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 인플루엔자 비상] 건강한 20~40대만 사망 ‘미스터리’
서울신문 | 입력 2009.04.29 04:41
[서울신문]돼지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감염돼 사망한 환자의 주 연령대가 20~40대 청장년층이어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일반적인 계절성 독감과 달리 높은 면역력을 가진 사람도 감염되면 사망할 수 있어 전 세계적으로 공포감이 더욱 확산되고 있다.
●영유아·노인 희생자 없어
27일 멕시코 보건당국과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사망자가 100명 수준에 도달할 때까지 3세 미만 영·유아나 60세 이상 노인은 단 1명도 발견되지 않았다. 사실상 20~40대 청장년층이 사망자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다.
일반적인 계절성 독감의 경우 사망자의 90%가 면역력이 약한 영·유아 및 노년층이어서 상반된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에 대해 의문이 증폭되고 있다.
독감에 걸리면 면역력이 저하돼 폐렴 등의 합병증이 생기게 되는데, 기본적으로 높은 면역력을 갖춘 청년층도 안심할 수 없게 된 것이다.
WHO는 이같은 현상에 대해 아직 뚜렷한 답을 내놓지 못한 상태다. 미국 질병예방센터(CDC)도 이 문제에 대해 관심을 갖고 분석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일부 전문가는 청장년층의 사망률이 노약자보다 높은 이유에 대해 청장년층의 높은 면역력을 연관지어 설명하고 있다.
●"바이러스와 싸우다 장기손상"
서울아산병원 감염내과 김성한 교수는 "나이가 많은 노약자의 희생이 적었던 것은 과거 각종 바이러스에 대한 대항능력이 높기 때문"이라고 풀이했다. 이어 "반대로 젊고 건강한 사람은 면역력이 너무 강해 외부의 바이러스가 침범해 들어왔을 때 몸속에서 격렬한 싸움이 진행되고, 그 과정에서 장기(폐) 손상이 심해져 사망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고려대 안암병원 감염내과 김우주 교수도 "1918~1919년 창궐한 스페인독감도 청장년층 사망자가 유독 많았다."면서 "바이러스의 특성을 조사해 봐야 하겠지만 처음 바이러스와 맞닥뜨리는 과정에서 높은 면역력으로 인해 치열한 싸움이 일어나게 되고 염증반응이 심해져 폐렴으로 진행돼 사망하는 환자가 많을 것"이라고 말했다.
●1918년 스페인독감과 닮은꼴
전문가들은 또 일반적인 계절성 독감 예방주사는 돼지인플루엔자를 예방하는 효과가 거의 없다고 설명한다.
돼지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 인간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함께 영향을 미친 '하이브리드형' 바이러스이지만 교차 예방은 가능하지 않다는 설명이다. 김 교수는 "미국 CDC에 따르면 일반적인 독감 예방주사로 교차예방이 가능하지는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말했다.
정현용기자 junghy77@seoul.co.kr
[ 관련기사 ]
☞ 위키피디아 '한국 SI 발생' 잘못 표기
☞ 스위스 열차서 SI샘플 폭발 소동
☞ 정부, 멕시코 여행제한지역 지정
☞ [돼지 인플루엔자 비상] 알약 타미플루 하루 두 번 한알씩 5일간 복용
☞ [돼지 인플루엔자 비상] 삼성서울병원 강철인 교수 "환자 발생 가능성 예측 무의미… 국가·사회적 대응지침 마련을"
'맛있는 정보! 신선한 뉴스!' 서울신문( www.seoul.co.kr )
[ ☞ 서울신문 구독신청 ] [ ☞ 나우뉴스 바로가기 ] [ ☞ 나우뉴스TV 바로가기 ]
- Copyrights ⓒ서울신문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영유아·노인 희생자 없어
27일 멕시코 보건당국과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사망자가 100명 수준에 도달할 때까지 3세 미만 영·유아나 60세 이상 노인은 단 1명도 발견되지 않았다. 사실상 20~40대 청장년층이 사망자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다.
일반적인 계절성 독감의 경우 사망자의 90%가 면역력이 약한 영·유아 및 노년층이어서 상반된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에 대해 의문이 증폭되고 있다.
독감에 걸리면 면역력이 저하돼 폐렴 등의 합병증이 생기게 되는데, 기본적으로 높은 면역력을 갖춘 청년층도 안심할 수 없게 된 것이다.
WHO는 이같은 현상에 대해 아직 뚜렷한 답을 내놓지 못한 상태다. 미국 질병예방센터(CDC)도 이 문제에 대해 관심을 갖고 분석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일부 전문가는 청장년층의 사망률이 노약자보다 높은 이유에 대해 청장년층의 높은 면역력을 연관지어 설명하고 있다.
●"바이러스와 싸우다 장기손상"
서울아산병원 감염내과 김성한 교수는 "나이가 많은 노약자의 희생이 적었던 것은 과거 각종 바이러스에 대한 대항능력이 높기 때문"이라고 풀이했다. 이어 "반대로 젊고 건강한 사람은 면역력이 너무 강해 외부의 바이러스가 침범해 들어왔을 때 몸속에서 격렬한 싸움이 진행되고, 그 과정에서 장기(폐) 손상이 심해져 사망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고려대 안암병원 감염내과 김우주 교수도 "1918~1919년 창궐한 스페인독감도 청장년층 사망자가 유독 많았다."면서 "바이러스의 특성을 조사해 봐야 하겠지만 처음 바이러스와 맞닥뜨리는 과정에서 높은 면역력으로 인해 치열한 싸움이 일어나게 되고 염증반응이 심해져 폐렴으로 진행돼 사망하는 환자가 많을 것"이라고 말했다.
●1918년 스페인독감과 닮은꼴
전문가들은 또 일반적인 계절성 독감 예방주사는 돼지인플루엔자를 예방하는 효과가 거의 없다고 설명한다.
돼지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 인간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함께 영향을 미친 '하이브리드형' 바이러스이지만 교차 예방은 가능하지 않다는 설명이다. 김 교수는 "미국 CDC에 따르면 일반적인 독감 예방주사로 교차예방이 가능하지는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말했다.
정현용기자 junghy77@seoul.co.kr
[ 관련기사 ]
☞ 위키피디아 '한국 SI 발생' 잘못 표기
☞ 스위스 열차서 SI샘플 폭발 소동
☞ 정부, 멕시코 여행제한지역 지정
☞ [돼지 인플루엔자 비상] 알약 타미플루 하루 두 번 한알씩 5일간 복용
☞ [돼지 인플루엔자 비상] 삼성서울병원 강철인 교수 "환자 발생 가능성 예측 무의미… 국가·사회적 대응지침 마련을"
'맛있는 정보! 신선한 뉴스!' 서울신문( www.seoul.co.kr )
[ ☞ 서울신문 구독신청 ] [ ☞ 나우뉴스 바로가기 ] [ ☞ 나우뉴스TV 바로가기 ]
- Copyrights ⓒ서울신문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실시간 지구촌 개벽소식 > 전염병 관련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멕시코 다녀오지 않은 SI 증상 환자 발생 (0) | 2009.04.30 |
---|---|
[돼지독감 급속확산 비상]국내 첫 ‘사람 대 사람’ 전염 가능성 (0) | 2009.04.30 |
국내 돼지독감 의심환자 (0) | 2009.04.29 |
[돼지 인플루엔자 비상] <전문가 기고> (0) | 2009.04.29 |
세계 돼지독감 확산 현황/인간-인간 감염 확인 (0) | 2009.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