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 시대를 살아가면서 꼭 알아야 할 유용하고 세상에서 가르쳐 주지 않는 차원 높은 정보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본 블로그에서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핵심을 잘 간파하셔서 끊임없이
실시간 지구촌 개벽소식/지각변동*자연재해

백두산 화산이 폭발하면 일본까지 영향

by 바로요거 2010. 6. 18.

백두산 화산이 폭발하면 일본까지 영향

 

<`세계최대' 화산폭발 전력 있는 백두산>(종합)

국내외 기록에 등장…946, 947년에도 대폭발
폭발땐 주변 수십㎞ 초토화…일본까지 영향

연합뉴스 | 입력 2010.06.18 10:34 | 수정 2010.06.18 15:02

(서울=연합뉴스) 임화섭 기자 = 백두산이 다시 분화(噴火)할 가능성에 화산학계의 시선이 쏠리는 가장 큰 이유는 백두산이 인간 역사상 가장 큰 규모로 추정되는 화산 폭발을 일으킨 전력이 있다는 점이다.

18일 관련 학계에 따르면 백두산은 고려 시대인 서기 946년과 947년 각각 대규모로 분화했으며, 당시 화산폭발지수(VEI)는 7.4로 인류가 역사 기록을 남긴 지난 수천년간 가장 컸던 것으로 추정된다.

화산폭발지수는 화산 폭발의 지속시간, 분출물의 높이 및 양 등을 종합해 화산폭발의 강도를 나타내는 수치로, 지수 1이면 소규모, 2∼3이면 중규모, 4 이상이면 대규모 폭발로 분류된다.

고려 때 백두산 분화는 일본의 역사서에도 "하얀 재가 마치 눈처럼 내렸다" "하늘에서 소리가 났는데 마치 천둥소리와 같았다"는 기록으로 등장한다.

이때 나온 분출물의 양은 최근 일본 학자의 추정에 따르면 83∼117㎦에 달한다. 지난봄 유럽에 `항공대란'을 일으킨 아이슬란드 화산의 경우 화산폭발지수가 4였고, 화산재 분출량은 0.11㎦로 백두산의 1천분의 1 수준에 불과했다.

그러나 백두산의 현재 지형은 당시 분화만으로 형성된 것이 아니라 수억년간의 지질활동과 여러 차례의 대규모 화산 활동을 통해 만들어진 것이다.

백두산 일대는 적어도 약 2천840만년 전부터 화산 분화가 있었고, 지금으로부터 100만년 전까지 대지에 갈라진 틈새를 따라 현무암이 분출했다.

먼 거리를 흘러갈 수 있는 용암이 여러 차례 분출되면서 이 일대에 개마용암대지가 형성됐고, 경사가 완만한 돔 모양의 순상화산체(shield volcano)도 만들어졌다.

이 용암대지와 순상화산체가 현재 백두산의 하부를 이루고 있다.

이 위에 60만년 전부터 1만년 전까지 조면암 및 알칼리유문암 화산활동으로 점성이 큰 용암과 화성쇄설물(화산 폭발로 방출된 다양한 크기의 암석 조각)이 교대로 쌓여 경사가 급한 성층화산체(strato volcano)가 형성됐다.

이어 4천년 전과 1천여년 전 폭발적인 대분화가 일어나면서 성층화산체의 꼭대기 부분이 파괴·함몰돼 거대한 호수인 천지(天池)가 만들어졌다.

천지 내에는 크게 보면 3개의 분화구가 있는데, 이 중 2개는 946과 947년의 대폭발 당시 만들어진 것이다. 즉 우리가 알고 있는 백두산의 모습이 완성된 것은 불과 1천여년 전이라는 얘기다.

지질학계와 역사학계 일각에서 946∼947년 백두산 화산 폭발 시기가 발해 멸망(926년)과 비슷한 점을 들어 `백두산 분화가 발해 멸망의 원인일 수도 있다'는 주장이 나와 한때 논란이 인 적도 있다.

백두산이 대폭발을 일으키기 수십년 전부터 분화하기 시작했을 수 있고, 농작물 피해가 극심하고 민심이 흉흉해진 상태에서 거란이 침입해 발해가 맥없이 무너졌을 개연성을 제기하는 가설이다.

다만 발해 멸망을 기록한 요(遼)나라의 공식 사서나 다른 동시대 기록에 이런 내용이 없어 학계에서 심각하게 받아들여지지는 않고 있다.

이후에도 백두산이 1014∼1019년, 1122년, 1176년, 1199∼1201년, 1217년, 1373년, 1401년, 1403년, 1405∼1406년, 1597년, 1668년, 1702년, 1903년 등에도 분화했음을 추정할 수 있는 역사 기록들이 남아 있다.

만약 백두산이 다시 폭발한다면 반경 수∼수십km 이내 지역은 초토화될 것이 확실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견해다.

막대한 양의 암석 조각, 화산재, 가스, 물 등이 마구 뒤섞여 계곡이나 산 경사면을 타고 흘러내리면서 주변 지역의 식생을 파괴한다는 것이다.

천지에 담긴 약 20억t에 달하는 물이 한꺼번에 쏟아져 내리면 압록강, 쑹화강, 두만강 등에 대홍수가 날 확률도 높다.

또 화산재가 편서풍을 타고 일본에 영향을 주고, 동아시아 일대의 항공기 운항이 전면 중단될 수 있으며 농작물 냉해가 발생할 수도 있다.

solatido@yna.co.kr

(끝)
< 뉴스의 새 시대, 연합뉴스 Live >
<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
< 포토 매거진 >
<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추천서적, 관심서적 자료 신청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