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 시대를 살아가면서 꼭 알아야 할 유용하고 세상에서 가르쳐 주지 않는 차원 높은 정보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본 블로그에서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핵심을 잘 간파하셔서 끊임없이
한민족 역사문화/환단고기*韓의뿌리

이맥李陌의 태백일사太白逸史 -삼신오제본기-

by 바로요거 2008. 10. 31.

 

이맥李陌의 태백일사太白逸史 -삼신오제본기-

 

 
글/ 박성수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명예교수)
 

『태백일사』를 쓴 이는 이맥李陌(1455~1528)이다. 이맥은 연산군 때 사람인데 너무 강직해서 연산군의 미움을 사 충북 괴산으로 유배당했다. 그리고 다시 풀려나 벼슬길에 복귀하였는데 그의 호가 일십당一十堂이요 『단군세기』를 쓴 행촌 이암李?의 현손(고손자)이었다. 연산군이 몰락하고 난 뒤 중종이 즉위하자 유배지에서 풀려나서 찬수관纂修官으로 재등용되었는데 그때 내각에 있는 비장도서를 읽고 깜짝 놀랐다. 우리 역사의 시작 즉 상고사가 전혀 달랐던 것이다. 다시 말해서 단군 이전 시대가 있었다는 사실을 알고 놀랐던 것이다.
 
이맥이 내각의 비서를 읽고 『태백일사』를 지은 것은 중종(1506~1544) 초의 일이었다. 세조(1455~1468)가 모든 상고사 기록 즉 『고기』를 거두어들이라는 명(收書令)을 내린 지 불과 50년 뒤의 일이었다. 세조 2년, 왕은 각도 관찰사에게 민간에서 소장하고 있는 모든 상고사 기록을 압수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이 영을 어기고 책을 숨기는 자는 사형에 처한다고 하였으니 진시황의 분서갱유와 비슷한 문화탄압이었다. 이때 압수된 고기의 서목이 실록에 기재되어 있는데 그 중의 일부 서목이 『태백일사』에 수록되어 있다. 때문에 이맥은 목숨을 걸고 『태백일사』를 저술했던 것이다. 잠시 이맥이 『태백일사』를 쓰게 된 동기를 살펴보기로 하자.
 
때는 갑자년(연산군 10년 1506). 내가 괴산에 유배되었을 때 적소謫所에서 근신하고 있으니 너무 무료하여 집에 간직해 두었던 사전史典들과 노고들에게 들은 이야기, 그리고 유배지에서 풀려난 뒤 16년 만인 경진년(중종 15년 1520)에 찬수관纂修官으로 있을 때 내각에 소장된 비밀스런 책들을 읽고 이들을 모두 합해서 책을 엮었는데 이름하여 「태백일사」라 한다. (『태백일사』 발문跋文)
 
『태백일사』의 <일사逸史>란 말은 “정사正史에서 빠진 태백의 역사”란 뜻이다. 태백이란 태백산 즉 환인 환웅 단군의 역사란 뜻이다. 태백의 역사가 왜 빠졌는가 하면 조선왕조가 이를 금지하였기 때문이다. 당시의 조선왕조는 명나라와의 외교적 문제를 고려하여 단군 이전의 역사를 금지했던 것이다. 상고사는 금지된 역사요 국시國是에 위반되는 역사였던 것이다. 그렇지 않고서야 이 책의 소장자를 죽이겠다고까지 으름장을 놓았겠는가.
 
『태백일사』를 소중하게 간직하여 후세에 전한 분이 바로 이맥의 후손인 해학海鶴 이기李沂(1848~1909)였다. 이기 선생은 한말의 애국지사로 이름난 분이었고, 『환단고기』를 통해 우리 나라 상고사를 밝혀 준 숨은 민족사가이기도 한 것이다.
 
