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 ‘D-War’로 본 용과 이무기
- 용은 ‘상상의 동물’아닌 실제 존재
15세기 루마니아 동굴서 사체 발견
용은 제도권의 성공한 제왕, 이무기는 실패한 영웅
-
- ▲ illust 권오택
-
지금까지 용(龍)은 상상의 동물로만 여겨져 왔다. 그러나 용은 실제로 존재한 동물이었음이 최근에 밝혀졌다. 작년에 다큐 전문채널인 ‘디스커버리’에서 특집으로 용의 실체를 추적하여 방영했다.
동유럽 루마니아의 산 정상 부근에 위치한 얼음동굴에서 냉동상태로 완벽하게 보존된 용의 사체가 발견된 것이었다. 이 용의 사체는 1450년대 무렵 루마니아에 마지막으로 생존했던 용이다. 하늘을 날 수 있는 커다란 날개가 있었으며, 무서운 발톱과 입으로 불을 뿜어낼 수 있는 생리적 구조를 지니고 있었음이 연구진에 의하여 밝혀졌다. 이 용은 산 아래의 마을에 내려와 가축들을 물어가는 피해를 주었던 모양이다.
마침내 중세의 용감한 기사들이 창과 칼을 들고 용이 사는 산 정상의 동굴로 들어가 용과 일대 접전을 벌이다가 용도 죽고 기사들도 여러 명이 불에 타 죽은 시신으로 발견됐다. 루마니아의 전설과 민담설화에 나오는 용이 상상의 동물이 아니라, 15세기 중반까지 현실세계에 실제로 존재했던 것이다. 루마니아의 민담설화에서는 용이 악한 괴수로 묘사된다. 인간들이 사는 마을에 내려와 가축을 물어가고 사람에게 피해를 끼치는 존재였기 때문이다. 용은 인간에 의하여 격퇴되어야 할 대상이었다.
서양에서 용은 사악한 괴수(怪獸)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동양문화권에서 용은 신성한 동물, 영웅, 제왕 등 상서로움을 상징한다. 이번에 심형래 감독이‘이무기’를 등장시켜 만든 영화 ‘디 워’는 동양적인 인식의 용을 가지고, 용에 대해 터부시하는 전통을 지니고 있는 서양 문화권의 할리우드에 들이민 영화라는 점에서 그 귀추가 주목되는 바이다. 할리우드가 과연 동양의 용을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가.
‘주역(周易)’을 보면 용에 대한 정보가 나온다. 주역은 64괘로 이루어져 있고, 64괘 가운데 가장 핵심적인 괘를 압축해 본다면, 제일 첫 번째 괘인 건괘(乾卦)이다. 건괘의 설명방식은 처음부터 끝까지 용으로 시작하여 용으로 끝난다. 건괘는 처음에 ‘잠룡(潛龍)은 물용(勿用)이다’로 시작된다. 여기서 ‘잠룡’이라는 것은 물속에 있는 상태의 용을 가리킨다. 어린 용은 물속에서 생활하였음을 암시한다. 물속에 있는 용은 아직 어려 능력이 없으므로 쓸 수 없다는 말이다.
건괘의 두 번째는 ‘현룡재전(見龍在田)이니 이견대인(利見大人)이라’이다. ‘현룡재전’은 물속에 있던 용이 약간 자라서 고개를 내밀고 물 밖을 나와 보는 단계이다. 재전(在田)은 물속에서 나와 땅에 출현한다는 뜻이다. 건괘의 세 번째는 ‘혹약재연(或躍在淵)이면 무구(无咎)니라’이다. 혹시 뛰어오르더라도 연못이 있으면 문제가 없다는 뜻이다. 육지에 올라온 용이 공중으로 비상하기 위해서 나는 연습을 하는 과정이다. 이때 뛰어오르다가 잘못되면 땅으로 곤두박질치면서 다칠 수밖에 없다. 만약 날아오르다가 잘못돼 연못으로 떨어지면 다치지 않는다.
건괘의 네 번째는 ‘비룡재천(飛龍在天)이니 이견대인(利見大人)이라’이다. ‘나는 용이 하늘에 있으니, 대인을 봄이 이롭다’는 뜻. 땅에서 나는 연습을 마치고 비상하는 단계이다. 다섯 번째는 ‘항룡(亢龍)이니 유회(有悔)리라’. 하늘에 높이 올라가 있는 용은 언젠가 내려와야만 한다는 의미이다.
건괘는 온통 용으로 그 의미를 설명하는 방식이다. 용이 처음에는 물속에서 출발한다. 그리고 땅으로 올라와서 어느 정도 자라다가 비상하는 연습을 해서 하늘로 날아오른다고 하는 용의 성장과정이 암시되어 있는 것이다. 주역의 건괘는 용의 성장과정을 관찰, 묘사하고 있는‘용경(龍經)’이기도 하다.
