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 시대를 살아가면서 꼭 알아야 할 유용하고 세상에서 가르쳐 주지 않는 차원 높은 정보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본 블로그에서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핵심을 잘 간파하셔서 끊임없이
한민족 역사문화/한민족의 비밀코드

[위기에 강한 한국의 저력] 교육열 세계 최고… 미 유학생수 한국 1위

by 바로요거 2009. 1. 5.

[위기에 강한 한국의 저력] 교육열 세계 최고… 미국내 유학생 수 한국이 1위

 

● 우수한 인재 조의준 기자 joyjune@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스웨덴, 뉴질랜드, 아랍에미리트, 사우디아라비아…. 국민소득이 우리보다 높은 이들 나라들은 지난해 한국식 교육을 배우겠다며 교육부 장관 등을 한국에 보냈다. 우리 스스로는 과도한 교육열이라고 진단하지만, 밖에서는 한국의 인재 경쟁력을 높게 평가하고 있는 것이다.


글로벌 컨설팅회사 '딜로이트'는 국가경쟁력지수(2006년)에서 한국을 총 25개국 중 인적 자본 경쟁력 5위로 꼽았다. 같은 해 OECD(경제협력개발기구)의 학력평가 조사(15세 이상)에서 한국은 핀란드에 이은 종합 2위와 읽기 1위, 수학 2위, 과학 3위를 기록했다. 2003년 OECD의 학업성취도 조사에선 문제해결 능력 부문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위기 극복에는 인재가 필수조건이다. 지난 10여 년간 우리의 인재 파워는 한국이란 울타리를 뛰어넘어 방대한 글로벌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데 성공하고 있다. 지난해 현재 네팔·가나·탄자니아에 이르기까지 세계 95개국에 뻗어 있는 한국 유학생은 무려 21만명(대학생 이상)에 달한다.

 

 

미국에 유학 간 한국인 학생은 10만3000명으로, 인도(8만8000명)·중국(7만2000명)·일본(4만1000명) 보다 월등히 많다. 미국 하버드대학에 재학하는 한국 학생 수는 캐나다·중국에 이어 3위다. 한국인 기술자들은 미국 실리콘밸리에서도 파워그룹으로 떠올랐다. 실리콘밸리에 있는 한국인 공동체 가입인원은 750여 명에 달한다, 실리콘밸리 IT분야에 일하는 엔지니어 3~4명 중 한 명은 한국인이란 얘기가 나올 정도다.

인재의 성장이 곧 한국의 성장이었다. 1948년 3900여 개였던 초·중·고교 수는 2007년 1만947개로, 34개였던 일반대학은 200개로 급증했다. 사흘에 하나꼴로 학교를 짓고, 석 달에 하나씩 대학을 만들었다. 지금은 고교졸업자의 80%가 대학을 가는 대학진학률 1위 국가다.

교육열이 최고의 인력을 낳았다. 외국 제품을 구해 분해해서 재조립하며 기술을 터득하는 '역행적(逆行的) 엔지니어링'은 뛰어난 문제 해결력을 지닌 한국의 인재만이 가능한 선진국 따라잡기 비결이었다. 경영학의 대가 피터 드러커는 생전 "한국은 '지식이 현대경제의 유일한 자원'이라는 명제를 실현한 최고의 모범국가"라고 극찬했었다.

1985년 삼성전자는 토종 개발팀 40여 명과 인텔 등에서 고액 연봉을 주고 데려온 베테랑 연구팀 40명에게 각각 1메가D램 개발을 맡겨 경쟁시켰다. 결과는? 토종팀의 승리였다. 밤새 일하고, 휴가도 없이 문제해결 방법을 찾은 한국식 인재 경쟁력의 승리였다.


입력 : 2009.01.01 04:23 / 수정 : 2009.01.01 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