 
■『태백일사』란 어떤 책인가

여기서 잠시 『환단고기』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앞의 호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1) 「삼성기」<상, 하>가 수록되어 있고, 다음에 (2) 「단군세기」가 수록되어 있다. 그리고 그 다음에 (3) 「북부여기」<상, 하>가 수록되고, 이어 마지막에 (4) 「태백일사」가 수록되어 있다. 『환단고기』의 차례대로 설명한다면 「단군세기」를 먼저 설명하여야 하지만 그렇게 하면 단군 이전 시대의 기록을 다 설명하지 못하고 단군 시대로 넘어가게 된다. 그러므로 여기서는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단군 이전 시대에 관한 『태백일사』를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일십당 이맥의 『태백일사』 속에는 다음과 같은 네 종류의 사서가 수록되어 있다. 즉 1) 단군 이전 시대, 환국과 신시 시대에 관한 기록, 2) 단군 시대의 기록, 3) 경전류의 기록, 그리고 4) 단군 이후의 시대, 즉 고구려와 고려시대에 이르기까지의 기록이 수록되어 있는 것이다.
 
  1) 단군 이전에 관한 기록
  ① 삼신오제본기 제1
  ② 환국본기 제2
  ③ 신시본기 제3
 
  2) 단군 시대에 관한 기록
  ④ 삼한관경본기 제4
  -마한세가 상 하
  -번한세가 상 하
 
  3) 경 전 류
  ⑤ 소도경전본훈 제5
  -천부경
  -삼일신고
 
  4) 단군 이후의 시대에 관한 기록
  ⑥ 고구려국본기 제6
  ⑦ 대진국본기 제7
  ⑧ 고려국본기 제8
 
우리는 앞서 『삼성기』 상권과 하권을 살펴보았기 때문에 여기서도 계속해서 단군 이전 시대에 관한 기록을 살펴볼 것이다. 즉 『태백일사』 서두에 나오는 「삼신오제본기」를 먼저 살펴볼 것이다. 「삼신오제본기」는 환국시대와 신시시대에 관한 기록이다.
 
 
■정치하는 자들이여 백성의 어버이가 되라

「삼신오제본기三神五帝本紀」도 앞서 나온 「삼성기」<상, 하>와 같이 태시기太始記로부터 시작된다. 태시기는 창세기를 말한다. 북애노인의 『규원사화』에 조판기肇判記와 태시기太始記가 있듯이 「삼신오제본기」에도 태시기가 있어 천지창조의 이야기를 기록하고 있다.
 
『규원사화』의 조판기에는 “태고에 음양이 갈라지지 아니하고 혼돈한 채 오래 닫혀 있었다. 상계에 문득 하나의 대주신大主神이 나타났으니 그가 바로 환인이었다”고 기술하고 있는데, 「삼신오제본기」에서는 『표훈천사表訓天詞』를 인용하면서 태초에 천제가 계셨다고 말하고 있다.
 
 "태시太始에 하늘과 땅, 그리고 사방에 암흑이 깔려 아무 것도 보이지 않더니 시간이 흘러 옛것이 가고 지금이 오더니 마침내 ‘오직 한 빛이 밝았다(只一光明矣). 상계上界에 또 삼신三神이 계셨으니 이가 곧 상제上帝이시니라. 그 주체는 일신一神이니 각각 신이 따로 있음이 아니나 작용할 때에는 삼신이다."
 
그런데 천제는 바로 삼신을 말한다고 한다. 삼신이란 천일, 지일, 태일을 말하는데 그렇다고 해서 그것이 하나이지 셋이 아니라고 한다.
 
무릇 삼신은 천일天一(하느님)이라 하고 지일地一(땅의 신)이라 하고 태일太一(사람의 신)이라 한다. 천일은 조화造化를 주관하고 지일은 교화敎化를 주관하고 태일은 치화治化를 주관하였다
 
삼신 중 천일은 조화(창조), 지일은 교화(교육), 태일은 치화(통치)를 주관한다고 하였는데, 『고려팔관기高麗八關記』에 따르면 천일은 곧 환인이요 지일은 환웅이요 태일은 단군이라는 것이다.
 
