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 시대를 살아가면서 꼭 알아야 할 유용하고 세상에서 가르쳐 주지 않는 차원 높은 정보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본 블로그에서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핵심을 잘 간파하셔서 끊임없이

우주법칙*생존법1571

십이지지(十二地支)의 도표 및 성질 십이지지(十二地支) 천간은 천계(天界)의 특성을 오행으로 나타낸 것이라면 십이지지는 지상의 변화를 12동물로 나타내고 표현하여 인간의 삶에 정신적인 특성을 비유하여 나타낸 것이다. 자수(子水) 쥐띠 자수(子水)는 음수(陰水)이며 차가운 동물이다. 음력으로 동짓달이며 11월이다. 보.. 2007. 12. 31.
쥐띠는 변강쇠…“겨울밤이 짧다” 쥐띠는 변강쇠…“겨울밤이 짧다” 열두 동물을 지칭하는 ‘띠’는 고대부터 동양문화 속에 깊숙이 뿌리내리고 있다. 고대인들은 지구 자전에 따라 하루를 12시간으로 나눠 자시(子時·오후 11시∼오전 1시)에서 해시(亥時·오후 9시∼11시)까지 열두 동물을 배치했다. 지구가 공전할 때 매달 변하는 .. 2007. 12. 31.
‘멍에’ 감내하는 인고의 화신 소띠 ‘멍에’ 감내하는 인고의 화신 소띠 소는 인간을 위해 멍에를 지고 힘겨운 노동을 감내하는 착하고 성실한 동물이면서 존경받는 종교의 대상이기도 하다. 인도에서는 소를 성스러운 존칭어로 ‘온다’(우리말 ‘온다’와 뜻과 발음이 흡사하다)라고 부른다. 힌두교의 신(神)들 중 비슈누신이 복을 .. 2007. 12. 31.
생명력 강한 범띠… 덕 쌓으면 만인재상 생명력 강한 범띠… 덕 쌓으면 만인재상 대부분의 절 대웅전 뒤편에 있는 삼성각에는 범이 신선 곁에 한가로이 앉아 있는 그림이 있다. 백수의 제왕이 왜 세속의 욕망과 번뇌를 잊은 신선과 더불어 있는 것일까. 불교에서는 부처의 음성을 사자후(獅子吼)라 하는데 왜 진리를 설파하는 부처의 음성을 .. 2007. 12. 31.
토끼여! 꾀 다스려 지혜 키워라 토끼여! 꾀 다스려 지혜 키워라 판소리 수궁가로도 잘 알려진 고대소설 별주부전은 그 해학(諧謔)으로 유명하다. 중병을 앓는 용왕의 유일한 치료약인 토끼의 간을 얻기 위해 거북이 뭍으로 나와 토끼를 꾀어 용궁으로 데려가지만 간을 빼두고 왔다며 천연덕스럽게 거짓말을 해 목숨을 구한다는 토끼.. 2007. 12. 31.
욕망의 화신 용…겸손하면 욱일승천 욕망의 화신 용…겸손하면 욱일승천 동양에서 부귀의 상징으로 존경하는 용(龍)은 상상의 동물이다. 황제나 임금처럼 인간으로서 최고에 도달한 자에 비유한 것은 하늘 높이 오르는 영묘한 기운을 상상에 끌어들인 것일 게다. 용을 잘 살펴보면 여러 동물의 특징을 하나씩 끌어왔음을 느낄 수 있다. .. 2007. 12. 31.
늘 바쁜 뱀띠…의심만은 버려라 늘 바쁜 뱀띠…의심만은 버려라 띠는 해(年)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월, 일, 시에 모두 있다. 뱀띠의 월은 음력 4월 여름이 시작되는 입하에서 5월 망종까지이며 시간은 오전 9∼11시다. 봄기운을 받은 어린 생명이 골격을 갖추고 무르익어 가는 때로 초목은 뿌리를 내려 잎을 푸르게 가꾸고, 동물은 먹이.. 2007. 12. 31.
명석한 말띠… 허세는 금물 명석한 말띠… 허세는 금물 말띠 오(午)는 하루 중 태양이 중천에 솟아 대지를 밝히는 오전 11시∼오후 1시에 해당한다. 계절로 보면 뜨거운 열기를 뿜어내는 음력 5월로 초목이 무성하게 다 자란 때다. 이처럼 말띠는 불꽃같이 뜨겁게 달아오른 기질을 나타낸다. 쥐띠 자(子)에서 잉태된 양기(陽氣)가 .. 2007. 12. 31.
예술가 양띠… 건강 ‘조심 또 조심’ 예술가 양띠… 건강 ‘조심 또 조심’ 양띠 미(未)는 하루 중 태양의 열기가 대지를 뜨겁게 달구는 오후 1∼3시 사이(미시·未時)이다. 계절로 보면 가장 무더운 음력 6월이고 방위로 보면 남서쪽이다. 자연으로 보면 짙푸른 녹음이 무성하여 화려해 보이고 열매가 다 자라 익는 시절이지만 보이지 않는.. 2007. 12. 31.
근심 덩어리 원숭이… 욕망 길들여야 근심 덩어리 원숭이… 욕망 길들여야 원숭이띠 신(申)은 하루로 보면 해가 서서히 기우는 오후 3시에서 5시까지 (신시·申時)이고 계절로 보면 음력 7월(신월·申月)이다. 절기로는 한여름의 뜨거운 열기가 아직 남아있는 입추에 해당한다. 과일은 다 익고 사람은 인생관이 무르익은 이순(耳順)에 접어.. 2007. 12.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