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 시대를 살아가면서 꼭 알아야 할 유용하고 세상에서 가르쳐 주지 않는 차원 높은 정보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본 블로그에서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핵심을 잘 간파하셔서 끊임없이
한민족 역사문화/대한민국&한민족

강서대묘 현무도 복원

by 바로요거 2009. 2. 12.

2D 복원 강서대묘 벽화

//

연합뉴스 | 기사입력 2009.02.10 21:04

 

(서울=연합뉴스)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해 2D로 복원한 강서대묘 사신도 중 현무 . 2009.2.10 < < 문화부 기사참조, 동북아역사재단 제공 > >

(끝)
< 긴급속보 SMS 신청 >
< 포토 매거진 >
< 스포츠뉴스는 M-SPORTS >
<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GS_con();

<강서대묘 현무 발톱 찾았다>

//"+" | Daum 미디어다음"; viewToday('auto'); //]]>

연합뉴스 | 기사입력 2009.02.10 15:57 | 최종수정 2009.02.10 17:02

 

동북아재단 고구려 고분벽화 2D 복원
(서울=연합뉴스) 김태식 기자 = 고구려인들이 무덤에 남긴 벽화 중 가장 유명한 것이 북한 남포의 강서대묘 사신도(四神圖)다.

강서대묘의 현실(玄室) 동ㆍ서ㆍ남ㆍ북 네 벽면을 각각 장식한 청룡(靑龍)ㆍ백호(白虎)ㆍ주작(朱雀)ㆍ현무(玄武)는 다른 고분 벽화에 견주어 상대적으로 보존상태가 양호하지만 세심히 살펴보면 적지 않은 곳이 훼손됐다.

두 마리 뱀이 거북 몸둥이를 감싼 모습인 현무만 해도 네 발가락과 발톱 부분은 알아보기 힘들다.

 


 

 

이런 현상은 다른 사신 그림에서도 마찬가지다.
동북아역사재단 김용덕 이사장은 10일 기자간담회를 갖고 '고구려 고분벽화 컴퓨터 그래픽 2D 복원 사업' 일환으로 최근 사신도를 비롯해 현실 천장과 굄돌의 황룡도 및 인동무늬, 비천, 연꽃 문양 등의 강서대묘 벽화 주요 부분을 복원했다고 말했다.

복원 작업은 ㈜포스트미디어ㆍ서용(대표 서용.동덕여대 회화과 교수)이 맡았다.
서 교수는 "일제시대에 작성된 모사도와 관련 원색 도판 자료, 그리고 비슷한 시대 같은 모티브를 활용한 그림 등을 토대로 지금은 그 흔적이 사라졌거나, 훼손이 극심한 부분까지 복원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번 작업에 의해 백호와 청룡 또한 '상실한' 발과 발톱, 그리고 희미한 얼굴 윤곽을 찾았으며, 주작 또한 그을음이 잔뜩 앉은 것 같은 색상을 벗고 원색으로 다시 태어났다.

이와 같은 고구려 고분벽화 2D 복원은 덕흥리 고분에 이어 두 번째다.
재단은 이와 같은 성과들을 토대로 올해 6월까지는 3D 고구려 고분 제작을 완료할 것이라고 말했다.

http://blog.yonhapnews.co.kr/ts1406
taeshik@yna.co.kr
(끝)
< 긴급속보 SMS 신청 >
< 포토 매거진 >
< 스포츠뉴스는 M-SPORTS >
<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GS_c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