『고려팔관기』에 삼신설三神說이 있다. 가로대 “상계의 주신을 천일天一이라 하여 조화造化를 주관하고 하계의 주신을 지일地一이라 하여 교화敎化를 주관한다. 중계의 주신은 태일太一이라 하는데 치화治化를 주관한다”고 하였다. 또 “환인씨는 어버이의 도를 써서 천하에 쏟으며 신시씨는 스승의 도를 사용하여 천하를 인솔한다. 왕검씨는 왕의 도로써 천하를 다스리니 천하가 이에 따른다”고 하였다.
 
삼신은 환인 환웅 단군인데, 환인은 이 세상 만물을 창조(조화)하셨고 환웅은 환인이 이미 만든 것을 교화 즉 가르쳤고(교화) 단군은 환웅이 가르친 바대로 다스렸다(치화)는 것이다. 그런데 백성을 다스리는데 있어 삼신은 각기 다른 방법을 썼다. 즉 환인은 백성을 가장 정에 넘친 어버이(親)처럼 다스렸고, 환웅은 스승(師)처럼 다스렸으며 단군은 임금(君)처럼 다스렸다. 이 말은 무엇을 의미하느냐 하면 백성을 다스리되 어버이처럼 다스리라는 것이다.
 
 
■태초에 나반과 아만이 만났다. 

 

 그러면 삼신이 내린 곳은 어디인가. 바로 태백산인데 이 태백산은 지금의 개마고원이었다는 것이다. 개마고원은 평안도와 함경도 경계에 있는 고원으로서 한국의 지붕으로 알려져 왔다. 백두산의 어원도 개마고원의 개마蓋馬에서 나온 이름이라 한다.
 
삼신산을 천하의 뿌리산根山이라 한다. 산 이름을 삼신이라 한 까닭은 대저 삼신이 이곳에 내려와 노닐었기 때문이다. 혹은 삼三은 신新이요 신新은 백白이라, 신神은 고高가 되고 고는 머리頭가 된다. 때문에 백두산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혹은 개마蓋馬는 해마리奚摩離에서 바뀐 이름이라 하면서 해奚는 희다는 뜻이요, 마리摩離는 머리라는 뜻이니 백두산의 이름이 이에서 비롯되었다고도 한다.<
 
삼신이 이 세상을 창조하고 교화하고 치화하였다고 하였으나 삼신 이전에 인류의 시조가 따로 있었다. 바로 나반과 아만이라는 분이었다. 나반과 아만은 우리말의 아버지와 어머니란 뜻인데 이 두 분이 서로 아이사타阿耳斯? 에서 만나 처음 혼약을 맺고 후손을 나았으니 이것이 인류의 시작이자 동시에 우리 민족(구환족九桓族 64민民)의 시작이었다는 것이다.
 
인류의 조상은 나반那般이라 한다. 처음 아만阿曼과 서로 만난 곳을 아이사타라 한다. 일명 '사타려아'라고도 한다. 어느 날 신의 계시를 받아 스스로 혼례를 이루었으니 정안수를 떠놓고 하늘에 알린 후 돌아가며 술을 마셨다. 구환의 64민은 모두 그 후예이다. 그러나 그 뒤 구환족은 각각 흩어져서 일산일수一山一水에 나라를 만들어 서로 경계를 쳐서 살게 되니 서로 창세의 줄기를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나반과 아만이 서로 만난 곳은 천해(천지)가 있는 곳이었다고 하며 서로 만난 날은 7월 7일이었다. 하백은 나반의 후손이었다.
 
하백河伯은 천하天河의 사람으로 나반의 후손이다. 7월 7일은 바로 나반이 강을 건너는 날이다. 이날 용왕에 명하여 하백을 부르나니 용궁에 들어가 이로 하여금 사해四海의 여러 신들을 주관케 하셨다. 천하를 일명 천해天海라고도 한다. 지금의 북해北海가 그곳이다.
 
