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 시대를 살아가면서 꼭 알아야 할 유용하고 세상에서 가르쳐 주지 않는 차원 높은 정보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본 블로그에서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핵심을 잘 간파하셔서 끊임없이
실시간 지구촌 개벽소식/5선위기의 한반도

레이저유도폭탄(GBU-28), "벙커버스터" 도입 예정

by 바로요거 2009. 6. 2.

 

레이저유도폭탄(GBU-28),  "벙커버스터"

레이저유도폭탄 벙커버스터는 지하 30m 깊이까지 뚫고 들어가 목표물을 파괴하는 무기.

北핵.지하시설 파괴용 GBU-28 수십발 도입

//

연합뉴스 | 입력 2009.06.02 10:46 | 수정 2009.06.02 11:51 //EXTENSIBLE_BANNER_PACK(Media_AD250ID[0]); EXTENSIBLE_BANNER_PACK({secid:Media_AD250ID[0],dir:'RB'});

美 판매 승인..'2010~2014 중기계획' 반영
(서울=연합뉴스) 김귀근 기자 = 유사시 북한의 핵시설과 동굴속 장사정포 등 지하군사시설을 뚫고 들어가 폭파시키는 레이저유도폭탄(GBU-28) 수십 발이 도입된다.

군 소식통은 2일 "미국은 그간 전략무기로 분류해 국외 수출을 엄격히 통제했던 GBU-28 폭탄을 한국에 판매키로 최근 승인했다"면서 "우리 군은 '2010~2014년 국방중기계획'에 이 폭탄 구매계획을 반영했다"고 밝혔다.

 

 

미국이 한국에 GBU-28 폭탄을 판매키로 한 것은 북한이 두 차례 핵실험을 하고 장거리 미사일을 발사하는 등 핵과 미사일 위협이 가중되고 있어 이에 대응하는 차원이라고 소식통은 말했다.


그는 "미국이 한국에 전략무기인 무인정찰기 글로벌호크 판매를 승인한 데 이어 GBU-28 폭탄까지 판매키로 한 것은 양국 신뢰관계를 반영하는 것"이라며 "GBU-28 폭탄을 도입한 데 이어 글로벌호크도 구매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고려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일명 '벙커버스터'로 불리는 GBU-28은 미국이 1991년 걸프전쟁 때 지하 30여m 깊이의 벙커에서 전쟁을 지휘하는 이라크군 사령부를 공격하기 위해 특별히 설계됐다.

스텔스 폭격기나 F-15A 전폭기를 이용, 공중에서 투하한 뒤 레이저로 유도해 목표물에 도달한다. 폭탄에 장착된 2천kg의 탄두는 지상에서 바로 터지지 않고 지하 20~30여m(콘크리트는 6m)까지 뚫고 들어가 폭발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지난 2001년 '테러와의 전쟁'에서는 탈레반과 오사마 빈 라덴의 지하 요새를 공격하기 위해 수도 카불과 탈레반 거점 도시인 칸다하르 등지에 투하된 것으로 알려졌다.

군은 F-15K 전투기에 GBU-28 폭탄을 장착해 유사시 핵시설과 동굴속 장사정포, 지하군사시설 등을 격파한다는 계획이다. GBU-28 폭탄의 제원은 길이 3.8m, 지름 36.8cm, 무게 2천250kg 등이다.

한편 지난 주 평양 산음동 병기연구소에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싣고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미사일기지에 도착한 화물열차는 화물칸이 비어 있는 상태로 산음동으로 되돌아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첩보당국은 덮개로 가려진 ICBM이 동창리 기지에서 내려져 조립건물로 옮겨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현재 동창리 기지에는 고급 승용차가 빈번하게 출입해 북한군 수뇌부가 방문한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threek@yna.co.kr
(끝)
< 긴급속보 SMS 신청 >
< 포토 매거진 >
< M-SPORTS >

<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北핵ㆍ지하시설 파괴용 레이저유도폭탄 수십발 도입

//

헤럴드경제 | 입력 2009.06.02 12:13  //EXTENSIBLE_BANNER_PACK(Media_AD250ID[0]); EXTENSIBLE_BANNER_PACK({secid:Media_AD250ID[0],dir:'RB'});

유사시 북한의 핵시설과 동굴속 장사정포 등 지하군사시설을 뚫고 들어가 폭파시키는 레이저유도폭탄(GBU-28) 수십 발이 도입된다.

군 소식통은 2일 "미국은 그간 전략무기로 분류해 국외 수출을 엄격히 통제했던 GBU-28 폭탄을 한국에 판매키로 최근 승인했다"면서 "우리 군은 `2010~2014년 국방중기계획`에 이 폭탄 구매계획을 반영했다"고 밝혔다.

미국이 한국에 GBU-28 폭탄을 판매키로 한 것은 북한이 두 차례 핵실험을 하고 장거리 미사일을 발사하는 등 핵과 미사일 위협이 가중되고 있어 이에 대응하는 차원이라고 소식통은 말했다.

그는 "미국이 한국에 전략무기인 무인정찰기 글로벌호크 판매를 승인한 데 이어 GBU-28 폭탄까지 판매키로 한 것은 양국 신뢰관계를 반영하는 것"이라며 "GBU-28 폭탄을 도입한 데 이어 글로벌호크도 구매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고려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일명 '벙커버스터'로 불리는 GBU-28은 미국이 1991년 걸프전쟁 때 지하 30여m 깊이의 벙커에서 전쟁을 지휘하는 이라크군 사령부를 공격하기 위해 특별히 설계됐다.

스텔스 폭격기나 F-15A 전폭기를 이용, 공중에서 투하한 뒤 레이저로 유도해 목표물에 도달한다. 폭탄에 장착된 2천kg의 탄두는 지상에서 바로 터지지 않고 지하 20~30여m(콘크리트는 6m)까지 뚫고 들어가 폭발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지난 2001년 '테러와의 전쟁'에서는 탈레반과 오사마 빈 라덴의 지하 요새를 공격하기 위해 수도 카불과 탈레반 거점 도시인 칸다하르 등지에 투하된 것으로 알려졌다.

군은 F-15K 전투기에 GBU-28 폭탄을 장착해 유사시 핵시설과 동굴속 장사정포, 지하군사시설 등을 격파한다는 계획이다. GBU-28 폭탄의 제원은 길이 3.8m, 지름 36.8cm, 무게 2천250kg 등이다.

한편 지난 주 평양 산음동 병기연구소에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싣고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미사일기지에 도착한 화물열차는 화물칸이 비어 있는 상태로 산음동으로 되돌아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첩보당국은 덮개로 가려진 ICBM이 동창리 기지에서 내려져 조립건물로 옮겨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현재 동창리 기지에는 고급 승용차가 빈번하게 출입해 북한군 수뇌부가 방문한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김대우 기자/dewkim@heraldm.com

- `헤럴드 생생뉴스`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