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 시대를 살아가면서 꼭 알아야 할 유용하고 세상에서 가르쳐 주지 않는 차원 높은 정보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본 블로그에서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핵심을 잘 간파하셔서 끊임없이
천하대세 흐름 읽기/예언&비결*미래정보

[예언으로 읽는 우리역사] 백승종의 정감록 산책

by 바로요거 2008. 12. 16.

[예언으로 읽는 우리역사]

백승종의 정감록 산책…6일부터 매주 목요일 연재

[서울신문 2004-12-31 10:15]

 

 

[서울신문]서울신문이 새해부터 역사학자 백승종(47·푸른역사연구소장)씨의 역사 문화 에세이 ‘예언으로 읽는 우리 역사-백승종의 정감록(鄭鑑錄) 산책’을 연재합니다.

1월6일부터 매주 목요일에 실릴 이 연재물은 우리 사회 문화 전반에 커다란 영향을 끼친 민족의 예언서 ‘정감록’에 담긴 의미를 현대적인 감각으로 풀어가는 고급 에세이입니다.

‘정감록’은 동학을 비롯한 새로운 종교의 사상적 모태가 되었습니다. 조선 후기 변혁운동의 추동력도 바로 ‘정감록’에서 나왔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국 곳곳에 이른바 ‘감록촌(鑑錄村)’이 생겨났을 정도로 ‘정감록’의 영향은 지대한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이 민간신앙의 경지에까지 오른 ‘정감록’의 본질에 대해 우리는 아직 잘 모르는 부분이 너무 많습니다. 잘못 알려진 것들도 적지 않습니다. 필자에 따르면 ‘정감록’은 18세기 전반 함경도에서 출현했고, 세월이 지나면서 적지 않은 내용상의 변화를 겪었습니다. 한 사람의 창작이 아니라 수많은 사람들의 손을 거친 ‘민중의 저작’인 셈입니다. 그런 만큼 ‘정감록’의 비의(秘意)를 정확히 해독하기는 어렵습니다.‘…백승종의 정감록 산책’은 그 비밀의 코드를 여러 문헌 자료와 역사적 상상력을 통해 독자와 함께 풀어가는 흥미로운 지적 여정이 될 것입니다.

서강대 사학과 교수와 독일 베를린 자유대 한국학과 교수를 지낸 필자는 국내 미시사 연구의 개척자로,‘정감록’에 관한 논문을 6편이나 쓴 최고의 ‘정감록’ 학자입니다.‘대숲에 앉아 천명도를 그리네’ 등 대중적 역사서를 낸 베스트셀러 저자이기도 합니다.

새들은 태풍을 미리 감지하고 안전한 곳으로 부지런히 날갯짓을 한다고 합니다. 우리 선조들도 뭔가 큰 일이 닥쳐올 것 같으면 ‘정감록’을 서둘러 훑어 보았습니다. 거기에 절망을 희망으로 살아내는 예언의 지혜가 담겨 있기 때문입니다.‘…백승종의 정감록 산책’은 ‘정감록’이 결코 단순한 혹세무민의 비기(秘記)나 길흉화복을 점치는 참서(讖書)가 아님을 증명해 보일 것입니다. 필자의 자유분방한 붓끝을 좇다보면 어느새 역사를 바라보는 눈이 밝아지고 사유의 지평이 트인 자신을 발견하게 될 것입니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립니다.

서울신문

[저작권자 (c) 서울신문사]

[예언으로 읽는 우리역사]

정감록 산책 작가의말

[서울신문 2004-12-31 10:15]
[서울신문]까마득한 문명의 여명기로부터 동서양 어디서나 신탁(神託)과 점성술, 예언과 점이 위력을 발휘하였다. 서양문명의 정화(精華)인 ‘성경’에도 예언가의 음성이 도처에 메아리치고 있다. 예를 들면, 아기 예수가 태어난 베들레헴에서는 그와 동갑내기인 사내아이들이 헤롯왕에게 몰살당했다. 유대의 새로운 왕이 태어났다는 ‘불길한’ 예언이 있었기 때문에 헤롯왕은 심리적 공황에 빠졌고, 드디어는 집단 영아살해를 저질렀던 것이다.

옛날에는 그랬다 치고 첨단 과학기술이 하루가 다르게 발달하고 있는 오늘은 어떠한가. 여전히 대중은 점과 예언의 마력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디지털 세대에 걸맞게 디지털화되어 편리하게 서비스된다. 인터넷과 휴대전화를 통해 ‘토정비결’을 보거나 ‘오늘의 운세’를 알아보는 풍경이 낯설지 않다.

역사적으로 볼 때 한국의 예언서라면 단연 ‘정감록’이 가장 유명했다. 거슬러 올라가 18세기 이후 ‘정감록’은 한국 사회가 직면한 정치·사회·문화적 문제를 투시하는 거울이었다고 볼 수 있다. 조선 후기에 국가권력이 특정한 몇몇 가문에 집중되자 왕조에 저항하는 불만 지식인들이 전국에 널리 형성되었다.

이른바 원국지사(怨國之士)였는데, 그들이 ‘정감록’을 퍼뜨렸으며 체제전복을 위하여 많은 사건을 일으켰다. 세월이 흘러 20세기가 되었을 때 문득 나라의 운명은 기울어 한국은 일제 식민지로 전락하고 말았다.

그러자 시대의 절망과 어둠을 이겨내려는 듯 대중은 다시 ‘정감록’의 예언에 귀를 기울였다.

예언 가운데는 지난 수백 년 동안 한국 사회를 위기로 내몰았던 절망적인 문제가 도사리고 있다. 놀랍게도 새 시대에 거는 대중의 기대 역시 녹아 스며들어 있다. 새해부터 나는 독자 여러분과 함께 예언문화의 향기를 따라가 보려 한다. 지금 빛바랜 ‘정감록’을 책장에서 꺼내 깨끗이 먼지를 털어내고, 알쏭달쏭한 예언에 새겨진 우리 역사와 문화를 만날 채비를 하는 중이다.

끝으로 ‘정감록’을 바라보는 나의 관점에 대하여 한 마디 보태고 싶다. 어떤 종류든 새 예언이 나올 때마다 사람들은 그것이 맞느니 틀리느니 격론을 벌이기가 일쑤였다. 무척 흥미로운 일이긴 하지만 나는 진위를 가리는 그런 식의 논쟁에 끼어들 생각이 별로 없다. 한 걸음 더 나아가서 미래를 점치는 행위의 정당성을 둘러싸고 누구와 다툴 마음도 없다. 미래가 깜깜해 뵈면 점이라도 쳐서 알아보고 싶어 하는 것은 인간의 본성에 가깝다고 생각하는 편이다. 딱히 못 배우고 못 사는 사람들만 그런 것이 아니다. 많이 배워 출세하고 떵떵거리며 잘 사는 사람들도 역시 마찬가지다.1997년 외환위기 때 점술가들은 뜻밖에 호황을 누렸다고 한다. 회사의 경영자들이 자문을 구하러 몰려들었기 때문이다. 평상시 같으면 체면 때문에도 그런 일이 드물었을 것이다.

하지만 세상일이 몹시 꼬이면 달라진다. 그러면 다들 예언에 관심을 갖게 마련이다. 내 관심거리는 바로 예언을 둘러싼 대중의 사회심리를 이해하는 것이다.

백승종 푸른역사연구소장·전 서강대 사학과 교수

[저작권자 (c) 서울신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