그럼으로 북해(바이칼호)가 우리 민족의 원주지라는 것이다. 그리고 북극에서 천도天道 즉 홍익인간의 가르침이 처음 계시되었다는 것이다.
 
천하의 주注에 가로대 “천도는 북극에서 일어났다. 고로 천일天一의 물을 낸다. 이를 북수北水라 한다”고 했다. 대저 북극은 수정자水精子가 기거하는 곳이다.
 
이같이 나반과 아만이 태초에 혼인하여 그 후손시대가 오래 계속되는데 그 중에서 가장 뛰어난 인물이 바로 환인이었다. 이 분이 나반의 뜻에 따라 선정을 베푸니 그를 또한 아버지(안파견 또는 커발한)라 불렀다고 한다.
 
장구한 세월이 흐른 뒤 환인桓因이란 분이 나타나 나라 사람들의 사랑을 받아 임금으로 추대되었으니 이를 안파견安巴堅이라고도 하고 커발한居發桓이라고도 하였다. 대저 안파견이라 함은 하늘을 계승하여 아버지가 되었다는 뜻이고, 커발한이라 함은 천지인天地人을 하나로 정한다는 뜻의 이름이다. 이로부터 환인의 형제 아홉 명이 나라를 나누어 다스리셨으니 이를 9환64민九桓六十四民이라 한다.
 
이야기가 약간 복잡해지는데, 간단히 설명하면 태초에 나반과 아만이 계셨고 이어 오랜 후세에 환인이 나타나고 환웅 단군으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천제가 계시는 곳을 환국이라 한다

이처럼 이 지상의 모든 인류는 나반과 아만의 후손이며 우리 민족은 그 중에서도 삼신의 후예로서 환국을 건국한 환인의 후예이다. 환국이란 천제가 계시는 나라(天帝所居之邦)란 뜻이니 그 본래 뜻은 “영구생명의 근본”이라는 것이며 그래서 삼신을 “한 뿌리의 조상”이라 하는 것이다.
 
삼신의 후예를 일러 환국이라 하니 환국은 천제天帝께서 계시는 곳의 나라라 전한다.(傳曰 三神之後稱桓國 桓國天帝所居之邦). 또한 가로대, 삼신은 환국의 선대에 있었고 나반이 죽어 삼신이 되셨으니 그 삼신이라 함은 영구 생명의 근본이라”(又曰 三神在桓國之先 那般死爲三神 夫三神者 永久生命之根本也) 그래서 또 말하기를 사람과 물건은 같이 함께 삼신에게서 나왔으니 삼신으로써 한 근원의 조상으로 삼느니라.(故曰 人物同出於三神以三神爲一源之祖也)
 
다시 말하면 나반이 제일 위의 천제(대선천)이시며 환인이 그 다음(중중천)이시며 환웅이 셋째 천제(대웅천)가 되시는 것이다. 치우환웅을 일면 지위천이라고도 한다. 또한 환인·환웅·치우 세 분을 삼황이라고도 이른다.
 
환인도 역시 삼신을 대신하여 환국의 천제가 되었다. 후에 나반을 대선의 천(大先天)이라 하고 환인을 대중의 천(大中天)이라 하였고 환인, 환웅, 치우를 삼황三皇이라 하였다. 또한 환웅을 대웅의 천(大雄天)이라 하고 치우를 지위의 천(智偉天)이라 하였다. 곧 『황제중경黃帝中經』이 만들어진 연유이다.
 
이같이 환인 환웅의 시대가 지난 뒤 단군이 다스리는 단국檀國 시대가 온다. 단국은 웅족雄族이 세운 나라이며 단군 역시 하늘에서 백두산에 내려오신 분이다. 단군은 또 신시의 법대로 백성을 다스리니 온 세상 사람들이 그를 천신 같은 존재로 추앙하였다. 단군을 영세토록 잊지 않는 것은 그가 선정을 베풀었기 때문이다.
 
