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루엔자 변종이 생기는 원인과 과정
[신종플루]타미플루 안듣는 변종 곧등장?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변이에 변이를 거듭하는 특징이 있다. RNA 유전자 바이러스이기 때문이다.
바이러스는 DNA나 RNA에 유전 정보를 담고 있는데 신종플루를 비롯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RNA에 유전 정보를 담고 있다.
에이즈 바이러스(HIV) 등 인간에게 치명적 위협을 주는 바이러스는 모두 RNA 바이러스다. 이유는 이들이 끊임없이 다른 모양으로 나타나 치료약의 ‘정조준’을 피해나가기 때문이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자기복제 주기는 8시간에 불과하다. 8시간마다 자신과 같거나 약간씩 다른 바이러스가 생겨나는 것이다.
이렇게 8시간마다 한 번씩 끊임없이 약간씩 다르게 복제되다 보면 그 중에는 기존 치료약에 내성을 갖는 변종이 언젠가는 반드시 생기게 돼 있다. 매년 유행하는 독감이 해마다 약간씩 다른 변종 바이러스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에 현대 과학이 아직도 독감을 정복하지 못하고 있는 이유다.
지금 만드는 백신, 가을 나타날 변종에 효과 있을까
현재는 기존 인플루엔자 치료약인 타미플루와 릴렌자가 신종플루를 치료하는 데 효과를 발휘하지만 이들 약에 내성이 가진 변종이 등장하면 이들 약은 소용없어진다. 또한 현재 전 세계적으로 신종플루에 대한 예방백신 개발이 진행되고 있지만, 막상 올 가을 이후 나타날 변종에 지금 만든 백신이 효과가 있을지도 현재로선 장담할 수 없는 상태다.
충북대 수의과대학 모인필 교수는 “RNA는 한 가닥이 8조각으로 잘려 있는 형태여서 이중 나선으로 돼 있는 DNA에 비해 변형이 쉽다”며 “바이러스 안의 8개 조각이 서로 섞이면 바깥에 있는 H(헤마글루타닌)와 N(뉴라미니데이즈)도 재조합이 이루어지며 여러 변종이 생기게 된다”고 설명했다.
인플루엔자는 A, B, C형으로 나뉘고 이중 A형은 독성이 강하고 혈청과 반응해 여러 변종 바이러스를 쉽게 만들어 낸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표면에는 혈청형을 결정하는 2가지의 돌기가 있다. 하나는 숙주 세포를 흡착하는 H돌기류이고 다른 하나는 숙주세포를 파괴하고 탈출하는 데 관여하는 N돌기류다.
현재까지 알려진 H는 16종, N은 9종이 있어서 산술적으로 16×9=144형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번 신종플루는 H1N1형이며 지난해 문제가 됐던 조류독감 바이러스는 H5N1형이다.
이번 신종플루는 1918년 수천만 명의 목숨을 앗아간 스페인독감과 사촌지간이다. 당시 스페인독감도 봄에는 독성이 약한 형태로 나타났다가 가을, 겨울에 제2, 제3의 유행이 몰려오면서 가공할만한 파괴력을 발휘한 바 있다.
모인필 교수는 “인플루엔자는 춥고 건조한 계절에 유행하므로 지금은 수그러들어도 가을, 겨울철에 다시 유행할 가능성이 있다”며 “또 변이를 잘하는 바이러스의 특성 때문에 앞으로 더 강력해질지 아니면 더 약해질지 현재로서는 아무도 모른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실시간 지구촌 개벽소식 > 전염병 관련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종플루, 멕시코 독감 또는 H1N1로 불러야 (0) | 2009.11.24 |
---|---|
인플루엔자 변종이 생기는 원인과 과정 (0) | 2009.11.24 |
정부 신종플루 예산증액 결정 (0) | 2009.11.24 |
신종플루 백신 접종후 초등학생 집단 이상반응 (0) | 2009.11.24 |
신종 인플루엔자 A(H1N1)의 주요내용 (0) | 2009.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