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 시대를 살아가면서 꼭 알아야 할 유용하고 세상에서 가르쳐 주지 않는 차원 높은 정보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본 블로그에서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핵심을 잘 간파하셔서 끊임없이
실시간 지구촌 개벽소식/뉴스*시사*이슈

개인 빚 1650만원, 한가구당 4128만원, 기업부채 1100조원

by 바로요거 2009. 3. 17.

개인 빚 1650만원, 한가구당 4128만원, 기업부채 1100조원

1인당 1650만원 '빚더미'…개인 부채잔액 800조원 돌파

//

노컷뉴스 | 입력 2009.03.17 13:39

EXTENSIBLE_BANNER_PACK(Media_AD250ID[0]);
[CBS경제부 김학일 기자]

우리나라 개인의 금융 부채 잔액이 지난해 말 800조원을 넘어섰다. 한 명당 1650만원이 넘는 부채를 안고 있는 셈이다.

부채가 이처럼 증가한 가운데, 주가 하락으로 금융자산도 크게 감소해, 개인의 상환능력을 나타내는 '금융자산 대비 부채' 비율이 관련 통계가 처음 작성된 2002년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기업도 별 수 없다. 환율 상승으로 외화부채가 늘면서 기업들의 금융 부채 잔액은 천 백조 원을 넘어 전년에 비해 22%나 증가했다.

 

 

17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말 개인의 금융부채 잔액은 802조 원으로 전년 말보다 59조 원이 증가했다.

이를 통계청 추계인구(2008년 7월 1일 기준 48,606,787명)으로 나누면, 한 명당 천 650만원의 빚을 지고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이는 2007년의 천 533만원 보다 117만원이 증가한 것이다.

개인의 금융 자산도 감소했다. 개인의 금융자산은 지난해 말 현재 천 677조 4천억 원으로 전년 말보다 35조 4천억 원이 줄었다.

한국은행은 주가 급락으로 개인들이 보유한 주식이나 수익증권의 가치가 크게 떨어져, 금융자산이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개인 금융자산이 줄어든 것은 한국은행이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02년 말 이래 처음이다.

이처럼 부채는 늘고 자산은 줄면서 개인의 채무상환 능력을 나타내는 '금융부채 대비 자산' 비율은 2007년 말 2.31배에서 작년 말 2.09배로 떨어졌다. 이 역시 관련 통계가 처음 작성된 2002년 말 2.15배 이래 가장 낮은 수준이다.

이는 미국의 2.86배나 일본의 4.37배 등 다른 국가보다도 크게 낮은 수준이다.

한국은행 박승환 자금순환팀장은 다만 "우리나라 개인의 금융부채는 총부채상환비율(DTI) 등을 통해 개인 소득을 감안한 만큼, 부채의 질이 좋다"며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가 일어난 미국과는 다르다"고 말했다.

한편 기업부문의 금융부채 규모는 1천 154조 9천억 원으로 전년의 946조 7천억 원보다 22% 증가했다.

한국은행은 채권발행과 해외차입 자체가 늘어나기도 했지만, 환율이 급등하면서 갚아야 할 해외 차입금이 늘어난 영향이 크다고 설명했다. 환율 상승 등 비거래요인에 의한 증가분이 44조 3천억 원에 달했다. 반면 기업의 금융자산은 811조 7천억 원으로 3.9% 감소했다. 대외채권은 늘었지만 채권과 주식보유 규모는 줄었기 때문이다.
khi@cbs.co.kr

[관련기사]


"가계부채 건전성 악화로 소비위축 우려"
한 가구당 빚 4128만원…1년 사이 286만원 증가
경기지역 가구 절반 '부채'있다…전년보다 4% 늘어
남대문시장 상인의 한숨 "시간 때우러 나온 거예요"
(대한민국 중심언론 CBS 뉴스FM98.1 / 음악FM93.9 / TV CH 412)

<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 www.nocutnews.co.kr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 가구당 빚 4128만원…1년 사이 286만원 증가

경기침체로 전체 가계 빚 688조 2천억원

[ 2009-02-24 13:34:45 ]

 

CBS경제부 김학일 기자 김학일

경기침체 속에서도 지난해 우리나라 전체 가계 빚이 2007년에 비해 57조 6천억원 증가한 688조 2천억원이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한 가구당 가계부채는 1년 사이에 286만원 증가한 4천 128만원으로 계산됐다.

24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말 가계대출과 판매신용(신용카드 등에 의한 외상구매)을 합친 가계 신용 잔액은 688조 2천 463억 원으로 집계됐다. 1년 사이에 57조 6천억원(9.1%) 늘어나, 증가세가 2007년 말 48조 7천억원(8.4%)에 비해 확대됐다.

가계 신용 잔액을 지난해 통계청 추계 가구수(천667만3천162가구)로 나눌 경우 한 가구당 부채 규모는 4천128만 원으로 추정된다. 이는 2007년 가구당 부채는 3천842만 원에서 286만 원이 늘어난 것이다.

이영복 한국은행 금융통계팀장은 “부동산 규제완화 등에 영향을 받아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가계대출이 꾸준하게 늘어났다"며 "개인의 소득과 부담 능력을 넘어서는 부채규모는 짐이 될 수 있는 만큼 앞으로 가계부채가 잘 관리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부채규모가 연간 가처분 소득의 3배를 넘는 ‘고부채 가구’의 채무비중이 크게 증가했으며 가계부채는 부동산가격이 하락할 경우 가장 부실해질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결과도 나왔다.

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원이 이날 발표한 '한국노동패널자료를 이용한 가계부채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07년 현재 부채액이 연간 가처분소득의 3배 이상인 고부채 가구의 채무 비중은 32.0%로 5년 전인 2003년의 27.8%보다 4.2%포인트 올라갔다.

특히 소득 별로 구분된 5개 그룹 가운데 최상위인 5분위에 속하면서 소득대비 고부채이고 적자가구에 해당되는 부채액은 2.0%에서 5.3%로 올라가, 부채 가구의 재무건전성 악화가 고소득층으로 확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가계채무부담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부동산 가격 하락, 원금상환 부담, 소득 감소의 순으로 부정적인 영향이 큰 것으로 나났다.

부동산가격의 경우 10% 떨어지면 소득 및 총자산기준 취약가구의 부채액 비중은 기존의 4.2%에서 5.2%로 올라가고, 20% 하락하면 취약가구의 부채액 비중은 6.3%로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동산가격이 하락해 담보인정비율(LTV)이 60%를 넘는 가구에 대해 금융기관이 대출회수에 나서면 취약가구의 부채비중은 더욱 확대된다.

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원 김현정 연구원은 “가계부채가 거시경제에 부담이 되지 않도록 부동산 가격의 경착륙을 막는 한편, 가계대출의 원활한 만기연장을 유도하고 실질소득 감소를 완화하기 위한 경기부양 등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viewBestCut('bestRight')


khi@cbs.co.kr


(대한민국 중심언론 CBS 뉴스FM98.1 / 음악FM93.9 / TV CH 412)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www.nocut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