"웅족雄族 가운데 단국檀國이 있어 가장 강성하였다. 왕검 역시 하늘에서 내려와서 불함산不咸山에 사시니 나라 안의 모든 사람들이 함께 받들어 단군으로 모시어 단군왕검이라 하였다. 태어나면서부터 지극히 신묘하고 성스러워서 구환九桓의 삼한관경三韓管境을 원만히 통합하였다. 신시의 옛 규칙을 회복하니 천하는 크게 다스려져서 온 세상이 그를 천신과 같은 존재로 보았다. 이때부터 숭보崇報의 예의가 영세토록 바뀌지 않았다."
 
 
■온 나라가 제천하니 이를 국중대회라 했다

단국을 계승한 나라가 부여夫餘인데 부여에서는 단국 시대에 그랬던 것처럼 가뭄이 들고 전쟁이 일어나고 질병이 만연하게 되면 모두 그것이 국왕의 탓으로 알았다. 즉 임금의 부덕한 탓으로 알았던 것이다.
 
부여는 풍속에 가뭄과 병란 및 질병은 국왕에게 책임이 있다고 믿었다.
그래서 오늘날까지도 우리 나라에서는 비가 오지 않아 가물면 모두 최고집권자인 대통령이 부덕한 탓으로 돌린다. 즉 그가 정치를 잘못하기 때문이라 믿고 있는 것이다. 그것은 우리 민족이 오랜 동안 하늘에 제사를 지내온 때문이며 임금이 하늘을 대신하여 다스린다고 믿어왔기 때문이다. 비가 오지 않는다는 것은 단순한 자연 재해(天災)가 아니라 하늘을 대신하여 통치하는 임금이 하늘의 뜻을 어겼기 때문에 일어난 인재人災라 생각해 왔던 것이다. 하늘에 제사지내는 축제를 부여에서는 국중대회國中大會라 하였다.
 
삼한의 옛 풍속에 모두 10월 상순에 국중대회를 열어 둥근 단(원단)을 쌓아 하늘에 제사지냈다. 땅에 제사 지내는 것을 방구方丘(네모난 언덕)라 하고 돌아가신 아버지를 제사 지냄은 각목角木이라 하니 산에 웅상雄常의 상像을 만드는 것은 모두 그 유습이다.
 
하늘에 제사 지내는 제천행사는 환(임금)이 직접 제를 지내니 그 예가 매우 성한 것을 알 수 있다. 그 날 원근에서 사람들이 각기 생산한 것을 제단에 바치고 북을 치고 나팔을 불면서 온갖 놀이를 다 하였다. 또 여러 소국들의 사신들이 찾아와 그 나라 특산물을 바치니 진귀한 것들이 언덕과 산처럼 둥그렇게 쌓였다. 환桓은 오로지 백성들을 위하여 기도하였으니 그 때문에 제천행사는 관경을 번식케 하는 원인이 되었다.
 
하늘에 제사지내는 것을 일명 소도제천蘇塗祭天이라 한다. 소도체천은 백성을 교화하는 통치의 근본이었는데 거기에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뜻이 담겨 있었다.
 
소도제천은 곧 구려九黎를 교화하는 근원이 되었다. 소도제천은 첫째, 화를 당하면 이웃을 위하여 함께 힘쓰고(책화선린責禍善隣), 둘째, 있는 자와 없는 자가 서로 돕는다(有無相資), 셋째, 문명으로 나라를 이루고(文明成治) 개화평등(開化平等)을 이룬다. 이리하여 온 세상에 제사의 예를 숭상하지 않는 자가 없었다.
 
 
■단국 시대의 문화가 오늘에 남아있다

단국 시대의 유습 가운데 오늘까지 계속 이어져 온 것이 많은데 그 하나가 아기를 얻은 후 이 아이가 잘 자라게 해달라고 삼신에게 비는 습속이 그것이고, 업주가리業主嘉利라 하여 가을에 추수한 신곡을 담아 농신農神에게 제사 지내는 습속이 그것이다. 또 새로 터를 잡아 집을 지을 때 행하는 제사가 다 그것이다.
 