그리고 용은 물(海), 땅(陸), 하늘(空)을 모두 왕래할 수 있는 특출한 능력을 갖춘 동물인 셈이다. 동물 중에서 이런 능력을 지닌 동물은 없다. 제왕이나 영웅을 용에 비유한 이유가 여기에 있지 않나 싶다. 경주의 감포 앞바다에는 그 유명한 문무왕의 수중릉이 있다. 문무왕이 죽은 뒤에 동해의 용이 되어 신라를 지키겠다는 서원(誓願)이 서린 곳이다. 감은사(感恩寺)가 바로 용이 되어 신라를 지키는 문무왕의 은혜를 기리는 사찰이다. 이 감은사지에는 특이하게도 수로(水路)가 장치되어 있다. 동해의 용이 감은사를 들락거릴 수 있도록 하는 통로이다. 감은사 근처의 언덕에는 ‘이견대(利見臺)’라고 이름붙여진 곳이 있다. 이는 건괘의 ‘이견대인(利見大人)’에서 유래한 표현이다. 동해의 용으로 화한 문무왕이 ‘비룡재천(飛龍在天)’, 즉 하늘로 날아오르는 광경을 보는 뷰포인트가 ‘이견대’라고 여겨진다.
신라의 감은사처럼 백제에는 익산 미륵사(彌勒寺)가 용과 관련된다. 미륵사 앞에도 커다란 호수와 강이 있어서 용이 드나들 수 있는 사찰구조였다. ‘미륵’은 우리말의 ‘미르’에서 유래하였다고 한다.‘미르’는 용을 말한다. 따라서 미륵불은 용이 부처로 화한 셈이다. 고대 농경사회에서 가뭄이 들지 않으려면 물이 무엇보다 중요하였다. 용은 고대사회에서 수신(水神)이기도 하였다. 기우제는 용신(龍神)에게 비는 행사였다. 불교가 전래되면서 이 ‘용신’이 ‘미륵불’로 변한 것이다. 익산 미륵사는 이러한 변화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찰이다.
영화 ‘디 워’의 주제는 이무기이다. 이무기는 뱀과 용의 중간단계를 가리킨다. 민간설화에서는 뱀이 1000년이 되면 이무기가 되고, 이무기가 500년이 되면 용이 된다고 전해진다. 용이 주로 제왕이나 영웅처럼 제도권의 성공한 인물을 가리키는 상징이라면, 이무기는 재야 민초들의 영웅을 상징하였다. 체제에 도전하다가 중간에 실패한 인물을 흔히 이무기에 비유하곤 하였다.
건괘의 과정에서 보면 ‘잠룡물용’은 뱀의 단계이고, 그 다음 ‘혹약재연’ 단계까지가 이무기에 해당한다. 하늘을 나는 연습을 하다가 다치면 이무기에 머물고, 성공을 하면 ‘비룡재천’이 된다. 비룡재천은 여의주를 얻어 완전한 용으로 변한 단계이다.
요가에서는 인체의 변화를 뱀과 용으로 설명한다. 인체의 첫번째 차크라(chakra)인 물라다라 차크라에 잠재해 있는 에너지를 뱀으로 설명한다. 첫 번째 차크라의 에너지는 마치 수십 마리의 뱀이 서로 엉겨 붙어 있는 모습으로 묘사한다. 뱀은 성적인 에너지를 가리킨다. 이때 에너지를 성관계를 통하여 배출하지 않고 위로 끌어 올리면 성인이 된다. 배꼽 위의 세 번째 마니푸라 차크라까지 끌어올리면 이무기가 되고, 목젖 부위인 다섯번째 비슈다 차크라를 통과하면 이무기가 여의주를 얻는 것으로 되어 있다. 주역 건괘로 환산하면 비슈다 차크라부터는 비룡재천이 되는 것이다. 동양에서는 징그러운 뱀과 성스러운 용이 서로 연관되어 있다. 주역과 요가는 뱀에서 용으로 변하는 과정을 인간과 우주의 이치에 비유한 것이다. ▒
/ 조용헌 동양학자
'우주법칙*생존법 > 陰陽五行*易哲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역(周易)이란? (0) | 2008.03.31 |
---|---|
천지(天地)란 무엇인가?-천지 음양 이야기 (0) | 2008.03.31 |
서울 사대문과 오행 요약-오행과 인의예지신 (0) | 2008.03.04 |
천간지지의 기본개념 정리, 목차...신민식 강사님 (0) | 2008.01.21 |
[천간지지의 기본개념 정리] 1, 천간(天干)의 개념 (0) | 2008.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