 저작권자ⓒ '한국언론 뉴스허브'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실시간 지구촌 개벽소식 > 지각변동*자연재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과 일본의 지진이 한반도에 주는 영향 (0) | 2010.01.26 |
---|---|
2009년 한반도 지진관측 이후 최다 발생 (0) | 2010.01.26 |
서울 아이티 규모 7.0 지진 일어나면 67만명 사상 (0) | 2010.01.19 |
중국 귀주성 규모 4 지진으로 7명 사망 (0) | 2010.01.19 |
한반도 규모 6.5 지진 가능성 있어 (0) | 2010.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