아기가 태어난 것을 축하하여 삼신三神이라 하고 벼 익은 것을 축하하여 업業이라 하였다. 산을 군생통력群生通力의 장소라 하고 업을 생산 작업의 신이라 한다. 때문에 또한 업주가리라고도 한다. 집터에 빌기를 또한 터주대감土主大監이라 하고, 집에 빌기를 성조대군成造大君이라 하니 또한 해마다 좋은 복을 이루는 신이다.
 
그밖에도 부모가 죽어서 장례를 지낼 때 지내는 산신제라든지 먼길을 떠날 때 지내는 제사가 그것이다.
묘 자리를 쓸 때, 고기잡이를 나갈 때, 진을 칠 때, 길을 떠날 때, 모두 각기 제祭가 있으니 제는 반드시 날짜를 골라 목욕 재계齋戒하여야 복을 이루는 것이다. 소도가 서면 반드시 다섯 가지 계율을 읊었으니 이것을 오상五常이라 했다. 소도 곁에는 반드시 경당 �堂을 세워서 글을 읽고 활을 쏘는 연습[讀書習射]을 시켰다. 그리고 말을 타고[馳馬禮節] 격투하고 검술을 익히며 노래와 권박[歌樂拳搏]을 익혔으니 이것을 육예六藝라 하였다.  
 
소도가 서면 언제나 계戒가 있었나니 충, 효, 신, 용勇, 인仁의 오상이 그것이다. 소도 곁에는 반드시 경당을 세우고 혼인하지 않은 사내들로 하여금 여러 가지 사물을 익히고 연마하게 하였으니, 대체로 글을 읽고 활을 쏘며 말을 타며 예절을 익히고 노래 부르며 격투와 검술을 익히는 것 등 여섯 가지 기예였다.
 
상고시대에는 모든 읍락에 삼로三老가 있어 지도자로 모셨고, 나라에서는 육정六正이 있어 국사國士로 모셨다.
 
모든 읍락에서는 자율적으로 삼로를 모셨는데 삼로는 일명 삼사三師라고도 하였다. 삼로는 덕을 갖춘 자와 재물을 베푸는 자 그리고 지혜 있는 자로 구성되어 있었으니 모두가 이들에게 사사하였다. 또한 육정이 있었으니 현좌賢佐 충신忠臣 양장良將 용졸勇卒 명사名師 덕우德友가 그들이다.
 
상고사회에서는 또 화랑花郞과 여랑女郞이 있어 나라의 기둥 역할을 담당하였다. 단재丹齋 신채호申采浩는 이들을 국수國粹라 하였다. 국수가 죽으면 나라가 망한다고 하였다. 그들은 특수한 의상을 하고 환웅의 신상에 경배를 하며 살생유택의 계율 등 세속오계의 계율에 따라 생활하였다.
 
원화源花는 여랑을 말하며 남자를 화랑이라 하며 천왕랑天王郞이라고도 하니, 임금의 명에 의하여 까마귀 깃털이 달린 모자를 하사받았다. 모자를 쓰는데 있어서도 의식이 있는데 “큰 나무를 모시어 환웅의 신상神像이라 하고 이에 경배한다. 이 신령스런 나무를 웅상雄常이라 한다”고 하였으니 상常은 환웅이 늘 있음을 뜻하는 것이다.
 
또 살생에 법이 있었으니 살생을 함에 있어 함부로 죽여서는 안되었다. 옛부터 말이 있어도 타지 않고 죽이지 않고 방생한다 함은 역시 이런 뜻에서였다
 
위당爲堂 정인보鄭寅普에 의하면, 살생유택은 원광圓光의 세속오계世俗五戒에서 나온 말이라 한다. 그러나 단지 신라 때 생긴 오계가 아니라 그 이전의 환국과 신시 그리고 단국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유습이었다는 것이다.


[출처]Copyright ⓒ 증산도 http://www.jsd.or.kr ,월간개벽 http://greatopen.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