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라리아 걸린 서울의 운전기사, 왜 그런가 했더니…
조선일보 | 기사입력 2008.05.24 03:26
'말라리아' 토착화의 비밀 北, 온대지역 국가 중 최대 발병국가 해마다 수십만명 예방교육도 없이 '北으로' 개성, 고위험 지역… '발병 통계' 盧정부때 쉬쉬
일산에 사는 주부 A(34)씨는 지난 13일 열이 오르고 오한이 나서 동네 의원을 찾았다. 감기로 진단을 받고 하루치 약을 먹었지만 열이 떨어지지 않고 계속 올랐다. A씨는 결국 큰 병원 응급실로 실려 갔다. 그곳에서 내려진 진단은 '말라리아'였다. 당시 A씨의 혈소판 수치는 정상인의 10분의 1 수준까지 떨어진 상태였다. A씨는 나흘간 입원 치료를 받았다.
1984년 국내에서 완전히 사라졌던 말라리아. 그 사라졌던 말라리아가 1993년 경기도 파주 최전방 초소의 현역 군인이 발병하면서 재등장했다. 휴전선 부근에서만 발생하던 말라리아는 이후 경기도 포천·김포·고양, 인천시 강화 등지로 계속 남진(南進)해 왔다.
1998년에는 결국 서울 을 포함한 전국 16개 광역자치단체에서 모두 발생했다. 환자 수도 2004년 864명이던 것이 2005년 1369명, 2006년 2051명, 2007년 2227명으로 증가 추세다. 토착 질병으로 굳어지고 있는 셈이다.
전문가들은 사라졌던 말라리아가 재발해 토착화하고 있는 것은 '대북(對北) 교류가 확대된 것이 결정적 원인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한다.
북한
은 전 세계 온대지역 국가 가운데 말라리아 최대 발병국이다. 특히 대북 교류의 중심지인 개성은 북한 내에서도 가장 위험한 지역이다. 그런데도 매년 수만~수십만명이 아무런 예방교육이나 대비 없이 북한을 방문했다가 전국 각지로 돌아오고 있는 것이다. 정부는 지난 정권까지 방북자의 말라리아 감염 실태조차 제대로 공개하지 않았다.
◆개성, 말라리아 고위험 지역
화물차 운전기사 B(45·서울 거주)씨는 지난해 말라리아에 걸려 일주일간 입원했다. B씨는 화물을 싣고 개성공단을 오가는 일을 했다. 그를 진료한 의사는 B씨가 개성에서 말라리아에 감염돼 돌아온 것으로 추정했다. 말라리아는 감염자의 피를 빨았던 모기에 물리면 전염되기 때문이다.
개성은 특히 말라리아 감염 위험지역으로 꼽힌다. 실제로 개성공단 상주자의 말라리아 감염 실태는 심각하다. 질병관리본부가 본지에 처음 밝힌 내용에 따르면 2005년 개성공단이 문을 연 첫해의 상주자 490명 중 12명이 말라리아에 걸렸고 2006년엔 791명 중 18명, 2007년 784명 중 11명이 말라리아에 걸렸다. 3년간 상주인구 대비 발병자 수를 인구 10만명당 발병건수로 환산하면 1984명에 달한다.
이는 우리 질병관리본부가 정하고 있는 말라리아 '고위험지역' 기준(인구 10만명당 100명 이상 발병)의 무려 20배에 육박하는 수치다.
그런데도 북한은 말라리아 감염 실태를 정확히 공개하지 않고 있다. 북한 정권은 2000년 "전국적으로 30만명의 말라리아 환자가 발생했다"고 발표했지만 이를 믿는 전문가는 별로 없다. 국내 감염내과 전문가들은 당시 실제 환자 수가 100만명 정도였고, 그 이후에도 매년 10만명 이상이 발병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2차 세계대전 이후 전 세계 온대지역 국가 중 이 정도의 대규모 발병은 북한이 유일하다.
◆실태 알리고 예방교육해야
연간 북한을 방문하는 사람은 평균 40만~50만명에 달한다. 금강산 관광객만 연간 30만명이 넘고, 작년 12월부터 시작된 개성 관광에는 월 평균 1만명 가량이 찾는다. 2005년 이후 개성공단을 방문한 사람도 22만4000여명에 달한다. 특히 개성 등 황해도 지역은 북한 스스로도 말라리아 감염 위험이 가장 높은 지역으로 분류하고 있는 곳이다.
