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하대세 흐름 읽기1067 (4)진인왕, 한국판 전륜성왕? [백승종의 정감록 산책] (4)진인왕, 한국판 전륜성왕? [서울신문 2005-01-27 09:45] 대다수 민중은 지옥의 존재를 믿었다. 그들은 죽어 지옥에 갈까봐 두렵기도 했지만 이승이 바로 생지옥일 때도 많았다.“양반은 죄가 많아도 저리 편한데”하는 원망 때문에 민중은 정의의 사자 진인(眞人)을 꿈꾸었다. 진.. 2008. 12. 16. (5)왜 계룡산인가? - 명산 중의 명산 계룡산 [백승종의 정감록 산책] (5)왜 계룡산인가 [서울신문 2005-02-03 09:21] [서울신문]●태조 이성계와 계룡산 계룡산 신원사 대웅전에 있는 무학대사 진영. 1392년 조선왕조를 건국한 태조 이성계는 고려의 옛 귀족이 건재한 개성이 싫었다. 새 술은 새 부대에 담으라는 말이 있듯 이 태조는 충신으로 가득한 새 .. 2008. 12. 16. (6) 신도안은 대한독립의 소망 [백승종의 정감록 산책] (6) 신도안은 대한독립의 소망 [서울신문 2005-02-17 09:12] 1930년대에 촬영된 신도안 사진. [서울신문]●신도안 사람 김씨 김철호(가명) 노인(78세)을 다시 만난 것은 금년 초였다. 옛날 신도안 사람들의 생활이 궁금해 거기 살던 이를 수소문하던 참에 그와 재회하게 된 것이다. 1988년.. 2008. 12. 16. 신도 6백만명을 넘었던 보천교 [백승종의 정감록 산책] (7) 계룡산과 신종교들 [서울신문 2005-02-24 09:24] 보천교 차경석 교주. [서울신문]●정감록, 대항 이데올로기, 신종교, 주체적 근대화운동은 함수관계 ‘정감록’과 나의 만남은 조선의 지배 이데올로기인 성리학을 꺾기 위한 대항 이데올로기가 과연 존재했느냐 하는 화두에서 .. 2008. 12. 16. (9) 십승지란 어디인가 [백승종의 정감록 산책] (9) 십승지란 어디인가 [서울신문 2005-03-10 09:06] 정감록에 예언된 십승지는 모두 백두대간이 낳은 명당들이다. 백두대간에서 갈라진 허다한 산자락 가운데서도 소백산은 가장 중시됐다. 풍기 금계촌과 예천 금당, 봉화, 단양 등지에 있는 십승지를 보라. 소백산의 어깨에 해당하.. 2008. 12. 16. (10)전국의 길지 (상) [백승종의 정감록 산책] (10)전국의 길지 (상) [서울신문 2005-03-17 09:09] 태백산은 봉우리가 많아도 산세가 평탄하다. 예로부터 신령한 명산으로 꼽혀 태백산사(太白山祠)에서 국가적인 제의가 거행돼 왔다. 소도동(所道洞)에 있는 단군성전에서는 아직도 단군제가 올려진다. 태백산에서 갈라진 크고 작은.. 2008. 12. 16. (11)전국의 길지 (하) [백승종의 정감록 산책] (11)전국의 길지 (하) [서울신문 2005-03-24 09:12] 호남의 길지인 전북 무주 덕유산. 덕이 많고 너그러운 모산(母山)이라 해서 덕유산(德裕山)이라 불리게 됐다.‘택리지’는 덕유산을 지리산과 더불어 가장 살기 좋은 길지로 꼽았다. [서울신문]●호남의 길지 호남엔 여느 도 못지않.. 2008. 12. 16. (17) ‘정감록(鄭鑑錄)’이 정감록인 까닭? [백승종의 정감록 산책] (17) ‘정감록(鄭鑑錄)’이 정감록인 까닭? [서울신문 2005-05-05 08:45] 경남 함양군 안의면 용추계곡의 용추폭포. 안의 출신인 정희량은 1728년 이인좌와 더불어 무신란을 일으켜 나라를 뒤엎으려고 했으나 수포로 돌아가 비참한 최후를 맞았다. 그러나 사람들은 그의 죽음을 믿으려.. 2008. 12. 16. (19) 1923년 일본인들의 정감록 처형 [백승종의 정감록 산책] (19) 1923년 일본인들의 정감록 처형 [서울신문 2005-05-19 08:51] 조선총독부는 대다수 한국인들에게 억압의 상징이었다. 요즘 일각에서 일제 덕분에 한국이 근대화됐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으나 이는 지나치게 단순하고 단편적인 역사 이해다.‘정감록’ 출판 여부까지도 조선총독.. 2008. 12. 15. (20) 현대판 정본 정감록의 배후를 찾아라 [백승종의 정감록 산책] (20) 현대판 정본 정감록의 배후를 찾아라 [서울신문 2005-05-26 08:57] 정조 때 설치된 규장각 도서들을 경성제대를 거쳐 이어받아 소장하고 있는 서울대 규장각도서관 전시실 내부 모습. 현대판 정감록 비결의 원본이 왕립도서관의 후신인 규장각 도서관에 소장돼 있다고 알려져 .. 2008. 12. 15. 이전 1 ··· 56 57 58 59 60 61 62 ··· 1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