하지만 정부는 지금까지 북한을 방문하는 사람들에게 말라리아 감염 위험성을 경고한 적이 없고 사전 교육도 진행하지 않았다. 개성 관광이나 금강산 관광을 실제로 진행하는 현대아산 등도 마찬가지다.
지난해 세 차례 개성공단에 다녀온 회사원 안모(36)씨는 "모기를 조심하라거나 예방약을 복용하라는 말을 한 번도 들은 적이 없다"고 말했다. 질병관리본부도 "사전 교육을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문제는 최근까지 개성 등 북한 지역이 말라리아 감염 '고위험지역'이라는 사실을 정부가 은폐한 의혹이 있다는 점이다.
1993년 당시 첫 말라리아 환자를 확진했던 서울대 의대 채종일 교수는 "내가 질병관리본부 말라리아 자문역인데도 우리측에서 파견한 개성공단의 협력 병원 의사에게 말라리아 발병 통계를 물었더니 '말해줄 수 없다'고 했다"고 말했다. 그는 "(정부가 공개를 못한 데는) 정치적인 문제가 있었다"며 "노무현 대통령 시절 특히 심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질병관리본부측은 "한반도에서 발병하는 말라리아는 열대성과 달리 약을 먹으면 낫는 종류여서 중대하게 보지 않았을 뿐"이라고 말했다.
가천의대 박재원 교수는 "매년 수천명이 4~5일에서 일주일씩 드러눕는다면 그에 따른 사회적 비용을 생각해야 한다"며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조심만 해도 발병 위험을 줄일 수 있으니 정부는 말라리아 실태를 적극적으로 알려야 한다"고 말했다. [이길성 기자 atticus@chosun.com ] [김진명 기자 geumbori@chosun.com ]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일산에 사는 주부 A(34)씨는 지난 13일 열이 오르고 오한이 나서 동네 의원을 찾았다. 감기로 진단을 받고 하루치 약을 먹었지만 열이 떨어지지 않고 계속 올랐다. A씨는 결국 큰 병원 응급실로 실려 갔다. 그곳에서 내려진 진단은 '말라리아'였다. 당시 A씨의 혈소판 수치는 정상인의 10분의 1 수준까지 떨어진 상태였다. A씨는 나흘간 입원 치료를 받았다.
A씨를 치료한 일산병원 감염내과 허정애 교수는 "2002년 이 병원으로 온 뒤 매년 50여명의 말라리아 환자를 받는다"고 말했다.
1984년 국내에서 완전히 사라졌던 말라리아. 그 사라졌던 말라리아가 1993년 경기도 파주 최전방 초소의 현역 군인이 발병하면서 재등장했다. 휴전선 부근에서만 발생하던 말라리아는 이후 경기도 포천·김포·고양, 인천시 강화 등지로 계속 남진(南進)해 왔다.
1998년에는 결국 서울 을 포함한 전국 16개 광역자치단체에서 모두 발생했다. 환자 수도 2004년 864명이던 것이 2005년 1369명, 2006년 2051명, 2007년 2227명으로 증가 추세다. 토착 질병으로 굳어지고 있는 셈이다.
전문가들은 사라졌던 말라리아가 재발해 토착화하고 있는 것은 '대북(對北) 교류가 확대된 것이 결정적 원인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한다.
북한
은 전 세계 온대지역 국가 가운데 말라리아 최대 발병국이다. 특히 대북 교류의 중심지인 개성은 북한 내에서도 가장 위험한 지역이다. 그런데도 매년 수만~수십만명이 아무런 예방교육이나 대비 없이 북한을 방문했다가 전국 각지로 돌아오고 있는 것이다. 정부는 지난 정권까지 방북자의 말라리아 감염 실태조차 제대로 공개하지 않았다.
◆개성, 말라리아 고위험 지역
화물차 운전기사 B(45·서울 거주)씨는 지난해 말라리아에 걸려 일주일간 입원했다. B씨는 화물을 싣고 개성공단을 오가는 일을 했다. 그를 진료한 의사는 B씨가 개성에서 말라리아에 감염돼 돌아온 것으로 추정했다. 말라리아는 감염자의 피를 빨았던 모기에 물리면 전염되기 때문이다.
개성은 특히 말라리아 감염 위험지역으로 꼽힌다. 실제로 개성공단 상주자의 말라리아 감염 실태는 심각하다. 질병관리본부가 본지에 처음 밝힌 내용에 따르면 2005년 개성공단이 문을 연 첫해의 상주자 490명 중 12명이 말라리아에 걸렸고 2006년엔 791명 중 18명, 2007년 784명 중 11명이 말라리아에 걸렸다. 3년간 상주인구 대비 발병자 수를 인구 10만명당 발병건수로 환산하면 1984명에 달한다.
이는 우리 질병관리본부가 정하고 있는 말라리아 '고위험지역' 기준(인구 10만명당 100명 이상 발병)의 무려 20배에 육박하는 수치다.
그런데도 북한은 말라리아 감염 실태를 정확히 공개하지 않고 있다. 북한 정권은 2000년 "전국적으로 30만명의 말라리아 환자가 발생했다"고 발표했지만 이를 믿는 전문가는 별로 없다. 국내 감염내과 전문가들은 당시 실제 환자 수가 100만명 정도였고, 그 이후에도 매년 10만명 이상이 발병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2차 세계대전 이후 전 세계 온대지역 국가 중 이 정도의 대규모 발병은 북한이 유일하다.
◆실태 알리고 예방교육해야
연간 북한을 방문하는 사람은 평균 40만~50만명에 달한다. 금강산 관광객만 연간 30만명이 넘고, 작년 12월부터 시작된 개성 관광에는 월 평균 1만명 가량이 찾는다. 2005년 이후 개성공단을 방문한 사람도 22만4000여명에 달한다. 특히 개성 등 황해도 지역은 북한 스스로도 말라리아 감염 위험이 가장 높은 지역으로 분류하고 있는 곳이다.
하지만 정부는 지금까지 북한을 방문하는 사람들에게 말라리아 감염 위험성을 경고한 적이 없고 사전 교육도 진행하지 않았다. 개성 관광이나 금강산 관광을 실제로 진행하는 현대아산 등도 마찬가지다.
지난해 세 차례 개성공단에 다녀온 회사원 안모(36)씨는 "모기를 조심하라거나 예방약을 복용하라는 말을 한 번도 들은 적이 없다"고 말했다. 질병관리본부도 "사전 교육을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문제는 최근까지 개성 등 북한 지역이 말라리아 감염 '고위험지역'이라는 사실을 정부가 은폐한 의혹이 있다는 점이다.
1993년 당시 첫 말라리아 환자를 확진했던 서울대 의대 채종일 교수는 "내가 질병관리본부 말라리아 자문역인데도 우리측에서 파견한 개성공단의 협력 병원 의사에게 말라리아 발병 통계를 물었더니 '말해줄 수 없다'고 했다"고 말했다. 그는 "(정부가 공개를 못한 데는) 정치적인 문제가 있었다"며 "노무현 대통령 시절 특히 심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질병관리본부측은 "한반도에서 발병하는 말라리아는 열대성과 달리 약을 먹으면 낫는 종류여서 중대하게 보지 않았을 뿐"이라고 말했다.
가천의대 박재원 교수는 "매년 수천명이 4~5일에서 일주일씩 드러눕는다면 그에 따른 사회적 비용을 생각해야 한다"며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조심만 해도 발병 위험을 줄일 수 있으니 정부는 말라리아 실태를 적극적으로 알려야 한다"고 말했다. [이길성 기자 atticus@chosun.com ] [김진명 기자 geumbori@chosun.com ]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실시간 지구촌 개벽소식 > 전염병 관련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8 '인플루엔자 대학살' 設-'대재앙' 조짐 (0) | 2008.05.26 |
---|---|
고병원성 AI(조류독감)에 대하여 (0) | 2008.05.26 |
미 쇠고기 제품 또 ‘0-157 대장균’ 발견 (0) | 2008.05.23 |
故 이종욱 박사와 조류인플루엔자(AI) (0) | 2008.05.22 |
[스크랩] AI 살처분 후... 밤새도록 꼬꼬댁 소리가 들리는 꿈을 꿨어요.. (0) | 2008.05.22 |